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목록과 목록학

중국 목록과 목록학

김호, 조성덕 (지은이)
역락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50원 -5% 0원
95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목록과 목록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목록과 목록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67427199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06-28

책 소개

중국 목록을 다루는 중국 목록학은 목록의 내용을 이해하고, 그 다음에 목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학문 영역이다. 중국 목록에 대한 깊은 이해는 종종 다른 연구자들이 발견하지 못하는 다양한 역사적 사실들을 발견하게 한다. 동시에 목록에 대한 깊은 이해는 보다 넓은 시야로 중국 고전학을 바라보게 하는 기초가 된다.

목차

제1장 중국 목록과 목록학의 정의와 활용
1. 목록(目錄)의 정의와 종류
1) 목록의 정의
2) 목록의 종류
3) 목록학의 공용(功用)
2. 중국 역대 목록의 기본 성격
3. 구체적인 중국 목록학 연구의 예
1) 『사고전서총목(四庫全書總目)』을 이용한 연구
2) 『중국총서종록(中國叢書綜錄)』을 이용한 연구

제2장 중국 목록의 체제와 종류
1. 중국 목록의 체제(體制)
1) 편목(篇目)
2) 서록(敍錄)
3) 소서(小序)
4) 판본(版本), 제발(題跋)과 서발(序跋)
2. 중국의 대표적인 목록
1) 성질에 따른 목록 분류
2) 분류법에 따른 목록 분류

제3장 중국 목록 이해하기(1)?중국 목록의 공시(共時, synchronic)적 이해
1. 목록의 분류법과 수록 서적을 통한 공시적 이해
2. 「소서(小序)」와 「총서(總序)」를 통한 공시적 이해
1) 한서(漢書)·예문지(藝文志)·제자략(諸子略)의 「소서」와 「총서」 이해
2) 『한서·예문지·병서략(兵書略)』의 「소서」와 「총서」 이해

제4장 중국 목록 이해하기(2)?중국 목록의 통시(通時, diachronic)적 이해
1. 특정 목록의 비교를 통한 통시적(通時的, diachronic) 이해
1) 한(漢) 반고撰 『한서·예문지』
2) 당(唐) 위징撰 『수서·경적지』
2. 집부(集部) 유목(類目)의 변천을 통한 목록의 통시적 이해
3. 개별 서적을 통한 중국 목록의 통시적 이해: 『공자가어(孔子家語)』를 중심으로
1) 중국 역대 목록에서 『가어』의 분류 상황
2) 중국 역대 목록에서 『가어』 분류 상황의 변화 의미

제5장 중국 목록과 교감 및 판본의 관계
1. 목록과 교감 및 판본의 관계
2. 목록을 통한 교감 연구의 실례
1) 『이십사사(二十四史)』와 『회남자(淮南子)』의 예
2) 목록을 통한 교감 연구의 실례: 조선간본 하흠(賀欽)『의려선생집(醫閭先生集)』과 중국간본의 교감의 예
3. 목록을 통한 판본 연구의 실례
1) 숭정본(崇禎本)『수경주(水經注)』의 예
2) 『수호전(水滸傳)』과 『사고전서(四庫全書)』의 예
3) 목록을 통한 판본 연구의 실례: 규장각 소장본 『문장백단금(文章百段錦)』을 중심으로

저자소개

조성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연구교수. 대표 논문으로는 『한국문헌소재 이체자연구』(박사학위논문, 2014), 「對漢文原典校勘 處理考察-以韓國校勘方針爲中心」, 『漢字硏究』(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3), 「≪海篇心鏡≫四種版本的詳細書目考察以及朝鮮的接受樣態」, 『中國文字硏究』, 第三十九輯(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24) 등이 있다. 공저로는 『(역주)설문해자주』1~5책(전통문화연구회, 2021~3), 『한문고전 기계번역의 이해』(문예원, 2022), 『꽃과 나무,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따비, 2024), 『중국 목록과 목록학』(역락, 2024) 등이 있다. 주요 관심사는 한국문헌 이체자연구와 한자의 표준자형과 표준음에 대한 정리이다.
펼치기
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문학사(1992), 대만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중국문학연구소(中國文學硏究所) 문학석사(1997), 대만 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 중국문학연구소(中國文學硏究所) 문학박사(2005), 대만 중앙연구원 문철연구소(文哲硏究所) Doctoral candidates(2001.07~2003.06), 성결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전임강사/조교수(2007.03~2012.08),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 East Asian studies Center Research Scholar(2019.07~2020.06), 한국중국산문학회 회장(2020.09~2022.08),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부교수/교수(2012.09~현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