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후변화 데이터북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후변화 데이터북

(개정판)

박훈 (지은이), 기후변화행동연구소 (기획)
사회평론아카데미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000원 -0% 0원
510원
16,4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후변화 데이터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후변화 데이터북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91167071590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4-08-29

책 소개

기후위기의 시대,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할 최신 기후변화 데이터를 담은 『기후변화 데이터북』은 2021년에 첫 출간되었다. 이후 최신 데이터라는 말이 무색해질 정도로 기후는 예측치를 넘어 빠르게 변했고, 기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은 일제히 더 가파르게 조정되어야 했다. 안타깝게도, 좀 더 좋지 않은 쪽으로.

목차

개정판 서문
책을 펴내며

I. 기후위기 현황
01. 지구는 정확히 얼마나 온난화됐나요?
02. 2023년 1월 1일 기준 잔여탄소예산은?
03. 우리나라 평균지표기온은 10년마다 0.2°C 상승했습니다.
04. 우리나라의 100여 년간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추이
05. 점점 검조해지는 우리나라
06. 엘니뇨-남방진동(ENSO)과 전 지구 평균표면온도(GMST)
07. 로스비파(Rossby waves)와 오메가 블록(Omega block)
08. 전 세계해수면은 매년 약 3.7mm 상승하는 중입니다
09. 지구온난화 때문에 바다도 많이 아파요
10. 전 지구 평균 표층 해수 pH변화, 1985~2022
11. 우리나라 주변해역 평균 해수면 온도는 10년마다 0.24°C 상승하는 중입니다.
12. 지난 50년간 아시아와 유럽의 10대 기상 재난
13. 광역지자체별 새 기후평년값과 30년 전 기후값 비교
14. 도시(서울)의 지표오존 농도 상승과 기후변화
15. 전 지구와 우리나라의 생물 종 수
16. 20개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의 최종 평가 결과
17. IPCC와 IPBES의 일치된 견해(1~3)
18. 기후변화로 악화하는 생물 멸종위기와 자연생태계 보호구역 현황

II. 온실가스 배출 현황: 국제
19. 전 지구 탄소 프로젝트 데이터로 보는 2022년 35대 이산화탄소 배출국
20. 누적배출량 상위 20개국의 온실가스 전체 및 이산화탄소
21. 2021년 10대 경제국의 온실가스 배출 경로
22. OECD 국가별 산업 부문의 전력 소비량 대비 부가가치 산출액 변화
23. OECD 국가별 1인당 전력 소비량 비교
24. 2023년 OECD 회원국 중국·인도·브라질의 에너지원별 발전량 비율
25. 플라스틱 종류별 생산 시 온실가스 배출량과 자연적 분해 소요 시간
26. 수소의 색깔(생산방법)마다 다른 온실가스 배출량

III. 온실가스 배출 현황: 우리나라
27.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따른 우리나라 중간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28. 약 8년마다 서울특별시 전체 면적과 맞먹는 임야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29. 우리나라에서 에너지를 가장 많이 쓰는 부문과 그 에너지원은?
30. 우리나라에서 부문별로 가장 많이 쓰는 에너지원은?
31. 17개 시도의 소득수준별 가구당 에너지 소비량 I
32. 17개 시도의 소득수준별 가구당 에너지 소비량 II
33. 전국 시군구별주거용 건물의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 비교
34. 우리나라 미세먼지는 어디에서 나오나요?
35. 플라스틱 폐기물과 코로나19

IV. 기후변화의 원인
36. 온실가스와 기후변화: 닭이 먼저냐,달걀이 먼저냐
37.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에 축적되는 에너지
38. 킬링곡선(the Keeling Curve)
39. 지구온난화로 수증기가 증가합니다
40. 인간에 의한 지구온난화는 6,500년 전에 시작됐습니다
41. 2022년까지의 전 지구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변화
42. 노벨상으로 보는 기후변화 과학

V. 전망과 시나리오
43. UNFCCC 장기 전 지구 목표 정례검토의 결론 10가지
44. IPCC와 IPBES 과학자들이 시나리오에 함께 쓰는 5가지 ‘공동 사회·경제 경로’
45. 전 세계 기후목표 실현에 의한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46. 기후변화 대응 정도에 따른 우리나라 GDP 전망

