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68102125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3-10-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한국 근대시론의 구조적 연구
―1930년대 시론을 중심으로
I. 서론
1. 연구 목적 및 대상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II. 연구 관점 및 방법론의 모색
1. 구조적 연구의 의미와 방법
2. 문학비평 연구의 좌표 설정
3. 미적 근대성의 개념과 근대문학의 범주 설정
III. 기교주의 논쟁의 의미와 위상
1. 낭만주의의 재평가와 수용
2. 기교주의와 기술의 개념
IV. 1930년대 시론의 양상과 미적 근대성의 세 방향
1. 김기림의 시론
1) 주지주의 시론과 반낭만주의
2) 전체성의 시론과 휴머니즘
3) 기하학적 문제설정과 미적 근대성의 양면적 추구
2. 임화의 시론
1) 프로 시론과 규범
2) 리얼리즘 시론과 실천
3) 변증법적 문제설정과 역사철학적 근대성의 추구
3. 박용철의 시론
1) 존재의 시론과 수용과정의 탐색
2) 변용의 시론과 창작과정의 탐색
3) 유기체적 문제설정과 소극적인 미적 근대성의 추구
V. 1930년대 시론의 상관성
VI. 결론
제2부 한국 근대시의 구조적 연구
I. 서정주 초기시의 의미구조 연구
―이원성과 그 융합의 의지를 중심으로
1. 서론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2) 서정주 시 이해의 전제
3) 연구 목적 및 방법
2. 대립 개념과 시의식의 구도
1) 자화상 의 구조 분석
2) 시의식의 발생
3) 시의식의 지향
3. 갈등의 전개 양상과 시세계의 규명
1) 부성의 부재와 모성의 동경
2) 외계의 억압과 자아의 폐쇄
3) 육체적 욕망과 정신적 탐구
4) 융합의 의지와 수직적 상승
4. 초기시의 의미구조와 후기시의 양상
1) 이원성과 그 융합의 의지
2) 후기시의 양상
5. 결론
II. 불교적 역설의 시적 구현 ― 한용운론
1. 문제 제기
2. ‘님’의 정체와 ‘침묵’의 의미
3. ‘밤’과 ‘잠’의 의미
4. 생활세계와 역사적 실천의 통합
5. 맺음말
III. 풍경의 배음(背音)과 존재의 감춤 ― 김종삼론
1. 문제 제기
2. 물 통 의 구조와 의미
3. 풍경의 배음(背音)
4. 인간 부재와 절대적 존재의 감춤
5. 환멸과 영원 사이의 순례
6. 맺음말
IV. 투영된 자아와 시적 형상화의 방식
―정지용 서정주 김수영의 경우
1. 문제 제기
2. 정지용-유리창과 별:감정의 지적 절제와 공간화
3. 서정주-피와 이슬:육체적 정신의 언어
4. 김수영-영사판과 어둠:역동성과 각성의 시학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