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91165392147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0-05-15
책 소개
목차
PROLOGUE 5
PART 01. 품질의 개념
품질의 정체성 16
품질의 정의 21
품질과 비용의 관계 35
빙산의 일각 37
고객만족의 정의 39
PART 02. 품질의 추진 방향
품질인의 마음가짐 44
1:10:100 법칙 48
품질의 숲 50
기업에 품질이 필요한 이유 53
최고와 최적 58
예방관리와 사후관리의 차이 61
고객과 제조자의 품질수준 차이 63
품질이론과 품질실무의 차이 65
품질시스템과 품질실적의 관계 69
품질실적의 중요성 71
품질조직 73
회사 전체의 품질경영 77
모집단과 샘플의 차이 79
PART 03. 품질의 핵심 요소
품질의 집(House) 82
품질 전문가 93
품질역량 96
품질교육 100
품질기준 106
승인원 관리 109
품질 안전율 113
품질변동 117
4M 변경 126
공정능력 134
CTQ 140
데이터 145
사용환경 147
신뢰성 152
양산 신뢰성 168
품질 프로세스 맵핑 172
검출력 177
품질검사 183
게이지 R&R 195
품질지표 198
품질문제 해결 방법론 200
식별성과 추적성 210
품질정보 213
품질목표 215
품질 회의체 217
품질비용의 활용 220
품질수준 평가 222
신제품 품질보증 프로세스 233
눈으로 보이는 품질경영 240
PART 04.품질의 맥 잡기
품질혁신 방법론 244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부분 품질은 사후 관리 역할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어 문제가 없기만을 기대하고 막상 문제가 생기면 담당부서에만 책임을 묻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기업의 품질수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품질부서에 한해 품질을 안정시키고 관리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 실정일 듯하다.
품질은 무조건 ‘완벽’을 추구하기보다 품질문제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더불어 최고보다는 최적의 방법을 찾으며, 품질의 최고 가치인 예방을 통해 ‘품질은 잘해야 본전’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기업의 경영이익에 크게 기여하여 품질인의 가치와 자부심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품질목표 수립, 신뢰성 시험법 제정, 품질개선, 원인파악, 검사 및 관리 기준 설정, 설계 사양 설정, 서비스 기준 설정 등 모든 단계에서 최대한 고객의 입장을 생각하고 반영하려는 노력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무조건적인 고객을 위한 희생이 아니다. 우리 업무의 효율성 제고와 리스크 사전 예방을 위한 것으로 생각하고 고객의 생각을 품질에 반영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