VI. 기후행동과 그 효과
47. ‘탄소중립’이란? 다른 용어와의 비교 이해
48. ‘2050년 탄소중립’, 목표가 같아도 행동 속도가 추가 CO₂ 배출량을 좌우합니다
49. 전 세계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수단’의 잠재량·비용 범위
50. OECD 회원국의 지난 30년간 에너지전환 추이
51. 2050년 에너지 부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단계별 목표
52. 2가지 기후행동 시나리오에 따른 전력 생산 비용의 국가(지역)별 비교
53. 원자력 발전에 대한 유럽과 미국 사람 다수의 생각
54.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전환, 빠를수록 좋습니다: 수송 부문 사례
55. 개인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60가지 방법
56. 우리나라 기후변화 완화정책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영향을 미쳤는가
57. 지방자치단체의 탄소중립: 누가 더 책임져야 하는가?
58. 기초지자체의 2022년 주민 일인당 재생에너지 생산량 순위
59. 재생에너지 전력 판매수입을 생산지 주민에게 배분한다면?
60. 파리협정의 전 지구 이행점검(GST) 결과와 반성
61. 화석연료와 자원 채굴로부터 생물다양성 지키기: 심해에 사는 ‘우산 문어’를 아시나요?
62. 마이클 맨의 책, 『새로운 기후 전쟁』 요약
63. 외국 언론이 주목한 기후 도서
64. 기후급변점 대 사회급변행동(Climate Tipping Points vs. Social Tipping Interventions)

저자소개

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면사무소가 해발 520m에 있는 산골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때의 기억 덕분에 늘 아름다운 자연을 그리며 산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나왔으며, 생물들의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과 생존을 연구하는 생물지리학을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식물생태학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마쳤다.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에 계속 관심을 두고 공부하던 중 에너지 분야 석학 바츨라프 스밀(Vaclav Smil)을 통해 생태계의 지속을 위해서는 화석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고 소비지향적인 우리 삶의 방식도 바꿔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에너지정책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 미국 델라웨어대학교 에너지환경정책센터에서 우리나라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때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시간이 흐를수록 악화하고 있고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도 심각하게 낮다는 것을 계량적으로 확인했다. 학위과정 중 기후변화로 인한 국제 정치경제 환경변화에 대응한 전력산업의 전략분석모델 개발, 지방정부의 기후변화 적응 등을 모색한 연구에 참여하면서,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전은 결국 기후 문제를 해결해야만 이룰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에서 포용적인 지속가능발전을 연구할 때도 늘 관심의 중심은 기후변화에 있었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에서 소식지 〈클리마(Klima, ‘기후’를 뜻하는 독일어)〉의 편집위원장을 맡아 기획기사를 쓰면서 기후변화의 쟁점과 대응 방안을 연구해 왔다. 현재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 연구원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2029년 말까지 준비하여 발표할 제7차 평가보고서의 기본 틀이 되는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관리하는 프로젝트인 시나리오MIP(ScenarioMIP) 과학운영위원회의 자문위원이기도 하다. 기후와 생태계의 변화에 대응해 회복탄력적인 사회와 자연환경을 만드는 데 이바지하기 위해 과학과 산업, 지역사회, 국제사회의 연결 방법을 계속해서 고민하고 있다.
펼치기
기후변화행동연구소 (감수)    정보 더보기
기후변화에 관련된 정보를 시민들과 나누며, 보다 적극적인 기후변화 정책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2009년 6월에 설립된 비영리 민간 연구소이다. “기후변화는 가난한 이들의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지역과 시민은 어떻게 지구를 살릴 수 있나?”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해 환경정책, 환경공학, 환경교육, 에너지정책, 환경디자인 분야의 전문 연구진과 과학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만드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의 피해자이자 해결자인 시민들과 소통하면서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대안 마련과 시민행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2만여 명이 구독하는 소식지 〈클리마(Klima)〉를 펴내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고민하는 여러 민간연구소와 연합하여 시민정책포럼을 열고 있다. 또한 “더 짙고 더 푸르게”를 표어로 녹색 공적개발원조(ODA),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에너지대안 및 에너지복지포럼, 지역의 미래를 여는 에너지/기후/급식/먹거리를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ICCA 홈페이지 climateaction.re.kr ICCA 인스타그램 instagram.com/iccakorea ICCA 카드뉴스게시판 climateaction.re.kr/news04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나라는 그 속도가 세계평균지표기온 상승속도(0.14°C/10년)보다 더 빠릅니다. 최악의 시나리오(SSP5-8.5)에 따르면, 현재 15일인 서울시의 연간 폭염일 수가 2050년대에 54.7일로 증가합니다.
- <03. 우리나라 평균지표기온은 10년마다 0.2°C 상승했습니다> 중에서


기상청 보고서는, 지금처럼 해수면이 계속 상승하면서 태풍으로 인한 폭풍해일(storm surge)이 발생하면 인천광역시는 만조 시 최대 26.6%(2030년)~33.6%(2100년)까지 바닷물에 잠길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 <08. 전 세계 해수면은 매년 약 3.7mm 상승하는 중입니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