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천문학 > 천문학/별자리/역법
· ISBN : 9791165798567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1-12-2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01 퍼스트 라이트
02 프라임 포커스
03 오늘 콘도르 본 사람?
04 관측 손실 이유는 화산 폭발
05 총알이 낸 작은 상처
06 자기만의 산
07 망원경 썰매와 허리케인
08 성층권 비행
09 아르헨티나에서의 3초
10 시험 질량
11 사전에 계획하지 않은 관측
12 받은편지함 속 초신성
13 천문학의 미래
독서 모임 가이드
인터뷰 목록
감사의 말
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별을 바라보는 행위는 단순하지만 지구상에 있는 거의 모든 인간이 경험한다. 북적대는 도시에 숨 막히게 들어찬 불빛 아래에서 밤하늘을 보든, 외딴 지구 한구석에서 머리 위로 쏟아지는 별에 빨려들어 미동도 없이 얼어붙든, 그냥 가만히 서서 지구 대기 바깥에 기다리고 있는 우주의 광활함을 느끼든, 우리는 밤하늘의 아름다움과 신비 앞에서 언제나 황홀해진다. 그리고 세계 최고의 망원경들이 찍은 극적인 천체사진을 감탄하며 바라보지 않은 사람을 찾기는 어렵다. 별이 가득 찬 풍경, 바람개비같이 뻗은 은하의 나선 팔, 아마 우주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을 무지개 빛깔의 가스 구름까지.
아름다운 천체사진을 어디에서, 어떻게, 왜 찍었는지 그리고 누군가가 과연 우주의 비밀을 벗겨낼지에 주목하느라 우리가 몰랐던 이야기가 있다. 바로 천문학자의 정체다. ▶ 들어가며
책에서 읽고 상상했던 천문학자는 추운 산꼭대기에서 플리스 재킷으로 몸을 감싼 채 어마어마하게 큰 망원경 뒤에 앉아, 별이 머리 위를 지나가는 동안 눈을 가늘게 뜨고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그런 이들은 이미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천문학자의 모습은 진화하고 있다. 천문학자의 대열에 합류하면서, 우주의 아름다움에 더욱 깊이 빠져들면서 나는 놀랍게도 지구 곳곳을 탐험하게 되었다. 그리고 믿을 수 없고 희귀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심지어 ‘사라지는’ 분야의 이야기를 마주하게 되었다. ▶ 들어가며
11월 어느 추운 밤, 자정쯤 되었을까. 그날 관측은 영원히 잊을 수 없다. 십 대의 혈기왕성한 신진대사를 달래려 땅콩 과자 한 움큼을 삼키고 망원경의 뷰파인더를 들여다본 바로 그 순간, 내 시야 위에서 아래로 별똥별이 떨어졌다. 밤하늘의 아주 작은 부분을 망원경으로 가리키고 있었는데 별똥별이 그 좁은 공간을, 내가 접안렌즈에 눈을 갖다 댄 바로 그 순간에 지나갈 확률은 희박했다. 그때 눈물을 흘렸는지, 어떤 말을 했는지, 움직이기는 했는지 기억나지 않는다. 그저 사다리 위에 서 있었고, 망원경에서 눈을 떼지 못한 채 내가 본 장면이 무엇인지 알아차리려 애썼다. 그리고 그때 생각했다. ‘그래, 이건 괜찮은 직업이야.’ ▶ 01 퍼스트 라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