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67960238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2-04-10
책 소개
목차
세계의 세력 변화
서문
한눈에 보는 세계사
1. 문명의 시작과 제국의 탄생
Q1 인류는 왜 아프리카에서 탄생했을까?
Q2 고대문명은 왜 큰 강 주변에서 발달했을까?
Q3 오리엔트에서는 왜 문자나 철이 발달했을까?
Q4 지중해 주변에서는 왜 폴리스가 발전했을까?
Q5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어떻게 인도까지 진출했을까?
Q6 로마가 대제국을 유지한 비결은 무엇일까?
지리로 읽는 세계 문화: 미식의 도시 로마, 세상 모든 음식이 모이다
Q7 진시황은 왜 만리장성을 쌓았을까?
Q8 한은 왜 장안을 수도로 정했을까?
Q9 한 제국과 로마 제국은 왜 같은 시기에 멸망했을까?
Q10 불교는 어떻게 아시아를 지배했을까?
지리로 읽는 세계 문화: 불상에 담긴 헬레니즘
Q11 이슬람교는 어떻게 세계로 퍼졌을까?
Q12 아시아 국가들은 왜 당에 조공을 바쳤을까?
Q13 일본 왕실 창고에 왜 서아시아 문물이 남아 있을까?
Q14 바이킹은 왜 지중해로 나가야만 했을까?
Q15 십자군 원정은 왜 끝내 실패했을까?
Q16 몽골은 어떻게 세계 제국을 건설했을까?
Q17 명은 왜 베이징을 수도로 정했을까?
Q18 명나라 환관은 왜 아프리카로 대항해를 떠났을까?
지리로 읽는 세계 문화: 유럽의 역사를 바꾼 중국의 발명품
2. 유럽의 성장과 뒤얽히는 세계
Q19 왜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가 꽃피었을까?
Q20 대항해시대는 왜 포르투갈에서 시작했을까?
Q21 포르투갈은 왜 말라카를 거점으로 삼았을까?
Q22 콜럼버스는 왜 홀로 서쪽으로 배를 몰았을까?
Q23 잉카 제국은 어떻게 고도의 문명을 이룩했을까?
지리로 읽는 세계 문화: 대항해시대를 뒷받침한 은
Q24 네덜란드는 어떻게 상업국가로 거듭났을까?
Q25 왜 스위스에서 종교개혁이 일어났을까?
Q26 러시아는 왜 수도를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옮겼을까?
Q27 폴란드는 왜 세계지도에서 종종 사라졌을까?
Q28 미국 독립전쟁은 왜 보스턴에서 발발했을까?
Q29 나폴레옹은 왜 대륙을 봉쇄했을까?
Q30 나폴레옹 전쟁 이후 왜 빈에서 회의가 열렸을까?
지리로 읽는 세계 문화: 예술의 수도, 파리를 세운 남자
Q31 왜 리버풀에 세계 최초의 철도를 놓았을까?
Q32 이탈리아의 통일은 왜 어려웠을까?
지리로 읽는 세계 문화: 아랍 세계가 ‘중동’으로 불리는 이유
3. 제국주의와 세계대전 그리고 전쟁 막후
Q33 영국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할 수 있었을까?
Q34 영국은 왜 상하이를 개항했을까?
Q35 서구 열강은 왜 잇따라 일본을 찾았을까?
Q36 열강은 왜 오스만 제국을 둘러싸고 대립했을까?
지리로 읽는 세계 문화: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전해진 커피 문화
Q37 미국은 독립 이후 왜 남북으로 분열했을까?
Q38 태국은 어떻게 열강의 침략을 피할 수 있었을까?
Q39 비스마르크는 왜 러시아와의 동맹에 집착했을까?
Q40 영국과 프랑스는 왜 수단에서 충돌했을까?
Q41 러일전쟁은 왜 발발했을까?
Q42 발칸반도를 왜 ‘유럽의 화약고’라고 부를까?
Q43 ‘아라비아의 로렌스’를 왜 영웅으로 추앙할까?
Q44 아메리카의 중간지대에는 왜 작은 국가가 많을까?
Q45 마오쩌둥의 대장정은 왜 옌안에서 끝났을까?
Q46 히틀러는 왜 뮌헨에서 궐기했을까?
Q47 연합군은 반격의 장소로 왜 노르망디를 택했을까?
Q48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를린은 왜 둘로 나뉘었을까?
Q49 팔레스타인에서는 왜 분쟁이 끊이지 않을까?
Q50 아일랜드는 왜 계속 영국과 대립할까?
Q51 쿠바의 보호국이었던 미국은 왜 국교를 끊었을까?
Q52 패전국 일본은 어떻게 다시 일어섰을까?
Q53 이란은 왜 중동 세계에서 고립되었을까?
Q54 러시아는 왜 우크라이나에 집착할까?
Q55 대만과 중국은 왜 대립하게 되었을까?
지리로 읽는 세계 문화: 유럽 통합, EU의 꿈
세계 주요 종교 분포
세계사 동서 연표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세계사에서 지리와 지형, 인류의 움직임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하지만 우리가 공부해온 세계사는 그 관련성을 의식하지 않은 채 특정 역사적 사실과 연대 암기만을 강조해왔다. 그래서는 방대한 세계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가 무척 어렵다.
- <서문> 중에서
최초로 중국을 통일한 진의 수도인 셴양은 웨이수이분지에 있는데, 웨이수이분지 안쪽은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그야말로 천연의 요새였다. 또한 이곳은 기원전 1046년에서 기원전 256년까지 중국을 지배하던 왕조인 주의 수도 호경이 있었던 자리였기에 수도로서의 품격도 충분히 갖추고 있었다.
- <한은 왜 장안을 수도로 정했을까?> 중에서
십자군 원정은 왜 실패했을까? 주목해야 할 점은 유럽과 팔레스타인이 결코 가깝지 않다는 사실, 또 한 가지는 제1차 십자군 원정에 수만 명에 이르는 빈민이 민중 십자군을 이뤄 약탈을 자행하며 성지로 향한 사실이다.
- <십자군 원정은 왜 끝내 실패했을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