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꽃과 나무,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

꽃과 나무,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

김시현, 신근영, 이진숙, 조성덕, 최승은 (지은이)
따비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꽃과 나무,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꽃과 나무,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92169330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4-02-15

책 소개

한자어의 미묘한 차이와 그 복잡성을 고려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삼국의 문화적 특성을 조명하고, 동서양 어휘 문화의 상호작용과 이에 대한 다양한 통찰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차

발간사 | 〈어휘문화총서〉를 펴내며 5
들어가며 12

제1장 이별과 만남을 상징하는 부드러운 가지 •버드나무
버드나무와 버드나무들 19
버들과 버드나무가 포함된 어휘들 22
수양버들과 여인 23
버드나무 아래에서의 이별 25
버드나무, 봄의 시작과 새로운 생명 26
중국어 버드나무 리우[柳]와 관련된 성어와 시 28
버드나무 젓가락과 이쑤시개 29
가지가 길게 늘어진 버드나무와 여자 귀신 32
버드나무, 슬픔과 애도의 상징 34

제2장 화사한 꽃과 다디단 열매 •복숭아
『삼국사기』와 복숭아꽃의 개화 41
복숭아 이름의 변천 43
복숭아에 대한 불편한 진실 45
보기도 좋고 약으로도 쓰는 복숭아 51
중국에서의 복숭아 상징 52
중국어 복숭아 타오[桃]의 자형 변화와 관련 용어 54
일본 최대 라이벌 가문의 이름을 딴 복숭아나무 55
복숭아는 페르시아의 사과인가? 59

제3장 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식물 •벼
벼와 쌀을 이르는 다양한 이름들 65
쌀을 훔친 아버지와 아들 72
쌀은 백성의 고혈 74
벼 도(稻) 자형을 통해 살펴보는 고대 중국의 벼 76
다오차오런[稻草人]은 허수아비 80
일본에서 벼는 稻 아닌 稲 82
일본에서 가장 널리 숭배되는 곡물신, 이나리노카미 85
동서양 문화 교류의 여정을 통해 본 라이스(rice) 87

제4장 태양을 향하는 일편단심? •해바라기
해를 따라가지 않는 해바라기 93
해바라기 이름의 진실 95
문학 작품에 나타난 해바라기 96
고대 중국에서 채소를 가리켰던 葵 100
해바라기의 의미와 쓰임 102
볼품없는 꽃이었던 해바라기 104
해바라기, 지고지순한 사랑과 열정 106

제5장 아름다움 속에 숨긴 가시 •장미
찔레가 바로 야생 장미 115
한국 역사 속의 장미 118
장미의 원산지는 중국 120
중국어 장미 치앙[薔]의 자형 변화 123
일본의 장미, 노이바라에서 나니와바라까지 124
장미가 아니라도 장미는 장미다 127

제6장 속세의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연꽃
연꽃, 부처이자 선비 135
연꽃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다 138
같지만 다른 수련(睡蓮) 140
자형의 변천을 통해 본 허화[荷花]와 롄화[蓮花] 141
허[荷]와 롄[蓮]의 이미지 및 관련 어휘 144
연꽃잎 모양의 숟가락 147
로터스(lotus)는 연꽃일까 수련일까? 150

제7장 아름다운 꽃과 약으로 쓰이는 뿌리 •백합
알쏭달쏭한 백합의 이름들 157
약과 음식으로 사용한 백합 159
중국에서는 의미가 다른 백합과 백합화 163
완전함을 의미하는 바이[百] 164
바이허화[百合花]에 관한 전설 165
유럽으로 전해진 뎃포유리 167
릴리(lily), 이상적인 사랑과 순수함의 상징 168

제8장 꼬부랑 할머니의 허리처럼 •할미꽃
할미꽃의 다양한 이름들 177
할머니의 넋이 할미꽃을 피우다 180
할아비꽃과 직박구리 183
약초 할아비꽃 186
일본어로 할미꽃은 할아버지꽃 186
패스크플라워(pasque flower)를 할미꽃으로 옮길 수 있을까 189

