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울산 반구천의 정자와 시문

울산 반구천의 정자와 시문

이문상우 (엮은이)
태학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2,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울산 반구천의 정자와 시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울산 반구천의 정자와 시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9116810344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3-25

책 소개

울산대학교 성범중 명예교수를 중심으로 울산 지역의 옛 문헌자료를 강독하며 우리 역사와 인문학을 공부하는 모임 ‘이문상우(以文尙友)’에서 울산 반구천(盤龜川) 유역 정자들과 관련한 시문을 번역하고 해설을 붙여 『울산 반구천의 정자와 시문』을 펴냈다.

목차

책을 펴내면서
화보

제1부 백련정(白蓮亭)

1. 개요
2. 문(文)
∙최남복 - 백련서사상량문
∙최남복 - 백련서사개기축문
∙최남복 - 백련산수기
∙최남복 - 연사참동만계시서
3. 시(詩)
∙최남복 - 수옥정을 낙성하다
∙최남복 - 백련구곡도가. 아울러 소서를 쓰다
∙최남복 - 백련서사에서 장수하려고 만계를 결성하고 지은 시. 서문이 있다
∙최남복 - 병이 나서 수옥정에 누웠는데 칠순의 이동급 노인이 찾아오셨기에 기쁨보다 감격이 많아서 시축 중의 ‘인륜의 도리를 읊다(人道吟)’ 시에 차운하다
∙최남복 - 백련서사에서 족형 제익의 시에 장난삼아 차운하다
∙최남복 - 백련서사에서 이근오 기랑을 기다리다
∙이정익 - 도와 경지 최남복의 백련정 시에 차운하다
∙이근오 - 백련서사에서 최경지와 이별하다. 나에게 오언율시 한 수를 주기에 말 위에서 화답하여 주다
∙이근오 - 치암 남경희, 도와 경지 최남복, 용암 익지 최기영, 최천용과 백련서사에 모여 이야기하다
∙계오 - 삼가 백련서사 생원 최남복의 시에 차운하다
∙계오 - 도와 최 상사 공은 계오와 함께한 바가 있었으나 불행하게도 죽었다. 5년이 지나 장천사에 볼일이 생겨서 수옥정에 올랐는데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앞의 운에 맞추어 회포를 서술하였다
∙류방식 - 삼가 원시에 차운하다
∙최세병 - 엎드려 원시에 차운하다
∙윤치겸 - 백련정. 원시에 차운하다
∙최태수 - 삼가 원시에 차운하다
∙김상우 - 수옥정. 원시에 차운하다
∙김상우 - 옥여 최장식의 수옥정 중건을 축하하다
∙김상우 - 다시 백련정에서 노닐다
∙김정묵 - 백련정을 찾아가다. 두동면 천전리에 있다


제2부 송천정(松川亭)

1. 개요
2. 문(文)
∙이우락 - 송천정상량문
∙김정태 - 송천소와원기
∙김정태 - 여덟 가지 잠언
∙김상우 - 송천소와기
∙최현채 - 송천정기
3. 시(詩)
∙김정태 - 송천십경
∙김정태 - 송천정원운
∙박영건 - 차운하다
∙이장훈 - 차운하다
∙박일건 - 차운하다
∙이현락 - 차운하다
∙최장식 - 차운하다
∙이재락 - 차운하다
∙이곤녕 - 차운하다
∙양달휘 - 차운하다
∙김상우 - 차운하다
∙이동진 - 차운하다
∙박맹진 - 차운하다
∙윤세병 - 차운하다
∙이정혁 - 차운하다
∙최현채 - 차운하다
∙이우락 - 차운하다
∙이중구 - 차운하다
∙손제익 - 차운하다
∙김헌수 - 차운하다
∙최준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최윤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이영우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상호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희익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김훈종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유현우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이원봉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병권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최영학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최영신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박인화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김철경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김기남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필조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김승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정병찬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후익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제3부 집청정(集淸亭)

