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학의 민주주의

문학의 민주주의

(구로노동자문학회소사(小史))

장성규 (지은이)
역락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100원 -5% 0원
1,90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학의 민주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학의 민주주의 (구로노동자문학회소사(小史))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67429209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구로노동자문학회’를 중심으로 한국에서의 노동자 글쓰기의 문학사를 거칠게나마 조망해보려는 조그마한 시도이다. 1988년부터 2006년까지 지속된 구로노동자문학회는 ‘문학의 주체로서의 노동자’라는 상이 구현된 매우 특이한 문학사적 사례에 해당한다.

목차

머리말

1장 문학사적 맥락 : 노동자 글쓰기를 둘러싼 문학사적 조건

1. 오래된 기억: 텍스트에 새겨진 노동자의 발화들
‘첫째’가 읽은 것과 ‘형식’이 읽지 못한 것
근대소설의 형성과 언어의 위계서열화
노동자-비문해자들의 담화 특성과 발화 전략
서로 배움을 통한 지식의 재분배와 그 윤리
지식재분배의 장으로서의 문학

2. 글쓰기 주체: 민중문학운동과 문학적 주체의 전복
민중적 민족문학론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글쓰기 주체’라는 관념과 실재의 간극 인식
수용미학적 기획과 복수의 노동자 정체성의 충돌
대중문화 분석을 통한 ‘진지전’의 문제설정
민중적 민족문학론의 실천적 급진성

3. 문학의 상: 수행적 장으로서의 텍스트와 문학의 인식
『노동해방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규칙의 ‘위반’과 문학 규범의 ‘전도’
텍스트 유통 기획을 통한 대중저항주체의 호명
수행성의 미학을 위한 텍스트의 전략들

4. 지적·문화적 토대: 노동자 독서 체험과 읽기 문화
‘난독’과 ‘오독’의 책 읽기
노동자 수기에 나타난 독서 목록
클럽과 독서 모임: ‘사적 독서’에서 공적 읽기‘로의 전환
편집되는 텍스트와 문건으로서의 ‘책’
전태일에서 석정남으로, 장남수에서?


2장 글쓰는 노동자의 연대 : ‘구로노동자문학회’의 형성과 전개

1. ‘풍문’으로서의 ‘구로노동자문학회’
‘풍문’과 ‘신화’

2. ‘학출’을 매개로 한 ‘노동’과 ‘문학’의 결합
노동문학의 대두와 글쓰기 주체의 문제
노동자 계급의 글쓰기 주체로서의 자기 인식
‘학출’의 존재 모순
‘노동자문학학교’에서 ‘노동자문학회’로

3. 문학에서 글쓰기로의 전환
계급적 아비투스와 구별짓기
노동과 삶, 투쟁과 문학의 일치
김남주의 죽음과 한 시대의 종언

4. 노동과 문학의 길항 구조 붕괴와 새로운 모색
90년대 문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위기를 사유하기
대안적 문학 생산-유통의 실험
집단적 주체에서 개별적 창작자로

5. 문학의 민주주의의 현실태로서의 구로노동자문학회


3장 노동자 글쓰기의 미학 : 서발턴의 ‘비(非)미학’적 담화 전략 규명

1. ‘문학’에서 ‘글쓰기’로의 전환
“이 따위 글은 나도 쓰겠다!”
지배적 문학 개념의 거부와 해방으로서의 글쓰기

2. 역사적 존재로서의 자기 호명과 정체성 구성
‘서술적 정체성’의 재구성
문학사에 대한 전유


3. 모방과 혼종, 전유와 폐기의 담화 전략
‘장르’ 체계의 해체
혼종과 전유

4. 서발턴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4장 프롤레타리아트의 밤 : ‘꿈’꾸는 시간으로서의 ‘밤’의 탈환

1. ‘시인’의 밤과 ‘노동자’의 밤
노동자 글쓰기를 둘러싼 난감함
윤동주의 밤과 석정남의 밤
잔업과 수배의 시간으로서의 밤

2. 문학의 재분할과 위계의 전도
‘시대적 행운아’들의 문학
문학의 재분할

3. 해방의 공유로서의 노동자 문학회
꿈꾸는 시간으로서의 밤의 탈환
글쓰기와 해방의 감각
텍스트의 끝에서 문학을 시작하기
노동자들의 꿈의 아카이브


5장 아래로부터의 문학사 : 문학을 넘어서는 문학

1. 노동자 문학회 출신 작가들의 문학적 모색

근대적 사유틀에 대한 발본적 성찰과 대안적 주체성의 탐색: 황규관의 경우
노동자 계급 내부의 모순과 노동 개념의 재편: 김사이의 경우
문학 개념의 해체와 ‘거리의 시’의 미학: 송경동의 경우

2. 문학의 민주주의를 상상하기 위하여


참고문헌
부록
구로노동자문학회 연보
구술사 자료 3
- 유시주: 노동과 문학의 결합을 꿈꾸다
- 조기조: 글쓰는 노동자의 탄생
- 송경동: 현장의 시, 전선의 문학
- 김사이: 다시, 새로운 노동문학을
- 이영신: 구로노동자문학회의 마지막 장면들
노동자 문학회 주요 자료 목록

저자소개

장성규 (해설)    정보 더보기
197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인문학부와 서울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후연구원,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를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텍스트에 숨겨진 이들의 목소리를 복원하기 위한 공부와 콘텐츠에 나타난 사회적 징후를 읽는 작업을 하고 있다. 200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문학평론가로도 활동 중이다. 연구서로 『문과 노벨의 장르사회학』, 『좌절된 혁명과 서사의 형식』 등이, 평론집으로 『사막에서 리얼리즘』, 『신성한 잉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