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사주/궁합/예언
· ISBN : 9791165396213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1-03-02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서문 - “Break The Frame(틀을 깨라)!”
1. 격(格)과 용신(用神)
1) 당신의 품격을 논한다
2) 격(格)은 어떻게 정하는가?
3) 십신(十神)과 상신(相神)에 대한 이해
4) 식신격(食神格) VS 상관격(傷官格)
5) 정재격(正財格) VS 편재격(偏財格)
6) 정관격(正官格) VS 편관격(偏官格)
7) 정인격(正印格) VS 편인격(偏印格)
8) 양인격(陽刃格) VS 비견격(比肩格)
9)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의 성패에 관하여
10) 종격(從格)의 성패에 관하여
11) 화격(化格)의 성패에 관하여
12) 격(格)과 용신(用神)-격의 고저(高低)
13) 조후(調候)에 대한 이해
14) 외전-나는 신강(身强)할까, 신약(身弱)할까? 자가진단법
2. 근묘화실(根苗花實) 관법 - 사주명리 패러다임의 전환
1) 왜 근묘화실(根苗花實) 관법인가?
2) 사주명리학은 시대의 상황을 반영해야 한다
3) 인생에는 3번의 큰 변화가 있다
4) 사주(四柱)의 시기별 해석과 의미
5) 어린이의 사주는 보는 것이 아니다? Why?
6) 젊은 사람의 사주는 보는 것이 아니다? Why?
7) 노인들의 사주는 볼 필요가 없다? Why?
8)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월주의 시기로 가다
9) 일지충, 일간극인데 우리는 어떻게 결혼했을까?
3. 자신을 알아가는 긴 여정 - 사주명리학
1) 내 사주의 원진살이란
2) 내 사주의 자묘(子卯)형이란
3) 내 사주의 절(絶)지의 의미란
4) 내 사주 안의 야생마 상관을 위하여
5) 부성입묘(夫星入墓)-오늘 남편을 묻고 왔습니다
6) 재극인(財剋印), 탐재괴인(貪財壞印)의 현대적인 사주통변
4. 어떤 사람이 타인에게 속고 배신을 당할까?
1) 겁재(劫財)
2) 축술미(丑戌未) 삼형(三刑)
3) 껍질과 내면
4) 음(陰)과 양(陽)
5. 토(土) 이야기
1) 하늘에 펼쳐진 토(土) 이야기
2) 진술축미(辰戌丑未), 어디까지 가 봤니?
3) 지지의 토(土)는 삶의 변화를 의미한다
4)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처럼…
5) 자축(子丑)합하여 토(土)를 만들 수 있을까?
6. 내 안의 카리스마에 관하여
1) 관성(官星) 편
2) 인성(印星) 편
3) 식상(食傷) 편
4) 재성(財星) 편
5) 비겁(比劫) 편
7. 육십갑자(六十甲子) 일주 분석 - 새로운 육십갑자 일주론을 시작하며
1) 새로운 갑자(甲子) 일주 분석
2) 새로운 을축(乙丑) 일주 분석
3) 새로운 병인(丙寅) 일주 분석
4) 새로운 정묘(丁卯) 일주 분석
5) 새로운 무진(戊辰) 일주 분석
6) 새로운 기사(己巳) 일주 분석
7) 새로운 경오(庚午) 일주 분석
8) 새로운 신미(辛未) 일주 분석
9) 새로운 임신(壬申) 일주 분석
10) 새로운 계유(癸酉) 일주 분석
11) 새로운 갑술(甲戌) 일주 분석
12) 새로운 을해(乙亥) 일주 분석
13) 새로운 병자(丙子) 일주 분석
14) 새로운 정축(丁丑) 일주 분석
15) 새로운 무인(戊寅) 일주 분석
16) 새로운 기묘(己卯) 일주 분석
17) 새로운 경진(庚辰) 일주 분석
18) 새로운 신사(辛巳) 일주 분석
19) 새로운 임오(壬午) 일주 분석
20) 새로운 계미(癸未) 일주 분석
21) 새로운 갑신(甲申) 일주 분석
22) 새로운 을유(乙酉) 일주 분석
23) 새로운 병술(丙戌) 일주 분석
