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67428479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4-08-22
책 소개
목차
제1부 1990년대 시의 시적 현실에 관한 정신분석적 연구: 박상순?이수명?성미정의 시를 중심으로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 방법
제2장 박상순 시에서 현실 세계로부터 수행하는 탈주 의식
1. 훼손되는 주체와 붕괴하는 세계
2. 자아의 형성과 도래하는 타자들
3. 세계에 개입하고 드러나는 비현실
제3장 이수명 시에서 도시 공간을 통해 드러나는 불안 의식
1. 주체의 반복적 배회와 모순의 도시
2. 팔루스 표상과 현실화하는 무의식
3. 표출하는 욕망과 팽창하는 몸
제4장 성미정 시에서 가족으로부터 전개되는 소외 의식
1. 가족이 초래하는 주체의 타자화
2. 타자와 현실로부터 배제되는 주체
3. 환상과 비판적 패러디의 세계
제5장 박상순?이수명?성미정의 시와 1990년대 시사의 의미
제6장 결론
제2부 박상순?이수명?성미정의 1990년대 시에 나타나는 동시대성과 ‘1990년대적인 것’의 내포
제1장 박상순 시의 동시대성과 식물 표상?시집 『6은 나무 7은 돌고래??와 『마라나, 포르노 만화의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1. 서론
2. 고통과 연동되는 식물 표상
3. 바깥과 연동되는 식물 표상
4. 결론
제2장 동, 식물 표상에 담긴 ‘1990년대적인 것’의 내포?성미정과 이수명의 1990년대 시를 중심으로
1. 서론
2. 동, 식물의 활기와 우울의 승화: 성미정의 시
3. 동, 식물의 복수성과 ‘나’들의 소외: 이수명의 시
4. 결론
제3장 성미정 시의 동시대성과 사물 주체?시집 『대머리와의 사랑??을 중심으로
1. 서론
2. 혼란과 상실을 추동하던 1990년대와 성미정 시의 동시대성
3. 혼란과 상실의 주체화와 사물화하는 주체: 수용의 양상
4. 혼란과 상실의 주체화와 사물화하는 주체: 극복의 양상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