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91168230361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3-06-29
책 소개
목차
서문
들어가며
제1장 로사
장미의 가족을 만나다
제2장 장미는 왜 아름다운가
원종과 변종이 공존하다
제3장 내게 장미 소나기를 내려줘, 제발
이교도의 장미
제4장 가시 없는 장미
유일신의 장미
제5장 그래서 나는 나의 밝고 붉은 장미를 얻었네
사랑과 장미
제6장 할 수 있을 때 장미꽃봉오리를 모으세요
죽음과 장미
제7장 장미는 꿀벌에게 꿀을 선사한다네
신비로운 장미
제8장 오 장미여! 누가 섣불리 그대의 이름을 입에
올리는가?
19세기와 시상詩想의 장미
제9장 장미 바구니
회화 속의 장미
제10장 파크스 옐로 티센티드 차이나
동양의 장미가 서양으로 전해지다
제11장 새롭게 태어난 하이브리드 티로즈
현대의 장미
제12장 완벽한 장미는 타오르는 불꽃이니
모더니스트의 장미
제13장 정원 풍경을 바라볼 때 마음이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장미 정원과 가드닝
제14장 로즈앤로지즈
장미 비즈니스
제15장 실론젬 로제아
장미, 오늘과 내일
나가며
감사글
주석
책속에서
장미를 바라보며 시인은 은유를, 사회 개혁가는 삶의 바람직한 모습을, 장미 육종가는 환금換金 작물을, 연인은 사랑하는 사람을, 과학자는 멸종 위기에 처한 생태 서식지를, 작가는 무한한 작가적 영감을 떠올린다. 우리 역시 개인적인 취향이나 직업적이고 공동체적인 성향에 따라, 그리고 성장 배경에 따른 무의식적인 요소에 따라 관점을 달리한다. 장미가 그 사회의 문화로 자리 잡으면 더 이상은 보기 좋은 식물에 국한되지 않고 어떤 종류의 이념과도 쉽게 융합한다.
「들어가며」 중에서
장미는 근동 지역이 원산지이지만 성경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구약성경에는 ‘샤론의 장미’를 언급했지만 이 꽃은 전혀 다른 종류인 히비스커스로 밝혀졌다. 장미가 전반적으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것은 주로 유대교 전통에서 장미를 쾌락과 관련된 세속적인 꽃으로 여겨 좋은 인식을 가질 수 없었던 사실 때문이다. 장미가 발산 하는 관능적인 아름다움은 사치나 음탕함, 천박함 등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곤 했다. 장미는 질펀하게 즐기는 잔치나 사치스러운 연회의 주요 구성 요소로 악명이 높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교도 여신들은 물론 사랑과 환락의 신들에게 바쳐지던 장미의 신성함은 격하됐지만 장미가 누리던 지위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기독교로 고스란히 전이됐다. 구약성경 역시 인류의 역할이 자연을 길들이고 극복하는 것이며 하느님을 기쁘게 하는 일임을 명시했다. 이 세계관에서 자연은 인간의 번영을 위해 긴요하게 활용되는 자원이다.
「유일신의 장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