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헤테로토피아 시학 1~2 세트 - 전2권

헤테로토피아 시학 1~2 세트 - 전2권

김지율 (지은이)
새미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7,500원 -5% 0원
1,500원
4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헤테로토피아 시학 1~2 세트 - 전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헤테로토피아 시학 1~2 세트 - 전2권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67972590
· 쪽수 : 774쪽
· 출판일 : 2025-10-01

목차

-1권-
차 례
머리말 5
1부
현대시와 내러티브 그리고 헤테로토피아
하나의 장소, 여러 공간의 헤테로토피아 25
장소 밖의 장소: 이질적 공간성과 시적 주체의 재구성 29
권력, 공간, 신체: 헤테로토피아를 통한 사회제도의 공간적 이동 34
헤테로토폴로지와 공간의 비판적 사유 36
바깥 세상으로부터의 피난처, 아를의 '노란 방' 40
시대의 내면 풍경과 헤테로토피아 50
'가능성의 불가능성'으로서의 이질적 시간과 혼종적 공간, 1950년대 문학의 공간 52
판옵티콘 시대, 감시와 일탈로서의 서사 공간, 1960, 70년대 문학의 공간 54
동시대의 환멸과 일탈의 공간, 1980년대 민주화와 탈근대의 헤테로토피아 58
경계의 해체와 이질적 공간, 199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던과 탈중심의 헤테로토피아 61
시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시적 공간을 위하여 65
2부
원체험과 부정의 혼종적 공간
: 1950년대 해방 후 전쟁과 분단의 헤테로토피아
'가능성의 불가능성'으로서의 이질적 시간과 혼종적 공간, 1950년대 현대시의 헤테로토피아 71
도시 공간의 모더니즘적 상상력과 자연 친화적 전통 서정 76
김수영 시에 드러나는 경험의 토폴로지 81
전쟁과 역사의 현장, 생존과 죽음이 교차하는 '포로수용소' 85
전후 근대 도시의 이질적 장소들 ? 거리, 국립도서관, 산정 94
저항과 생성으로서의 '아픈 몸' 110
박인환과 박재삼 시에 드러나는 혼종적 장소의 의미 127
도시 지향과 '명동'이라는 모더니티 장소 127
희망과 절망의 경계, 탈이데올로기적 공간 '마리서사' 142
'삼천포'의 가난과 슬픔으로 구축된 전통 자연관 161
설화적 상상으로서의 심미적 공간 176
3부
'무의미'의 추구와 모순과 전복의 반反공간
: 1960~70년대 군부독재와 산업화의 헤테로토피아
판옵티콘 시대, 감시와 일탈로서의 서사 공간, 1960, 70년대 현대시의 헤테로토피아 197
김춘수의『 처용단장』과 '무의미의 시'에 드러나는 헤테로토피아 208
혼종적 상상력과 무의미의 공간『: 처용단장』의 반反장소적 의미 216
'통영'과 '바다' 그리고 고향의 헤테로토피아 224
세다가야서와 '감옥'이라는 규율과 일탈의 장소 234
김종삼과 전봉건 시의 헤테로토피아 250
'아우슈비츠'라는 모순과 이질성異質性의 장소 256
'원정園丁' 이라는 영원성의 공간 268
사랑이라는 '환상'의 서사 공간 ?「 춘향연가」와 '옥獄' 282
영화와 현실의 혼종적 장소 ? '마카로니 웨스턴' 290
추천글 311
참고문헌 315

-2권-
차 례
4부
동시대의 환멸과 일탈의 공간
: 1980년대 민주화와 탈근대의 헤테로토피아
민주화와 탈근대에 대한 환멸과 일탈의 공간 1980년대 현대시의 헤테로토피아 11
이성복 시의 '유곽', '금촌' 그리고 '남해 금산'이라는 헤테로토피아 18
절망과 환멸로서의 '유곽'이라는 '일탈'의 장소 24
우울과 자의식의 '금촌'이라는 '위기'의 장소 35
신화와 치유로서의 '남해 금산'이라는 '영원성'의 공간 45
'청파동'과 언어의 경계를 넘는 최승자 시의 헤테로토피아 60
'영원한 루머'와 혼종적 주체들의 탈질서 공간, '청파동' 67
'아무도 없는' 장소, 부재라는 우울의 '중얼거림' 74
혼종적 주체들의 반反장소, 서술 언어의 '해체' 85
언어의 탈脫장소, 시대의 상처를 담는 잿빛 언어 '침묵' 92
황지우 시의 헤테로토피아 장소성 연구 110
'시적인 것'의 알레고리적 해체와 언어의 '비非장소성' 118
삶과 죽음의 공존 혹은 경계, '광주'라는 애도의 헤테로크로니아 130
부재의 유토피아, '솔섬'과 '율도국'이라는 영원성의 헤테로토피아 142
5부
경계를 가로지르는 이질적 공간
: 199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던과 탈중심의 헤테로토피아
포스트 모던과 경계를 가로지르는 탈脫장소들, 1990년대 현대시의 헤테로토피아 157
여성시에 드러나는 '몸'이라는 혼종적 장소 166
김혜순의 경계를 넘어 이야기를 생성하는 '코라chora'의 몸 173
김언희의 변방의 블랙홀과 '호랑말코'들의 '위반'의 몸 186
이원의 가상 공간과 물리적 몸의 경계 넘기, '사이보그'의 몸 198
기형도 시에 드러나는 '정동'과 '사이 공간'들 222
변위적 상상력으로서의 '정동'과 '사이 공간' 228
절망과 희망이 부유浮游하는 알레고리적 장소 '안개' 237
유토피아의 부재와 우울이라는 '빈 장소'들 249
고정희 시의 파레시아와 헤테로토피아 268
'저항'적 파레시아와 '민중 연대'의 반反공간 277
'고백'의 파레시아와 '여성 해방'의 실천적 공간 290
'자기 성찰'의 파레시아와 '생명 회복'을 위한 자기 돌봄의 장소 301
유하와 장정일 시의 헤테로토피아 320
욕망의 '압구정동'과 환멸의 '경마장' 325
'키치kitsch'라는 이름의 유토피아, '세운상가' 335
'중심'에 대한 저항과 반이데올로기적 '강정' 346
이탈적 욕망과 길 헤맴의 '길안' 356
허수경 시에 드러나는 트랜스로컬리티로서의 '고향'의 변모 양상과 서발턴 372
고향 '진주' ? 저항의 헤테로토피아와 이름 없는 주체들 380
타향의 도시 '서울' ? 욕망의 헤테로토피아와 도시 빈민들 389
'글로벌'이라는 새 고향 ? 연대의 헤테로토피아와 디아스포라의 난민들 399
맺음말 418
추천글 423
참고문헌 429

저자소개

김지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진주에서 태어나 2009년 『시사사』로 등단했다. 시집 『내 이름은 구운몽』, 『우리는 날마다 더 아름다워져야 한다』, 대담집 『침묵』, 詩네마 이야기 『아직 돌아오지 않은 것들』, 『나는 천사의 말을 극장에서 배웠지』가 있다. 연구서로 『한국 현대시의 근대성과 미적 부정성』, 『문학의 헤테로토피아는 어떻게 기억되는가』, 『나의 도시, 당신의 헤테로토피아』, 『헤테로토피아 시학 1』, 『헤테로토피아 시학 2』 등이 있다. 개천문학상, 진주문학상, 시사사 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