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미셸 푸코
· ISBN : 9788972971337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24-06-28
책 소개
목차
푸코 작품 약어
머리말
들어가며
자기 자신에 대한 진실 말하기(1982년 5월 31일~6월 26일)
-첫 번째 강연
-두 번째 강연
. 프랑스어 버전
. 녹취 버전
-세 번째 강연
. 프랑스어 버전
. 영어로 된 두 번째 버전 초반부
-네 번째 강연
-다섯 번째 강연
세미나(1982년 6월)
-첫 번째 세미나
-두 번째 세미나
-세 번째 세미나
-네 번째 세미나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푸코는 주체의 계보학, 주체와 진실의 관계, 고대 그리스-로마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라는 세 차원에 힘입어 토론토 강연의 주제를 정할 수 있었다. 요컨대 지극히 특수한 유형의 자기 인식과 고대 그리스-로마에서 주체를 구축한 자기 관계를 기술하고, 그리스도교 초기 몇 세기에 (특히 수도원 공동체에서) 자기해석학-푸코에 따르면 수많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러 측면에서 여전히 현대 우리의 것으로 존속하는 자기해석학을 탄생시킨 역전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이해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푸코는 토론토에서 파레시아의 정의로 설명을 시작하는데, 파레시아를 행사하는 장을 정치 영역으로 확장해 파레시아에 위험 개념을 도입한다. 파레시아는 윤리와 정치 영역에서 진실을 말하는 자유인 동시에 의무다. 요컨대 파레시아는 말하는 자가 그의 말을 듣는 자 혹은 자들(민회, 군주, 피지도자)보다 권력이 약하고, 그로 인해 말하는 자가 이 진실과 긴밀하게 결부된 것으로 보임에 따라 그에게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황으로 특징지어진다.
푸코가 자기 자신에 대한 진실 말하기의 분석과 더불어, 주체와 진실의 새로운 관계에 대한 연구를 개시하는 것을 볼 수 있어 놀랍다. 주체와 진실이 맺는 새로운 관계 형식은 타인에 대한 진실을 그 타인을 마주보고 말하는 것으로, 푸코의 마지막 연구에서 거의 독점적인 주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