24) 새로운 정해(丁亥) 일주 분석
25) 새로운 무자(戊子) 일주 분석
26) 새로운 기축(己丑) 일주 분석
27) 새로운 경인(庚寅) 일주 분석
28) 새로운 신묘(辛卯) 일주 분석
29) 새로운 임진(壬辰) 일주 분석
30) 새로운 계사(癸巳) 일주 분석
31) 새로운 갑오(甲午) 일주 분석
32) 새로운 을미(乙未) 일주 분석
33) 새로운 병신(丙申) 일주 분석
34) 새로운 정유(丁酉) 일주 분석
35) 새로운 무술(戊戌) 일주 분석
36) 새로운 기해(己亥) 일주 분석
37) 새로운 경자(庚子) 일주 분석
38) 새로운 신축(辛丑) 일주 분석
39) 새로운 임인(壬寅) 일주 분석
40) 새로운 계묘(癸卯) 일주 분석
41) 새로운 갑진(甲辰) 일주 분석
42) 새로운 을사(乙巳) 일주 분석
43) 새로운 병오(丙午) 일주 분석
44) 새로운 정미(丁未) 일주 분석
45) 새로운 무신(戊申) 일주 분석
46) 새로운 기유(己酉) 일주 분석
47) 새로운 경술(庚戌) 일주 분석
48) 새로운 신해(辛亥) 일주 분석
49) 새로운 임자(壬子) 일주 분석
50) 새로운 계축(癸丑) 일주 분석
51) 새로운 갑인(甲寅) 일주 분석
52) 새로운 을묘(乙卯) 일주 분석
53) 새로운 병진(丙辰) 일주 분석
54) 새로운 정사(丁巳) 일주 분석
55) 새로운 무오(戊午) 일주 분석
56) 새로운 기미(己未) 일주 분석
57) 새로운 경신(庚申) 일주 분석
58) 새로운 신유(辛酉) 일주 분석
59) 새로운 임술(壬戌) 일주 분석
60) 새로운 계해(癸亥) 일주 분석 - 끝, 그리고 새로운 시작
에필로그
부록 - 명리 에피소드(The Episode)
에피소드 1. 명리학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5가지 조언
에피소드 2. 정관의 직업, 편관의 직업
에피소드 3. 6대운 월지충,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에피소드 4. 천간합-두 남자와 한 여자의 사랑 이야기
에피소드 5. 사주에는 귀천(貴賤)이 없다
에피소드 6. 여자에게 관살혼잡이 주는 삶의 의미(직업)
에피소드 7. “선생님! 숨을 쉴 수가 없어요.”
에피소드 8. 이번 달 소송에서 이길 수 있을까요?
에피소드 9. 허주가 시절인연을 믿는 이유
에피소드 10. 어쩌면 음양보다도 사랑이 먼저가 아닐까?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주는 체(體)로서 귀천은 없다. 대한민국은 귀하고 천한 사람이 구별되는 신분제의 사회는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격은 존재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한우의 등급을 가지고 이야기해 보자.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에 따라 6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1+, 1, 2, 3, 등외 등급으로 나뉘며 등급이 높을수록 육질이 부드럽고 깊은 맛을 낸다고 한다. 등급에 따라 가격의 차이가 나는데, 한우와 수입산이 가격 및 품질의 차이가 있듯이, 또 그 안에서도 세분화된다. 특히, 근육 속의 지방 조직인 마블링이 등급을 정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친다. 다만 최근에는 마블링을 기준으로 등급을 정하는 것에 이견이 많아져서 조정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있다. 육류의 소비가 적어서 기름이 적당한 고기가 높은 등급을 받던 시절과 육류의 소비가 많아져서 건강, 다이어트가 중요한 시절의 등급의 개념은 다르기 때문이다.
