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1564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2-11-0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서문
들어가며: 1990년대생, 교사가 되다
01 1990년대생 교사는 누구인가
세대 개념
세대 구분
1990년대생의 특징
교직 문화와 1990년대생 교사
교사1990년대생 교사 연구하기
02 1990년대생이 교사가 된 이유
우리가 만난 1990년대생 교사
교직 적성 인식 및 교직 선택 동기
공교육과 학교 역할 인식: 공교육과 사교육의 공존
교사 역할 및 교직 인식: 보람 있는 직업
03 1990년대생 교사의 현재와 미래
학교생활: 근무 시간과 개인 생활의 명확한 구분
교수·학습(수업): 후배 교사에게 배우는 선배 교사
학급 경영·생활 지도: 개별 학급의 특성 중시
행정 업무: 명확한 업무 경계 설정
경력 개발: 워라밸과 자기 개발 추구
04 1990년대생 교사의 인간관계: 학생 및 동료 교사
학생과의 관계: 친근하지만 경계가 있는 관계
동료 교사와의 관계: 동등하고 독립적인 관계
05 1990년대생 교사의 인간관계: 학부모
학부모와의 관계: 불편하지만 피할 수 없는 관계
학부모와 소통하는 방식: 대면보다 비대면
학부모에 대한 기대: 서로 존중하는 최소한의 관계
06 1990년대생 교사 특징: 세대 차이와 개인 차이
세대 차이: 아날로그 대 디지털
개인 차이: 승진 대 워라밸
1990년대생 교사의 특성
07 1990년대생 교사와 교직 문화의 변화
긍정적 측면: 기성세대 변화 자극
부정적 측면: 소통과 협력적 문제 해결 약화
08 사회 변화와 교직 문화의 변화
학교 특성과 교직 문화의 차이
교직 문화의 변화와 도전
부록
미주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이 책에서 다루는 질문은 세 가지다. 첫째, 1990년대생 교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1990년대생 교사와 비1990년대생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교직 인식에는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가? 둘째, 1990년대생 교사의 특성 중 교사 세대 간 차이와 세대 내 개인 차이로 볼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셋째, 이러한 1990년대생 교사의 특징은 학교 조직과 교직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들어가며: 1990년대생, 교사가 되다’ 중
저는 어쨌든 확실한 건 행정직, 관리자 쪽으로는 전혀 관심이 없어서 승진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고. 근데 교육 일을 계속하고는 싶은 것 같아요. 보람도 좀 있고 해서 교육 쪽에 계속 있고는 싶은데 그냥 계속 그 생활을 할지는 잘 모르겠어서. 저는 개인적으로 그냥 평교사로 정년을 하시는 선생님들이 진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D 교사)
- 2장 ‘1990년대생이 교사가 된 이유’ 중
옛날에 선배 교사들 보면 학교에서 하는 일에 엄청 무게 중심을 많이 두고 일을 다 못했으면 남아서 업무 처리를 늦게까지 한다든지, 그걸 완벽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시간과 노력을 많이 쏟는다든지 그런 분들이 많았던 반면에, 이제는 4시 30분, 4시 40분이 되면 일이 끝났든 안 끝났든 어쨌든 (여기서의 캐릭터는 벗고 퇴근 후에 다른 부캐를 즐기기 위해서) 그것들을 딱 놓고 갈 수 있는, 그런 생각을 딱 안 할 수 있는 그런 친구들이 많은 것 같고요. (a 교사)
- 3장 ‘1990년대생 교사의 현재와 미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