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생활풍속사
· ISBN : 9791166843655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4-12-02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4
들어가는 말 10
1. 조선시대 문무 인식과 무과의 성립 13
조선 전기의 문무 인식 15
조선 후기 문무 이해와 문무일치론 21
조선 초 무과 창설과 시험 규정 27
『경국대전』의 무과 시행 절차 31
2. 교육기관을 통한 무관 만들기 37
조선 전기 훈련원과 무관 양성 39
조선 후기의 무학과 능마아청 44
3. 무과의 종류와 과목 53
무과의 종류 55
무과의 절차 70
무과와 각종 시취의 과목 73
4. 조선 무인의 무과 준비 85
16세기 후반 이순신 사례 87
18세기 후반 노상추 사례 92
나오는 말 169
주석 175
참고문헌 179
책속에서
위와 같이 정조는 기본적으로 문과 무를 동일하게 인식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실용의 가치가 있는 무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정조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무예가 뛰어난 오늘날 평안도 지역인 서북(西北) 지역민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고자 하였다.
임진왜란 직전인 1583년 함경도의 6진 지역을 공격한 여진족의 니탕개(泥湯介)의 난을 계기로 병조 판서 이이(李珥)는 필요한 무인을 확보하기 위해 무과의 선발 인원을 크게 확대하고 비정기 시험인 각종 별시(別試)의 시행 횟수도 늘리기 시작하였다. 무과 선발 인원을 크게 늘리고 각종 별시를 자주 시행하는 추세는 16세기 말 임진왜란 기간 및 17세기 초 광해군 대에도 대외적인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계속 유지되었다. 조선 후기 무과의 폐단으로 지적되는 이른바 만과(萬科)의 출현이 그것이다.
이순신 집안이 그의 외가가 있는 아산으로 이주한 것도 그가 무관으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이순신의 부친인 이정이 처가가 있는 아산으로 이주한 것은 처가의 전장(田莊)이 있는 곳으로 당시 아산은 궁벽한 시골이어서 제대로 된 사족 사회가 형성되지 못한 곳으로 유교적 영향력이 타 지역에 비해 높지 않은 곳이었다. 대신 무예를 익히는 데에는 유리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