사주도 마찬가지다. 마블링 등급 적용의 중요성이 변화하듯이, 격의 고저도 달라져야 한다.
특히 새 12운성의 적용으로 인한 음간들[을(乙)목, 정(丁)화, 기(己)토, 신(辛)금, 계(癸)수]의 월지와의 관계가 달라지니, 격의 고저도 이에 따라 변하고 발전하는 것이다.
첫째, 월지를 기준으로 천간의 글자들과의 관계와 십신을 살펴본다.
천간의 글자가 월지에서 록왕쇠면 격이 높은 것이다. 더 세분하면 ‘제왕>건록>쇠지’의 모습이 될 것이다. 일간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일간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십신도 같이 보는 것이다.
요즘 <싱어게인>이란 오디션 프로그램을 보면 많이 들어 보고 누구나 알 만한 유명한 노래인데, 정작 가수 이름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일간은 월지에서 절태양인데, 월간의 식상이 월지에서 록왕쇠이면 그렇다.
절태양의 모습이니 일간(주인공)은 보이지 않지만, 일간이 만든 곡이나 노래(식상)는 록왕쇠의 모습으로 많은 사람이 알게 되고 유명해진다.
근묘화실은 명리학에 입문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배우고 지나가는 부분이다. 사주팔자의 총 4가지 기둥에서 년주(年柱)를 초년 시절, 월주(月柱)를 청년 시절, 일주(日柱)를 장년 시절, 시주(時柱)를 중년 이후의 노년 시절로 본다는 이론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이의가 없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과연 기초 부분에서 배운 근묘화실을 실제 감명에서는 제대로 쓰고 있을까? 정말 중요한 부분인데 수박 겉핥기식으로 넘어가는 것은 아닐까?
허주가 말하는 근묘화실 관법은 여러분이 알고 있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일간을 기준으로 보는 관법에 이의를 제기하고, 인생의 각 해당 시기의 천간이 일간처럼 주인공이 되어 십신을 재배치하는 것이 핵심이 된다.
초년 시절은, 년간이 기준이 되어 십신을 바꾸어서 본다. 즉, 초년 시절의 마음은 년간이 중심이 된다.
청년 시절은, 월간이 기준이 되어 십신을 바꾸어서 본다. 즉, 청년 시절의 마음은 월간이 중심이 된다.
장년 시절은, 일간이 기준이 되어 십신을 본다. 이것은 동일하다.
중년(노년) 시절은, 시간이 기준이 되어 십신을 바꾸어서 본다. 즉, 중년(노년) 시절의 마음은 시간이 중심이 된다.
기축(己丑) 일주는 밭을 가는 소의 물상이고 논밭이 중첩되어 있는 모습이기도 하다. 밭을 갈고 있는 소이니 근면 성실하고 책임감이 있다. 소처럼 꿋꿋하고 우직한 성향이 있어 성정이 강직하고 고집이 있다. 논밭이 중첩된 형상인데 논밭은 만물을 길러내는 모성의 물상이라 교육과 인연이 있다. 잘 다듬어진 토양이라 잡초와 곡식을 선별하여 길러내니 호불호가 있고 매사에 확인 후 진행하는 성향이 있다. 대체로 만물을 기르고 포용하는 성품이지만 일을 시작하여 결실을 이루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축(丑)토 주위에 화 기운이 있으면 일찍 성공할 수도 있다. 축(丑)토가 녹으면 가장 기름진 땅이 되기 때문이다. 논밭이 얼어있는 모양이니 뜻을 펼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늦게 이루어진다. 노력 대비 결실이 적고 전문기술이나 자격증으로 직장을 다니거나 사업을 하면 성공한다. 기(己)토도, 축(丑)토도 희생과 봉사를 하며 살아가니 칭송과 명예는 얻으나 삶은 녹록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