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9116810344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3-2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면서
화보
제1부 백련정(白蓮亭)
1. 개요
2. 문(文)
∙최남복 - 백련서사상량문
∙최남복 - 백련서사개기축문
∙최남복 - 백련산수기
∙최남복 - 연사참동만계시서
3. 시(詩)
∙최남복 - 수옥정을 낙성하다
∙최남복 - 백련구곡도가. 아울러 소서를 쓰다
∙최남복 - 백련서사에서 장수하려고 만계를 결성하고 지은 시. 서문이 있다
∙최남복 - 병이 나서 수옥정에 누웠는데 칠순의 이동급 노인이 찾아오셨기에 기쁨보다 감격이 많아서 시축 중의 ‘인륜의 도리를 읊다(人道吟)’ 시에 차운하다
∙최남복 - 백련서사에서 족형 제익의 시에 장난삼아 차운하다
∙최남복 - 백련서사에서 이근오 기랑을 기다리다
∙이정익 - 도와 경지 최남복의 백련정 시에 차운하다
∙이근오 - 백련서사에서 최경지와 이별하다. 나에게 오언율시 한 수를 주기에 말 위에서 화답하여 주다
∙이근오 - 치암 남경희, 도와 경지 최남복, 용암 익지 최기영, 최천용과 백련서사에 모여 이야기하다
∙계오 - 삼가 백련서사 생원 최남복의 시에 차운하다
∙계오 - 도와 최 상사 공은 계오와 함께한 바가 있었으나 불행하게도 죽었다. 5년이 지나 장천사에 볼일이 생겨서 수옥정에 올랐는데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앞의 운에 맞추어 회포를 서술하였다
∙류방식 - 삼가 원시에 차운하다
∙최세병 - 엎드려 원시에 차운하다
∙윤치겸 - 백련정. 원시에 차운하다
∙최태수 - 삼가 원시에 차운하다
∙김상우 - 수옥정. 원시에 차운하다
∙김상우 - 옥여 최장식의 수옥정 중건을 축하하다
∙김상우 - 다시 백련정에서 노닐다
∙김정묵 - 백련정을 찾아가다. 두동면 천전리에 있다
제2부 송천정(松川亭)
1. 개요
2. 문(文)
∙이우락 - 송천정상량문
∙김정태 - 송천소와원기
∙김정태 - 여덟 가지 잠언
∙김상우 - 송천소와기
∙최현채 - 송천정기
3. 시(詩)
∙김정태 - 송천십경
∙김정태 - 송천정원운
∙박영건 - 차운하다
∙이장훈 - 차운하다
∙박일건 - 차운하다
∙이현락 - 차운하다
∙최장식 - 차운하다
∙이재락 - 차운하다
∙이곤녕 - 차운하다
∙양달휘 - 차운하다
∙김상우 - 차운하다
∙이동진 - 차운하다
∙박맹진 - 차운하다
∙윤세병 - 차운하다
∙이정혁 - 차운하다
∙최현채 - 차운하다
∙이우락 - 차운하다
∙이중구 - 차운하다
∙손제익 - 차운하다
∙김헌수 - 차운하다
∙최준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최윤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이영우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상호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희익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김훈종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유현우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이원봉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병권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최영학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최영신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박인화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김철경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김기남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필조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김승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정병찬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손후익 - 송천정 시에 차운하다
제3부 집청정(集淸亭)
1. 개요
2. 문(文)
∙최현필 - 집청정중건상량문
∙류의건 - 반구정중신기
∙황경원 - 집청정기
∙최현채 - 집청정중건기
3. 시(詩)
∙손경걸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신한운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임화세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손덕승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이민중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김용한 - 집청정에 오르다
∙김용한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김용한 - 최내문‧최탁지‧최경지에게 집청정 시에 차운하여 주다
∙김용한 - 최내문이 집청정에서 비에 막혀 머물면서 오언사운으로 화답을 구하다. 2수
∙김용한 - 집청정에서 묵고 돌아오는 길에 최탁지와 함께 운을 맞추다
∙김용한 - 또 절구 한 수로 화답하다
∙김용한 외 5인 - 늦봄에 집청정에서 연구를 읊다
∙이덕표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정만양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최찬수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최준식 - 집청정 시에 차운하다
∙이양오 - 집청정
∙송달수 - 언양 반구대
∙계오 - 집청정에서 반구대를 보다
∙황경원 - 집청정에서 묵다
∙황경원 - 부인이 집청정이 빼어난 곳이라는 소문을 들어서, 흔쾌히 또 이르다
∙김상우 - 집청정에 묵다
제4부 모은정(慕隱亭)
1. 개요
2. 문(文)
∙이중구 - 모은정상량문
∙장석영 - 모은정기
∙손진수 - 장륙당기
3. 시(詩)
∙이정혁 - 모은정원운
∙이민혁 - 원시에 차운하다
∙이후 - 차운하다
∙이석정 - 삼가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박정환 - 삼가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이규린 - 원시에 차운하다
∙이기혁 - 원시에 차운하다
∙최해종 - 차운하다
∙박종하 - 원시에 차운하다
∙이은혁 - 원시에 차운하다
∙서장성 - 삼가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서장호 - 삼가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류철우 - 시판의 시에 차운하다
∙윤수 - 차운하다
∙장석영 - 모은정 시에 차운하다
∙하석희 - 차운하다
∙정병찬 - 모은정에 오르다
제5부 관서정(觀逝亭)
1. 개요
2. 문(文)
∙김영록 - 관서정중건상량문
∙권상일 - 관서정기
∙서석린 - 관서정서
3. 시(詩)
∙권상일 - 삼가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홍만우 - 삼가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이의한 - 삼가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박민효 - 숙명 김덕준의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서석린 - 홍사군의 관서정 시에 차운하여 화답하다
∙서석린 -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이양오 -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김용한 - 삼가 종형 덕일의 시에 차운하여 관서정에 드리다
∙남경희 - 관서정 시에 차운하다
∙이우락 - 관서정에서 오일계 회원이 모여서 읊다
∙김정묵 - 관서정에 머무르다. 곡연
반구천 : 자연사 및 선사 유적과 유불 문화의 적층 지대 - 성범중
논고 : 반구천 주변 정자의 명명(命名)과 공간적 기능 - 유명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