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91168019126
· 쪽수 : 546쪽
· 출판일 : 2022-12-02
책 소개
목차
외곡의 절기 풍속화는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의 큰 스승
교육현장에 꼭 필요한 풍속화집
발간을 축하하며
감사의 글
세시 풍속화(歲時風俗畵)
Sesipungsokhwa (Paintings of Seasons and Traditions)
歲時風俗畵
1. 월별 엣마을 세시 풍속
2. 계절별 24절기 풍속
저자소개
책속에서
액막이
음력 정초 민가에서는 벽에 닭과 호랑이의 그림을 붙여 사악한 액이 물러가기를 빌고, 삼재(三災)가 든 사람은 세 마리의 매를 그려 문설주에 붙여 액막이를 하는 풍습이 있다.
January 29/ ‘Seol’(‘Aengmagi’)
‘Aengmagi’(Exorcism)
At the beginning of the lunar year, it is believed that displaying an image of a chicken and a tiger on a wall will repel and ward off evil spirits. Individuals who experienced the three types of disasters (water, fire, and wind) make it a ritual to display a picture of three hawks on their gatepost for the same reason.
正月 29 / お正月(厄よけ)
旧暦年初、民家では壁に鶏と虎の絵を貼り付けて邪悪な厄が退くように祈り、三災の入った人は三匹の鷹を描いて門柱に付け厄よけをする風習がある。
- '정월 29 / 설(액막이)' 중에서
빚
민가에서는(고려, 조선 초기) 아무리 생활이 궁핍하고 어려운 사람이라도 모든 빚을 갚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동짓날을 맞는 풍습이 있었다.
Winter Solstice 4 / ‘Bit/Debt’
During the early ‘Joseon’ and ‘Goryeo’ Dynasty, it was customary to pay off all debts before ‘Dongji’ Day no matter how bad one’s financial situation was. This was done in order to start the year with a clear conscience and mentality.
冬至 4 / 借金
民家では(高麗、朝鮮初期)いくら生活が貧しくて困った人でも、すべての借金を返して身軽な心で冬至の日を迎える風習があった。
- '동지 4 / 빚'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