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통과 창조

전통과 창조

(조지훈 탄생 100주년 기념 논문집)

장만호, 송현지, 박헌호, 임광순, 이휘현, 이경수, 이재복, 홍일식, 최동호, 조광렬, 홍용희, 여태천, 유성호, 김건우, 조강석, 고지혜, 김준현, 조형열, 허은, 주영중 (지은이), 오형엽, 김종훈 (엮은이)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600원 -5% 0원
1,40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통과 창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통과 창조 (조지훈 탄생 100주년 기념 논문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91161854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조지훈 선생은 동서양의 사상과 이론을 아우르는 보편적문학 및 문화학을 정립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시종일관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2020년에 개최한 세 가지 학술대회를의 성과를 모아 엮었다.

목차

1부 조지훈 탄생 100주년 기념 인문학 축제
홍용희 — 고전적 미의식과 역사적 대응력 — 조지훈론
여태천 — 「고전적 미의식과 역사적 대응력」에 대한 토론문
유성호 — 조지훈 문학의 원류와 시론의 방향 — 매체와 창작 흐름과 관련하여
김종훈 — 「조지훈 문학의 원류와 시론의 방향」에 대한 토론문
김건우 — 전후 지식인 사회와 조지훈의 위치
조강석 — 「전후 지식인 사회와 조지훈의 위치」에 대한 토론문
고지혜 —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
김준현 —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에 대한 토론문
조형열 — 조지훈의 한국사 연구 — 민족 정신사 수립의 길
허은 — 「조지훈의 한국사 연구」에 대한 토론문

2부 조지훈 탄생 100주년 기념 포럼
김종훈 — 조지훈 시의 예외성과 보편성 — 월정사 시편을 중심으로
주영중 — 「조지훈 시의 예외성과 보편성」에 대한 토론문
오형엽 — 조지훈 시론의 보편성 연구 — 『시의 원리』를 중심으로
장만호 — 「조지훈 시론의 보편성 연구」에 대한 토론문
송현지 — 조지훈과 혜화전문학교—식민지 고등교육 이원 구조와 조선학 학술장을 중심으로
박헌호 — 「조지훈과 혜화전문학교」에 대한 토론문
임광순 — 조지훈의 민족, 역사, 그리고 정치성
이휘현 — 「조지훈의 민족, 역사, 그리고 정치성」에 대한 토론문

3부 조지훈 탄생 100주년 기념 강연 및 추모 좌담회
이경수 — 정지용과 김수영을 통해 읽는 조지훈의 시
이재복 — 전통의 발견과 국학의 탄생 — 조지훈 학문 세계의 해석 원리와 지적 형상을 중심으로

4부 후학과 유족의 추모 산문
홍일식 — 「지조론(志操論)」의 선비 시인, 조지훈
최동호 — 문사의 길 또는 정신사의 높이 — 조지훈의 생애와 문학적 기품
조광렬 — 아버지가 남긴 교훈(敎訓)

