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법과 생활 > 법률이야기/법조인이야기
· ISBN : 9791166290350
· 쪽수 : 768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목차
서문
개요
용어 해설
제1장 4천 년 전의 사람은 우리와 다르게 생각했는가?- 책임개념의 전사(前史)
[1101-1102] 함무라비 법전과 책임의 관념
[1103] 아리스토텔레스의 형법이론
제2장 책임이란 무엇인가?Ⅰ- 독일체계, 책임개념의 이론사
[1201-1202] 귀속의 개념과 Pufendorf
[1203-1205] Hegel과 Hegelian의 책임개념
[1206-1207] Binding: 책임개념 최초의 정의
[1208-1209] v. Liszt: 행위의 속성, 심리적 책임개념
[1210-1212] 윤리적(倫理的) 책임개념
[1213-1217] 규범적(規範的) 책임개념
[1218-1222] 자유의지의 부정(否定)
[1223-1229] 사회적 책임개념, 사회방위론, 성격책임개념
[1230-1237] 자유의지의 우회이론(迂廻理論)
[1238-1248] 예방적 책임개념, 실질적 책임개념
[1249-1258] 언어학적 책임개념, 담론적 책임개념
[1259-1262] 책임형법의 부정(否定)
[1263-1265] 불법·책임체계의 폐지(廃止)
제3장 책임이란 무엇인가?Ⅱ- 영미체계, 책임과 면책성
[1301-1304] 책임계열 개념과 부책성(liability) 개념
[1305-1306] 면책성(免責性)의 이론(excuse defense)
제4장 누가 손가락을 구부리는가?- 자유의지와 신경과학(neuroscience)의 시야
[1401-1404] 리벳의 실험(Libet’s Experiment)
[1405-1418] 리벳 이후의 실험들
제5장 논쟁: 자유의지는 존재하는가?
[1501-1502] 자유의지론의 관문의식(觀問意識)
[1503-1505] 써얼(Searle)의 논제, 데카르트 프레임
[1506-1508] 세계의 오류(fallacy of world)
[1509-1510] 쇼펜하우어 테제(Schopenhauer’s These)
[1511-1513] 데넷 프레임(Dennett’s frame)
[1514-1518] 리벳의 W에 대한 비판적 실험과 해석
[1519-1520] RP에 대한 비판적 실험과 해석
[1521-1525] 재검토
제6장 인간(人間)이란 무엇인가? - 자유의지 논쟁의 의미
[1601] 자유의지 논의의 관문의식(觀問意識)
제1절 행동은 어떻게 일어나는가?―시스템 1, 시스템 2
[1602-1603] 동작(動作)과 행위(行為), 행위의 분류
[1605-1607] 시스템 1, 시스템 2
[1608-1610] 인적(人的) 시스템 1과 통제, 연습통제
[1611-1612] 동작 스키마(schema), 행동 프로그램, 자동모드와 수동모드
제2절 의식(意識)은 행위에 개입(介入)하는가?
[1613-1614] 의식의 느림(delay)과 인지(認知), 감정, 자각(自覚) 이전의 반응
[1615-1617] Daniel Wegner
[1618-1621] Alfred Mele
[1622-1627] 의사결정과 이성(理性)
[1628-1630] Carruthers―의사결정의 간접성과 해석성
[1631-1632] 의미론적 개입(介入) 신경가소성(neuroplastacity)과 의미론적 개입
제3절 자유(自由)란 무엇인가?
[1633-1634] 의미론적 개입과 자유
[1635-1637] 인지적(認知的) 자유, 자유, 자유의지의 개념들
[1638-1644] 결정론과 자유의지론
[1645-1648] 사회심리학에서의 논쟁
제4절 의도와 자아―실재인가, 환상(幻想)인가?
[1649-1653] 의지의 자리(the seat of the Will)
[1654-1655] 의미와 신경신호의 번역(飜訳), 외전(外転)과 내전(內転)
[1656-1658] 의식적 의도(意図})의 환상(illousion)
[1659-1662] 환상의 기제 I - 마술 지각이론
[1663-1664] 의도(意図})와 사유(思惟)의 탄생, 인식(認識)과 인간·문명의 관문
제7장 책임은 어떻게 가능한가? - 책임: 인지적 자유의 부담(負担)
[1701-1710] 인지적 자유(인지적 자유와 문명적 자유)
[1711-1716] 문명적(文明的) 자유의 개념
[1717-1720] 결정론과 책임의 계기(契機)
[1721-1727] 인지적 책임개념―인지적 자유의 부담(비난의 위치)
[1728-1737] 사회는 어떻게 조직되는가? (도부 섬의 사회와 살인)
[1738] 결어(結語)와 서론(緖論)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랫동안 책임은 인간이 자유의지(自由意志)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법(適法)를 선택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불법을 선택한 데 대한 비난(非難)으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1980년대 들어서 인간의 의식적 자유의 관념이 환상(illusion)이라는 신경과학(neuroscience)의 실험이 제시되었다. (중략) 이 실험 이후로 40여 년 동안 많은 추가적 실험들이 행해졌고, 신경과학자, 철학자, 사회심리학자 등 많은 학자들이 자유의지 논쟁에 참여하였다. 이 책은 이 모든 논의를 재검토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책임 개념을 제시한다. 필자가 제시하는 책임개념은 인지적(認知的) 자유의 부담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면책성은 문명적(文明的) 자유의 결여(缺如)에 근거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제1권의 논의 내용이다. (서문)
우리는 근대 이후 500년이 된 인간관을 가지고 있다. 인간이란 육체와 정신을 가지고 있으며, 자유의지에 의해 행동하며, 그러한 개개인들이 합의하여 사회를 구성하고, 이성(理性)의 빛에 의하여 자연의 진리를 밝혀내어 문명(文明)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신경과학은 자유의지만이 아니라, 우리가 개념(槪念)으로 상정하고 있는 것에 대응하는 그러한 정신, 마음, 이성(理性), 자아(自我)와 같은 것은 실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신경세계에는 이들에 대응하는 신경상관자(神經相?者, neural correlates)가 없는데 어떻게 이들을 규정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서문)
우리 문명사회는 (원시 사회에서 그랬던 것처럼) 살인을 찬양하는 대신 살인을 죄(罪)로 만들었다. 그 외 여러 가지 행위들을 죄로 규정함으로써 그것을 금지하는 것이 사회질서(社?秩序)가 되었다. 이렇게 하여 사회의 가장 근본적인 질서(秩序)가 탄생한 것이다. 동시에 이것이 바로 사회와 문명의 탄생이기도 하다. 즉, 범죄를 처벌하는 질서가 성립되는 것이 문명의 탄생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바로 국가와 권력의 탄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죄와 국가와 문명은 동시에 탄생하였다기보다 그것은 하나이다. 죄의 개념은 동시에 불법(不法)의 개념과 정당성(正?性)의 개념을 형성한다. (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