1. 개요
2. 문(文)
∙최현필 - 집청정중건상량문
∙류의건 - 반구정중신기
∙황경원 - 집청정기
∙최현채 - 집청정중건기
3. 시(詩)
∙손경걸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신한운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임화세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손덕승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이민중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김용한 - 집청정에 오르다
∙김용한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김용한 - 최내문‧최탁지‧최경지에게 집청정 시에 차운하여 주다
∙김용한 - 최내문이 집청정에서 비에 막혀 머물면서 오언사운으로 화답을 구하다. 2수
∙김용한 - 집청정에서 묵고 돌아오는 길에 최탁지와 함께 운을 맞추다
∙김용한 - 또 절구 한 수로 화답하다
∙김용한 외 5인 - 늦봄에 집청정에서 연구를 읊다
∙이덕표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정만양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최찬수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최준식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이양오 - 집청정
∙송달수 - 언양 반구대
∙계오 - 집청정에서 반구대를 보다
∙황경원 - 집청정에서 묵다
∙황경원 - 부인이 집청정이 빼어난 곳이라는 소문을 들어서, 흔쾌히 또 이르다
∙김상우 - 집청정에 묵다


제4부 모은정(慕隱亭)

1. 개요
2. 문(文)
∙이중구 - 모은정상량문
∙장석영 - 모은정기
∙손진수 - 장륙당기
3. 시(詩)
∙이정혁 - 모은정원운
∙이민혁 - 원시에 차운하다
∙이후 - 차운하다
∙이석정 - 삼가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박정환 - 삼가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이규린 - 원시에 차운하다
∙이기혁 - 원시에 차운하다
∙최해종 - 차운하다
∙박종하 - 원시에 차운하다
∙이은혁 - 원시에 차운하다
∙서장성 - 삼가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서장호 - 삼가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류철우 - 시판의 시에 차운하다
∙윤수 - 차운하다
∙장석영 -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하석희 - 차운하다
∙정병찬 - 모은정에 오르다


제5부 관서정(觀逝亭)

1. 개요
2. 문(文)
∙김영록 - 관서정중건상량문
∙권상일 - 관서정기
∙서석린 - 관서정서
3. 시(詩)
∙권상일 - 삼가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홍만우 - 삼가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이의한 - 삼가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박민효 - 숙명 김덕준의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서석린 - 홍사군의 관서정 시에 차운하여 화답하다
∙서석린 -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이양오 -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김용한 - 삼가 종형 덕일의 시에 차운하여 관서정에 드리다
∙남경희 -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이우락 - 관서정에서 오일계 회원이 모여서 읊다
∙김정묵 - 관서정에 머무르다. 곡연

반구천 : 자연사 및 선사 유적과 유불 문화의 적층 지대 - 성범중
논고 : 반구천 주변 정자의 명명(命名)과 공간적 기능 - 유명종

저자소개

이문상우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이문상우’는 ‘이문회우(以文會友)’와 ‘상우천고(尙友千古)’에서 두 글자씩 따서 조합한 것이다. 이문(以文)은 “군자는 글로 벗을 모으고 벗을 통해서 인덕을 수양한다.(君子 以文會友 以友輔仁)”라는 증자(曾子)의 말에서 가져온 것이고, 상우(尙友)는 “천하의 훌륭한 선비와 벗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못하면 다시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서 옛사람을 논한다. 그 시를 기리고 그 글을 읽고서도 그 사람을 몰라서야 되겠는가? 그런 까닭에 그 세상을 논하니 이것이 바로 옛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벗하는 것이다.(以友天下之善士爲未足 又尙論古之人 頌其詩讀其書 不知其人可乎 是以論其世也 是尙友也)”라는 맹자(孟子)의 말에 기초한 것이다. 우리 모임은 2011년부터 지금까지 연구실에서 매주 만나 울산 지역의 옛 문헌자료를 찾아 읽고 논의하는 작업을 이어 오고 있다. 봄, 가을 두 차례 지역의 문학, 역사 관련 답사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성범중: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명예교수 박미연: 대구섬유박물관장 박채은: 전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 신형석: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박물관운영본부장 양명학: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명예교수 엄형섭: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강사 조상현: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강사 최윤진: 울산박물관 학예연구사 최윤경: 전 우신고등학교 교사 유명종: 전 신선여자고등학교 교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