저자소개

유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등단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 『침묵의 파문』, 『한국 시의 과잉과 결핍』, 『현대시 교육론』, 『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종교적 상상력』, 『정격과 역진의 정형 미학』, 『다형 김현승 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김달진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서남대, 한국교원대를 거쳐 현재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문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펼치기
최동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경기도 수원 출생. 고려대 국문과, 동대학원 문학박사. 경남대와 경희대, 고려대 교수 역임. 현 고려대 문과대 국문과 명예교수 겸 경남대 석좌교수. 시집 『황사바람』(1976), 『아침책상』(1988), 『공놀이하는 달마』(2002), 『불꽃 비단벌레』(2009), 『얼음 얼굴』(2011), 『수원 남문 언덕』(2014), 『제왕나비』(2019), 『황금 가랑잎』(2021), 『경이로운 빛의 인간』(한영시집, 2023) 등. 대산문학상, 만해대상, 박두진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몰도바 작가연맹문학상, 미국 제니마문학상 등 수상.
펼치기
홍용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6년 안동 출생 경희대 국문과 및 동대학원 졸업 1995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평론 등단 저서 『김지하문학연구』 『꽃과 어둠의 산조』 『한국문화와 예술적 상상력』 『아름다운 결핍의 신화』 『대지의 문법과 시적 상상』 『현대시의 정신과 감각』 『고요한 중심을 찾아서』 등 젊은평론가상, 편운문학상, 시와시학상, 애지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유심문학상 등 수상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문명원장,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 계간 《시작》 주간, 《대산문화》 편집위원, 디아스포라 웹진 《너머》 편집위원, 문화예술지 《쿨투라》 기획위원 등
펼치기
홍일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6년 서울 출생 1955년 양정고등학교 졸업 1959년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 석사·박사 명예 철학박사(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 및 민족문화연구소 소장 고려대학교 제13대 총장 베이징대학교 초빙교수 독립기념관 건립 추진위원·기획위원 전국경제인연합회 자문위원(문화부문) 삼성그룹 자문위원(문화담당) 성곡학술문화재단 이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재단(학교법인 동원육영회) 이사장 공동체의식개혁 국민운동협의회 회장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공동의장 사단법인 세계孝문화본부 총재 학교법인 양정의숙 이사장 우당이회영선생기념사업회 회장 여순순국선열기념재단 이사장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 사단법인 한국인문사회연구원 이사장 재단법인 문화영토연구원 이사장 저서 《육당연구》 《한국전통문화시론》 《한국개화기의 문학사상연구》 《한국개화 사상사》(공저) 《일제치하의 문화운동사》(공저) 《문화영토시대의 민족문화》 《21세기와 한국전통문화》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문화대국으로 가는 길》 《나의 조국 대한민국》 등 다수 상훈 제1회 세종문화상(문화부문)·대통령 포장·중앙문화 대상· 문화훈장 보관장·청조근정훈장
펼치기
박헌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서울 출생.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고려대학교 BK21 한국학 연구교수 역임.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 저서 《이태준과 한국 근대소설의 성격》(소명, 1999), 《한국인의 애독작품-향토적 서정 소설의 미학》(책세상, 2001) 논문 〈한국 근대 단편 양식과 김동인〉(1·2) 〈구인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 근대소설사에서 단편 양식의 위상〉 〈나도향과 욕망의 문제〉 〈한국 근대소설사 연구에서 ‘양식’의 문제〉 등 다수.
펼치기
박헌호의 다른 책 >
이재복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이상 소설의 몸과 근대성에 관한 연구>(2001)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 <소설과사상> 겨울호에 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쿨투라>, <본질과현상>, <현대비평>, <시와사상>, <시로여는세상>, <오늘의소설>, <오늘의영화> 편집ㆍ기획위원을 역임했다. 김준오시학상, 고석규비평문학상, 젊은평론가상, 애지문학상(비평), 편운문학상, 시와표현평론상, 시와시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국제문화대학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몸>, <비만한 이성>, <한국문학과 몸의 시학>, <현대문학의 흐름과 전망>, <한국 현대시의 미와 숭고>, <우리 시대 43인의 시인에 대한 헌사>, <몸과 그늘의 미학>, <내면의 주름과 상징의 질감>, <벌거벗은 생명과 몸의 정치>, <근대의 에피스테메와 문학장의 분할>, <정체공능과 해체의 시론> 등이 있다.
펼치기
