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67972606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5-10-01
목차
머리말 5
1부
현대시와 내러티브 그리고 헤테로토피아 하나의 장소, 여러 공간의 헤테로토피아 25
장소 밖의 장소: 이질적 공간성과 시적 주체의 재구성 29
권력, 공간, 신체: 헤테로토피아를 통한 사회제도의 공간적 이동 34
헤테로토폴로지와 공간의 비판적 사유 36
바깥 세상으로부터의 피난처, 아를의 '노란 방' 40
시대의 내면 풍경과 헤테로토피아 50
'가능성의 불가능성'으로서의 이질적 시간과 혼종적 공간, 1950년대 문학의 공간 52
판옵티콘 시대, 감시와 일탈로서의 서사 공간, 1960, 70년대 문학의 공간 54
동시대의 환멸과 일탈의 공간, 1980년대 민주화와 탈근대의 헤테로토피아 58
경계의 해체와 이질적 공간, 199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던과 탈중심의 헤테로토피아 61
시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시적 공간을 위하여 65
2부
원체험과 부정의 혼종적 공간
: 1950년대 해방 후 전쟁과 분단의 헤테로토피아
'가능성의 불가능성'으로서의 이질적 시간과 혼종적 공간, 1950년대 현대시의 헤테로토피아 71
도시 공간의 모더니즘적 상상력과 자연 친화적 전통 서정 76
김수영 시에 드러나는 경험의 토폴로지 81
전쟁과 역사의 현장, 생존과 죽음이 교차하는 '포로수용소' 85
전후 근대 도시의 이질적 장소들 ? 거리, 국립도서관, 산정 94
저항과 생성으로서의 '아픈 몸' 110
박인환과 박재삼 시에 드러나는 혼종적 장소의 의미 127
도시 지향과 '명동'이라는 모더니티 장소 127
희망과 절망의 경계, 탈이데올로기적 공간 '마리서사' 142
'삼천포'의 가난과 슬픔으로 구축된 전통 자연관 161
설화적 상상으로서의 심미적 공간 176
3부
'무의미'의 추구와 모순과 전복의 반反공간
: 1960~70년대 군부독재와 산업화의 헤테로토피아
판옵티콘 시대, 감시와 일탈로서의 서사 공간, 1960, 70년대 현대시의 헤테로토피아 197
김춘수의『 처용단장』과 '무의미의 시'에 드러나는 헤테로토피아 208
혼종적 상상력과 무의미의 공간『: 처용단장』의 반反장소적 의미 216
'통영'과 '바다' 그리고 고향의 헤테로토피아 224
세다가야서와 '감옥'이라는 규율과 일탈의 장소 234
김종삼과 전봉건 시의 헤테로토피아 250
'아우슈비츠'라는 모순과 이질성異質性의 장소 256
'원정園丁' 이라는 영원성의 공간 268
사랑이라는 '환상'의 서사 공간 ?「 춘향연가」와 '옥獄' 282
영화와 현실의 혼종적 장소 ? '마카로니 웨스턴' 290
추천글 311
참고문헌 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