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7370242
· 쪽수 : 148쪽
· 출판일 : 2021-05-2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아름답고도 기쁜 몸
1장 나는 왜 아름답지 않은가
외모 실험
외모 불만족 사회
외모 강박증에 시달리는 한국인
외모 스키마 벗어나기
2장 주인공은 아름답다
날 때부터 아름다운 주인공들
못생긴 사람도 아름다워 보이게 하는 힘
나는 내 세상의 주인공이다
3장 외모지상주의 들여다보기
외모지상주의의 출현
외모와 정체성의 상관관계
근대의 대도시 속 변화하는 정체성
아름다움의 과학
외모지상주의 비판이 불러온 역효과
4장 내면 들여다보기
표면과 내면
미녀란 무엇인가: 중국의 사대미인
아름다우면 성공하는가?
5장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보는가?
아름답다고 ‘카더라’
보이는 몸
과거의 아름다움과 현재의 아름다움
외모와 타자
나가며 자신의 몸을 사랑하라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자연에는 아름다움과 추함의 기준이 없다. 자연의 모든 동식물은 생긴 대로 살다가 생긴 대로 생을 마감한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이 아니라 문화 속에서 산다. 문화는 구별과 차별의 공간이다. 바둑판처럼 사회가 좌와 우, 상과 하, 우와 열, 백과 흑, 선과 악 등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다. 그 가운데는 필요한 구별도 있다. 그러나 미와 추처럼 불필요하고 해로운 구별도 있다. 최악의 경우에 이러한 구별은 차별이 된다. 사람과 사람의 차이가 미와 추로 차별화되는 것이다. _ 아름답고도 기쁜 몸
우리가 아름다워지고 싶은 가장 큰 이유는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취업이나 승진, 결혼, 성공 등에서 유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름다우면 더욱 기쁘고 행복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그런데 아름다워지면 과연 자신감과 자존감이 더 높아질까? 아름다우면 더욱 행복해질까. 이것은 인과관계에 대한 질문이다. 대답은 ‘그렇지 않다’이다. 아름다움과 행복의 관계는 요즘 많은 학자들이 연구하는 주제 중 하나이다. 앞으로 다시 이야기하겠지만 미리 결론을 말하면, 아름다움의 비밀은 외모가 아니라 행복에 있다. 사람들은 아름답기 때문에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다. 행복하기 때문에 아름답게 보이는 것이다. 아름답다고 해서 자신감과 자존감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자존감이 높아지면 아름답게 보인다. _ 외모 불만족 사회
‘S라인’이라는 말이 없으면 우리는 몸매를 S라인으로 만들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만약 우리가 타임머신을 타고 조선시대로 가서 가슴과 허리, 엉덩이의 S라인이 아름답다는 말을 했다면 당시 사람들은 우리를 정신병자 취급했을 것이다. 가슴과 엉덩이라는 말 자체를 발칙하게 생각했을 것이다. 신장에 알맞은 체중이 있다는 말에도 고개를 흔들었을 것이다. 굳이 조선시대를 예로 들 필요도 없다. S라인이라는 용어는 2000년 이후에야 등장했다. 최근 외모 관련된 신조어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우리는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해서 너무나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엉덩이를 그냥 엉덩이로 보지 않는다. 처지지 않고 올라간 복숭아 엉덩이가 아름답다는 생각을 하면서 엉덩이를 본다. 자신의 엉덩이가 내려갔다고 여겨지면서 엉덩이를 올리는 운동을 해야겠다고 다짐을 한다. 그러한 운동법의 종류는 두 손으로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많다. _ 외모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