제9장 약초에서 관상용 꽃으로 •작약
약에만 쓰려 했지만 꽃도 보고 195
문학 작품에 나타난 작약 197
꽃의 신선이자 재상, 사오야오[芍藥] 200
아낌없이 모두 주는 사오야오[芍藥] 202
아름다운 꽃의 대명사, 샤쿠야쿠(シャクヤク) 205
피오니(peony), 신화와 민담 속 치유의 식물 208

제10장 선비들의 사랑을 받은 지조의 상징 •매실나무
매(梅)와 매화(梅花)가 포함된 어휘들 217
매화가 피기를 기도하며 221
중국 매실나무 메이슈[梅樹]의 분포 222
중국어 매실나무 메이[梅]의 자형 변화와 관련 성어 224
일본 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매화와 매실 227
플럼(plum)은 자두인가 매실인가 건포도인가? 231

참고 문헌 236
그림 출처 240

저자소개

이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연구교수. 대표 논저로는 「근대 초기 고소설 영역본의 번역용례 연구: J. S. 게일의 미간행 <운영전 영역본>을 중심으로」, <코기토>(인문학연구소, 2019), <서양인의 한국고전학선집>1, 2(공편역, 박문사, 2017), <제임스 레게의 맹자 역주>1,2,3(공역, 도서출판3, 2021), <십이지 동물,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공저, 따비, 2023) 등이 있다. 주요 관심사는 동서 문화 비교이며, 최근에는 근대이중어사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조성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연구교수. 대표 논문으로는 『한국문헌소재 이체자연구』(박사학위논문, 2014), 「對漢文原典校勘 處理考察-以韓國校勘方針爲中心」, 『漢字硏究』(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3), 「≪海篇心鏡≫四種版本的詳細書目考察以及朝鮮的接受樣態」, 『中國文字硏究』, 第三十九輯(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24) 등이 있다. 공저로는 『(역주)설문해자주』1~5책(전통문화연구회, 2021~3), 『한문고전 기계번역의 이해』(문예원, 2022), 『꽃과 나무,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따비, 2024), 『중국 목록과 목록학』(역락, 2024) 등이 있다. 주요 관심사는 한국문헌 이체자연구와 한자의 표준자형과 표준음에 대한 정리이다.
펼치기
최승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한일과(한일 순차통역·번역 전공)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문학박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교수, 부소장. 일본 근세 후기부터 근대 초기의 초등교육, 특히 문자 학습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며, 한일 국제회의 통역사 및 번역가로도 활동 중이다. 저서(공저)로는 <십이지 동물,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따비), <꽃과 나무,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따비)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쇄국, 그리고 일본의 비극 : 세계적 시권(視圈)으로 본 근세 초기 일본>(보고사, 공역), <전후일본한자사>(역락)가 있다.
펼치기
최승은의 다른 책 >
김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연구교수. 대표 논저로는 「계열관계와 결합관계를 통한 한중 조리동사의 대응관계-삶다(煮)류 의미장을 중심으로」, <중국학>(대한중국학회, 2022), <십이지 동물,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공저, 따비, 2023), <꽃과 나무,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공저, 따비, 2023) 등이 있다. 주요 관심사는 중국 어휘학, 훈고학, 중국어교육 및 한중비교의 전반적인 언어학 연구이다.
펼치기
신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푸단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사업단에서 HK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산언어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 연구자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관련 연구를 수행 중이다. 주로 중·한 언어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인지·화용·문화적 관점에서 언어 현상을 해석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버드나무를 가리키는 柳와 ‘머무르다’라는 의미의 글자 留의 발음이 같기 때문에, 떠나지 말고 머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나룻가에 버드나무를 심은 것도 한 이유가 되었다. 그래서 버드나무가 심어진 곳에 있는 다리를 유교(柳橋)라고 부르며 송별하는 곳의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라틴어 persica는 고대 라틴어 malum Persicum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페르시아 사과’를 의미한다. 페르시아와의 연관성은 peach가 원래 페르시아에서 지중해 지역으로 소개되었다는 오래된 오해에 기반한다.


갑골문에서 稻(벼 도) 자의 아랫부분은 쌀을 담는 돌절구이고, 윗부분의 작은 점은 곡물인 미[米] 자를 가리킨다. 즉, 稻 자는 돌절구에 곡물을 담아 방아를 찧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