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기타 세계문학론
· ISBN : 979116826171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12-31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면서
1부 작품의 이해
1. 미리 알기 │ 2. 번역의 문제 22 │ 3. 라트비아어와 애칭 28 │ 4. 민속 축제와 ‘다이나’ │ 등장인물
2부 작가의 이해
3부 희곡 『황금말』
4부 라트비아의 역사와 정치와 문학
1. 독일기사단과 리브란트(리보니아)에서 │ 2.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라트비아 │ 3. 20세기 전환기 문학과 사회 │ 4. 신생독립국 라트비아, 정치적 혼란 │ 5. 제2차 세계대전과 두 번째 독립 │ 6. 라이니스와 아스파지아 │ 7. 희곡 『황금말』의 외연과 함의
5부 라트비아 독자의 평가와 인공지능(AI)의 반응
참고 고대 라트비아 기호와 상징
마치면서
참고 문헌
미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7희곡 『황금말』은 동화로 쉽게 읽을 수 있다. 오늘날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보면 청소년은 물론 성인을 위한, 희곡 그 자체로서 가치가 크며, 연극으로 생생하게 생명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주인공 안틴스는 모두에게 공감하고, 타인과 공익을 위해 희생한다. 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대가로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는다. 이는 선이 악을 이긴다는 라트비아 민족 공동체의 이상주의적 교훈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황금말』은 단순한 교훈적 동화를 넘어,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민요는 라트비아 문화의 중요한 원동력이었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수 세기에 걸친 주요 오락 형태로, 라트비아인들은 민요를 부르면서 점점 더 많은 변형을 만들어 왔다. 한국의 ‘아리랑’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