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67071156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3-08-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이 책의 구성과 활용법
1부 국어과 수업 지도안 작성 방법
2부 초등학교 국어 수업 지도안 사례 분석
1장 1~2학년군: 읽기/쓰기/문법, 한글 익히기
2장 1~2학년군: 문학, 소리와 모양을 떠올리며 글 읽기
3장 3~4학년군: 듣기·말하기, 소리 내어 말하기
4장 3~4학년군: 쓰기/문법, 의견 드러내어 글쓰기
5장 5~6학년군: 쓰기/문법, 쓰기 과정을 고려하여 글쓰기
6장 5~6학년군: 문학, 비유하는 표현 살펴보기
3부 중·고등학교 국어 수업 지도안 사례 분석
7장 7~9학년군: 쓰기/문법,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쓰기
8장 7~9학년군: 문법, 음운
9장 7~9학년군: 문학, 상징
10장 10학년: 듣기·말하기, 토론
11장 10학년: 문학, 소설의 사건 전개
12장 11~12학년군: 문법, 담화 맥락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업 지도안(이하 ‘지도안’) 작성은 수업 설계의 한 단계이면서 동시에 수업 설계의 전체 모습을 문서화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지도안 작성의 방법은 단순히 지도안이라는 문서의 형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도안에는 수업 설계의 전체 모습이 담기기 때문에, 지도안 작성의 방법은 수업 설계의 과정과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지도안 작성의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도안의 형식적 구조가 수업 설계의 어떤 측면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잘 생각해 보아야 한다.
무엇보다 큰 차이는 약안에서도 ‘단원 학습 목표와 차시별 지도 계획’을 필수 요소로 설정하였다는 점이다. 본 차시의 수업을 설계할 때 본 차시가 단원 전체의 학습 목표 및 차시별 수업 속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간 ‘단원 학습 목표와 차시별 지도 계획’은 약안의 요소보다는 세안의 요소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했는데, 이 책에서는 ‘단원 학습 목표와 차시별 지도 계획’을 약안에도 꼭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로 설정하였다.
평가가 정리 단계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오래된 편견이다. 평가는 정리 단계뿐 아니라 전개 단계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최미숙 외(2016: 128-129)에서는 ‘수업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라는 항목에서 “학생의 발표, 토론 과정, 표현 과정 등을 교사가 직접 관찰하면서 실시하는 평가 방식은 교사가 평가의 중요한 축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