이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대전에서 태어났다. 1991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백석 시 연구·화자 유형을 중심으로>로 문학 석사 학위를, <한국 현대시의 반복 기법과 언술 구조?1930년대 후반기의 백석·이용악·서정주 시를 중심으로>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문화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해 문학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불온한 상상의 축제≫, ≪한국 현대시와 반복의 미학≫, ≪바벨의 후예들 폐허를 걷다≫, ≪춤추는 그림자≫, ≪다시 읽는 백석 시≫(공저), ≪이용악 전집≫(공편저), ≪최재서 평론선집≫(편저) 등이 있다. 제23회 김달진문학상, 제8회 애지문학상, 제17회 젊은평론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시와 시론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여태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0년 《문학사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국외자들』 『스윙』 『저렇게 오렌지는 익어 가고』 『감히 슬프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가 있다. 김수영 문학상, 편운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동덕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조광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경북 영양에서 조지훈 시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68년 홍익대 건축과를 마치고 동 대학원에서 수학하던 중, 현대건설에 입사하여 설계과에서 근무했다. 1971년에 도미하여 1973년 미국 조지아 공대 대학원에서 건축 및 도시계획을 전공했다. 이후 여러 설계사무소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했다. 1983년 귀국하여 쌍용 엔지니어링.현대건설.선경건설 이사를 역임했고, 건축사무소를 자영했다. 1992년 다시 도미, 2007년 현재 미국 뉴욕에서 살고 있다. 2001년부터 4년 여에 걸쳐 미주판 「뉴욕 한국일보」에 '삶과 생각'이라는 칼럼을 집필했다. 2007년에는 계간 「문예운동」을 통해 한국문단에 등단하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회고록 <승무의 긴 여운, 지조의 큰 울림 - 아버지 조지훈 - 삶과 문학과 정신>과 에세이 <태초에 멋이 있었다>가 있다.
펼치기
조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했다. 200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주요 저서로 평론집 『이미지 모티폴로지』, 『경험주의자의 시계』, 『아포리아의 별자리들』 등이 있고, 연구서로 『비화해적 가상의 두 양태』 등이 있다. 김달진 젊은평론가상,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계간 『문예중앙』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장만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전북 무주에서 출생하였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2001년)와 박사학위(한국 근대 산문시의 형성과정 연구, 2007년)를 취득하였다. 2001년 세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하여 2008년 시집 <무서운 속도>를 간행하였으며, 김달진문학상 젊은시인상(2008년)을 수상하였다. 2015년 현재 국립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김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현대소설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인 「전후 문학 장의 형성과 문예지」를 비롯하여 최근 논문인 「문학 매체로서의 ‘웹’의 대두와 소설가/작가」에 이르기까지 문학이 신문, 잡지, 웹 등의 매체와 관계 맺는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2012년 ‘ZA 문학상’을 수상하며 작가가 되었고, 2017년부터 웹소설을 쓰기 시작하여 ‘네이버 시리즈’, ‘문피아’ 등 주요 플랫폼을 통해 창작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웹소설 작가의 일』이 있다.
펼치기
주영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07년 [현대시]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시집 [결코 안녕인 세계] [생환하라, 음화] [몽상가의 팝업스토어]를 썼다. 현재 대구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임광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한국현대사에서 노동과 가족의 문제를 엮어 연구하고 있다. 석사학위 논문으로 「유신체제하 박정희 정권의 노동정책 전개와 성격 : 공장새마을운동의 양면성과 균열을 중심으로」를 제출했다.
펼치기
고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현대소설사를 공부해왔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해방 후 한국문학장의 형성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며 1960~1990년대를 중심으로 각 시대의 문학형성과 정전을 구성하는 경계와 기율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1950~1970년대 『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의 '소녀'와 정전화 과정」,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 「1950년대 '신라'의 재전유와 네이션의 서사 만들기」 등이 있고,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여러 즐거운 시도를 하며 연구자 생활정보지 『바람의 연구자』를 만들었다.
펼치기
이휘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연구원
펼치기
조형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사학전공 교수
펼치기
허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펼치기
오형엽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문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현대시』 신인상,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부문 수상으로 등단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 근대시와 시론의 구조적 연구』, 『현대시의 지형과 맥락』, 『현대문학의 구조와 계보』, 『문학과 수사학』, 『한국 모더니즘 시의 반복과 변주』 등이 있다. 편운문학상, 김달진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고려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문학평론가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