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91167972095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4-12-31
목차
Chapter 1
K컬쳐와 문화콘텐츠
1장 한류에서 K컬쳐로 11
1) 한류의 탄생과 발전 13
2) K컬쳐로의 도약 21
2장 문화콘텐츠와 콘텐츠산업 27
1) 문화콘텐츠의 탄생 29
2) 콘텐츠산업의 특징 36
3) 데이터로 본 콘텐츠산업 현황 41
Chapter 2
K 콘텐츠 힘
3장 오빤 강남스타일, 이젠 아파트 스타일 45
1) 강남스타일과 아파트 47
2) K-pop의 세계화 52
4장 기생충과 범죄도시 사이_영화 57
1) 기생충과 범죄도시 59
2) 문화로서의 영화예술 64
3) 산업으로서의 영화 69
5장 게임 아닌 오징어게임_방송콘텐츠 75
1) 오징어게임 77
2) 방송 포맷 81
3) 포맷 구분 86
4) OTT의 등장 94
6장 신화를 써 가는 나 혼자만 레벨업_웹툰 97
1) 나 혼자만 레벨업 99
2) 만화와 웹툰 103
3) IP로서 만화의 가치 108
7장 신비한 신비아파트_애니메이션 113
1) 신비아파트 115
2) 애니메이션의 정체 119
3) 한국 애니메이션의 발전 과정 122
8장 춘식이를 아세요?_캐릭터산업 129
1) 카카오프렌즈 131
2) 캐릭터산업의 이해 134
3) 국내 캐릭터산업 현황 139
9장 리니지 혹은 배틀그라운드_디지털 게임 145
1) 리니지 147
2) 배틀그라운드 151
3) 미국과 일본을 통해 본 디지털 게임의 역사 155
4) 한국의 게임산업 160
10장 축제는 콘텐츠다 165
1) 지역축제와 콘텐츠 167
2) 공연 174
3) 캐릭터 179
4) 게임 181
Chapter 3
콘텐츠 산업과 미래사회
11장 스토리텔링과 이야기 산업 193
스토리텔링과 스토리공학의 등장 195
이야기 IP와 이야기 산업 200
12장 유튜브와 MCN산업 207
1) 유튜브의 탄생 209
2) 한국의 유튜브 발달사 215
3) MCN산업 220
13장 인공지능과 콘텐츠 제작 225
1) 콘텐츠 제작과 관련한 주요 인공지능(AI) 프로그램 227
2) 인공지능을 활용한 콘텐츠제작 236
14장 콘텐츠 뉴 패러다임 239
1) 데이터로 살펴 본 K컬쳐 241
2) 콘텐츠와 미래기술 247
참고문헌 251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제까지 한류는 단순히 하나의 현상을 넘어, 세계 문화의 흐름을 새롭게 정의하는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처음엔 TV드라마와 K팝으로 시작된 한국 문화의 바람은 이제 영화, 드라마, 웹툰, 애니메이션, 캐릭터, 그리고 게임과 같은 K콘텐츠는 물론이고 한국의 음식문화, 생활문화까지 폭넓게 세계로 퍼져나가며 ‘K컬쳐’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K컬쳐의 발전 과정과 현재의 모습을 조명하며, 앞으로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쓰여졌다.
이 책은 부제에서처럼 한국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입문용으로 쓰였기 때문에 콘텐츠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물론 일반인들도 알기 쉽게 하는 데 목적을 두었음을 밝힌다. 그리고 이 책은 단순히 K컬쳐의 현재를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문화적 가능성과 콘텐츠 산업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부디 독자들께서는 이 책을 통해 K컬쳐의 힘과 가치를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통찰에 작은 도움이나마 되길 기대한다.
_머리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