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헤겔
· ISBN : 9791166840173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22-03-02
책 소개
목차
제3편 낭만적 예술들
제1장 회화
1. 회화의 보편적 성격
a. 내용의 주요 규정
b. 회화의 감각적 질료
c. 예술적 취급의 원칙
2. 회화의 특수한 규정성
a. 낭만적 내용
b. 감각적 질료의 세부 규정들
c. 예술적 구상, 구성 그리고 특성화
3. 회화의 역사적 전개
a. 비잔틴 회화
b. 이탈리아 회화
c. 네덜란드와 독일 회화
제2장 음악
1. 음악의 일반적 특성
a. 조형예술 및 시문학과의 비교
b. 내용의 음악적 이해
c. 음악의 효과
2. 음악적 표현 수단들의 특수한 규정성
a. 템포, 박자, 리듬
b. 화성
c. 선율
3. 음악적 표현 수단들과 내용의 관계
a. 수반적 음악
b. 독자적 음악
c. 예술적 연주
제3장 시문학
A. 산문적 예술작품과 구분되는 시적 예술작품
1. 시적 이해와 산문적 이해
a. 두 이해의 내용
b. 시적 표상과 산문적 표상의 차이
c. 시적 직관의 특수화
2. 시적 예술작품과 산문적 예술작품
a. 시적 예술작품 일반
b. 역사서술 및 웅변술과의 차이
c. 자유로운 시적 예술작품
3. 시를 짓는 주관성
B. 시적 표현
1. 시적 표상
a. 근원적으로 시적인 표상
b. 산문적 표상
c. 산문에서 산출되는 시적 표상
2. 언어적 표현
a. 시적 언어 일반
b. 시적 언어의 수단들
c. 수단들의 적용상의 차이들
3. 운문화
a. 운율적 운문화
b. 압운
c. 리듬적 운문화와 압운의 통일
C. 시의 장르별 차이들
Ⅰ. 서사시
1. 서사시의 일반적 성격
a. 경구, 격언, 교훈시
b. 철학적 교훈시, 우주창조론, 신통기
c. 본격적 서사시
2. 본격적 서사시의 특수한 규정들
a. 서사적 보편적 세계상태
b. 개별적인 서사적 행위
c. 통일성이 충만한 총체성으로서의 서사시
3. 서사시의 발전사
Ⅱ. 서정시
1. 서정시의 일반적 특성
a. 서정적 예술작품의 내용
b. 서정적 예술작품의 형식
c. 작품이 출현하는 문화의 관점
2. 서정시의 특수한 측면들
a. 서정시인
b. 서정적 예술작품
c. 본격적 서정시의 장르들
3. 서정시의 역사적 발전
a. 동방의 서정시
b.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의 서정시
c. 낭만적 서정시
Ⅲ. 극시
1. 시적 예술작품으로서의 드라마
a. 극시의 원칙
b. 극시 예술작품
c. 극시 예술작품과 대중의 관계
2. 시적 예술작품의 외적 제작
a. 극시작품들의 독서와 낭독
b. 배우예술
c. 시에서 한층 독립한 극장예술
3. 극시의 여러 장르 및 그 역사적 주요 계기
a. 비극, 희극 그리고 드라마의 원칙
b. 고대 극시와 현대 극시의 차이
c. 극시와 그 장르들의 구체적 전개
책속에서
무엇 때문에 회화가 낭만적 예술형식의 내용을 통해 비로소 그 고유의 정점으로 치솟게 되었는가를 묻는다면, 곧 감응의 내밀함, 심정의 지복과 고통이야말로 영혼이 깃든 정신을 요구하는, 한층 깊은 이 의미내용이라 할 것이니, 이것이 좀 더 고차적인 회화 예술의 완전성에 길을 닦아 주고, 또 그 완전성을 필연적으로 만들었다.
느껴지고 표현되어야 할 본격적 내용은 한 주관에 가해진 직접적인 신체적 고통이 아니라 정신의 역사, 사랑의 고통을 겪는 영혼, 다른 사람의 고난을 걱정하는 고통, 혹은 자신의 하찮음에 관한 자기 내면의 고통이다. 감각적 공포에 처한 순교자의 의연함은 단순히 감각적일 뿐인 고통을 참는 의연함이지만 그 영혼은 정신적 이상 속에서 자신과, 자신의 고난과, 사랑의 훼손과 내면의 참회, 슬픔, 후회, 회한과 관계한다.
음과 더불어 이제 음악은 외적 형상의 요소와 그 직관적 가시성을 떠나며 따라서 그 생산의 이해를 위해 또 다른 주관적 기관인 청각을 필요로 한다. 시각과 마찬가지로 청각은 실천적 감관이 아니라 이론적 감관에 속하며, 심지어 시각보다 더욱 추상관념적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