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태학
· ISBN : 979116534600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11-19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_ 최재천 교수
⦁추천의 글_ 이정모 관장
⦁이 책을 향한 찬사
프롤로그
CHAPTER 1 여섯 번째 대멸종
CHAPTER 2 마스토돈의 어금니
CHAPTER 3 원조 펭귄
CHAPTER 4 암모나이트의 운명
CHAPTER 5 인류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CHAPTER 6 우리를 둘러싼 바다
CHAPTER 7 중독된 바다
CHAPTER 8 숲과 나무
CHAPTER 9 육지의 섬
CHAPTER 10 신 판게아
CHAPTER 11 코뿔소에게 초음파 검사를
CHAPTER 12 광기의 유전자
CHAPTER 13 희망을 찾아서
감사의 글
주
참고 문헌
사진 및 그림 출처
리뷰
책속에서
사람들은 대개 멸종 소식을 몇 다리 건너 전해 듣고 있겠지만, 이렇게 나는 내가 알던 존재가 영원히 사라지는 것을 목격하고 말았다. 멸종은 분명 일어나고 있다. 그것도 때로는 바로 내 곁에서. (…) 엘리자베스 콜버트의 《여섯 번째 대멸종》이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인류세를 조기에 마감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이라면 모름지기 환경 이슈에 민감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현대인의 필독서가 되어야 한다.
- (추천의 글_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
후손의 미래가 아니라 우리의 생존을 위해 투쟁해야 할 때다. 지난 다섯 차례의 대멸종은 결국 급격한 기후 변화 때문에 일어났다. 모두 자연적인 이유에서였다. (…)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여섯 번째 대멸종 역시 급격한 기후 변화가 원인이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그 원인이 바로 우리 인류이기 때문이다. 우리만 변하면 된다. (…) 평화롭고 정의로운 미래를 위해 투쟁해야 한다.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다행히,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 (추천의 글_ 이정모 국립과천과학관 관장)
신생 종이 으레 그렇듯, 이 종의 지위는 불안정하다. 숫자도 적고, 그 영역도 아프리카 동부의 아주 좁은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 숫자는 서서히 증가하지만 수천 쌍까지 줄어들며 거의 사라질 뻔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이 종의 구성원들은 특별히 민첩하지도, 강하지도, 번식력이 뛰어나지도 않다. 그러나 다른 종이 갖지 못한 지략이 있다. 그들은 점차 다른 기후, 다른 포식자, 다른 먹이가 있는 지역으로 넓혀 간다. 일반적인 서식지의 한계나 지리적 제약은 그들을 막을 수 없어 보인다. 그들은 강과 고원, 산맥을 횡단한다. 해안에서는 조개를 채취하고 깊숙한 내륙에서는 포유류를 사냥한다. 그들은 어디에나 정착하여, 적응하고 혁신한다. 유럽에 다다른 그들은 아주 오랫동안 이 대륙에 살아온 생명체들과 마주친다. 그들과 매우 흡사하지만 더 건장하고 다부진 체구를 가졌다. 그들은 이 생명체들과의 이종 교배 후, 그 방법은 알 수 없지만 죽여 없앤다.
이러한 결말은 이후에 일어날 일의 전조였다. 이들의 활동 범위가 넓어지면서 거대 고양이, 집채만 한 곰, 코끼리만큼 큰 거북, 4m가 넘는 나무늘보 등 크기가 자신의 곱절, 10배, 20배에 이르는 동물들과 마주친다. 이 종들은 더 힘이 세고 더 사나울 때도 많다. 그러나 번식 속도가 느리고, 결국 제거된다.
- (프롤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