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91167970848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22-11-24
목차
머리말 5
1부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고찰
1. 인간과 공간 그리고 문학 19
2. ‘다른 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 25
1)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25
2) 헤테로토폴로지 33
3) ‘몸’이라는 헤테로토피아와 공간의 젠더화 37
3. 공간의 재구성과 그 ‘너머’ 43
1) 디지털 헤테로토피아와 ‘메타버스’ 44
2) 다시, ‘바깥’의 장소로 46
2부 경험의 위상학과 재구성된 공간의 사유
1. 김기림의 「기상도」에 드러나는
헤테로토피아와 다중적 시선 53
1) 모더니즘 시론의 변모와 「기상도」의 근대적 특징 57
2) 역동과 혼종의 ‘다른 공간들’ 62
3) 다중적 시선으로 본 문명비판과 근대의 명암 69
2. 김수영과 김춘수 시의 헤테로토피아 81
1) 1950년대라는 이질적인 시간과 혼종적 공간 86
2) 역사와 현실의 도시 공간과 부정의 헤테로토피아 91
3) 신화적인 자연 공간과 원형의 헤테로토피아 102
3부 기억의 토포스와 서사적 공간의 내러티브
1. 전봉건 시의 장소와 현실 대응 방식 119
1) 감시 속의 개방적 장소와 현실 부정 123
2) 소외된 도시와 고향 회고 129
3) 고립된 장소에서의 내면 응시와 그로데스크적 환상 136
2. 김종삼 시의 ‘비극적 숭고’와 헤테로토피아 147
1) ‘다른 장소’와 미적 가능성으로서의 숭고 151
2) 전쟁과 죽음으로부터의 ‘비극적 숭고’ 156
3) 음악을 통해 나아가는 ‘절대 세계’ 165
3. 오정희 불의 강에 드러나는
헤테로토피아와 강박적 이야기하기 179
1) 혼종적 반(反)공간과 전복적 말하기 184
2) 위반의 일탈적 공간과 억압 충동으로서의 강박증 189
3) 회상을 통한 이야기하기 욕망과 저항의 문학적 공간 195
4부 ‘잃어버린 자아’에서 ‘생명 연대’의 세계로
1. 허수경 시의 헤테로토피아와 생태적 상상력 213
1) 탈근대성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와 생태적 상상력 217
2) 폐허의 ‘유적지’
-전쟁과 죽음으로부터 생명을 키우는 ‘감자의 시간’ 221
3)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난민과 국경 없는 생명 연대 231
2. 허수경 시에 드러나는 트랜스로컬리티로서의 ‘고향’의 변모 양상과 서발턴 241
1) 고향 ‘진주’-저항의 헤테로토피아와 이름 없는 주체들 248
2) 타향의 도시 ‘서울’
-욕망이나 단절의 헤테로토피아와 도시 빈민들 255
3) ‘글로벌’이라는 새 고향,
-연대의 헤테로토피아와 디아스포라의 난민들 262
참고문헌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