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독서/작문 교육
· ISBN : 9791168270763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2-10-3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초등 공부, 왜 읽기가 전부인가요?
1장 [WHY] 초등 시기는 읽기 능력을 형성하는 골든타임이다
공부 기초 뼈대를 탄탄히 쌓는 초등 시기
아이의 호기심을 함께 해결해주자
읽기 능력은 교우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수업 시간에 상호 작용을 더 잘할 수 있다
초등 공부와 읽기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잘 읽는 아이가 공부도 잘하는 이유
글쓰기를 위한 첫 번째 조건, 읽기
읽기와 독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초등 시기에 반드시 익혀야 하는 읽기의 4원칙
읽기 원칙① 다독보다는 정독하기
읽기 원칙② 속독보다는 슬로리딩하기
읽기 원칙③ 1회독보다는 N회독 실천하기
읽기 원칙④ 인풋 다음에는 아웃풋 실천하기
2장 [WHEN] 공부 기초 체력을 만드는 초등 학년별 읽기 공부법
공부 기초 체력을 만드는 골든타임 3단계
초등 1~2학년, 읽기 공부를 차근차근 준비하는 시기
학습 소리 내어 읽도록 지도하자
정서 공부에 관한 긍정적인 마음을 심어주자
환경 아이의 시선이 닿는 곳에 책을 놓아주자
초등 3~4학년, 공부 기초 체력이 쑥쑥 자라나는 시기
학습 수단으로써의 읽기에 익숙해지도록
정서 부모에게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도록
환경 집중해서 정독할 수 있도록
초등 5~6학년, 읽기 능력을 완성하는 시기
학습 스스로 읽고 생각하고 이해하는 법
정서 공부 자존감 높이는 법
환경 아이가 원하는 공부방을 만들어주는 법
3장 [HOW] 읽기에 뒤처지는 아이, 문제 유형별 처방전
아이의 읽기 문제 유형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읽기 문제가 공부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유형① 음운론적으로 문제가 있어요
자모음이 결합된 소릿값 익히기
어휘력이 자라나는 말놀이
정확하게 소리 내어 읽기
정확성 테스트 놀이
오늘의 미션 3단계
유형② 모르는 어휘가 너무 많아요
단어의 기본인 한자와 친해지기
다양한 낱말 놀이 즐기기
문장 짓기
어휘를 유추하는 습관 기르기
어휘를 활용한 이야기책 만들기
유형③ 글을 꼼꼼하게 읽지 않아요
같은 책 함께 읽기
단어→문장→문단으로 읽기
밑줄 그으며 읽기
시각화 활동과 연계하기
육하원칙으로 책 읽기
유형④ 글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해요
소리 내어 읽기
의미를 곱씹으며 반복해서 읽기
나만의 언어로 설명하기
배경지식 형성하기
배경지식을 활용한 추론 읽기
부록_학년별 국어 교과서 성취 기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초등 시기에 읽기 능력을 형성하는 것은 곧 아이들의 공부 기초 뼈대를 쌓는 과정과도 같습니다. 어떤 건물이라도 기초 뼈대를 튼튼하게 쌓지 않으면 중간에 무너지기 마련이죠. 아이들의 공부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는 글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읽기 능력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초등학생 때 읽기 능력을 탄탄히 쌓지 못하면 중고등학교에 진학한 후 늘어난 학습량을 감당하지 못합니다. 다시 말해, 초등학생 때의 읽기 능력은 중고등 시기의 많은 공부량을 잘 버텨낼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가름하는 기준이 됩니다.
「1장 [WHY] 초등 공부, 왜 읽기가 전부인가요? - 초등 시기는 읽기 능력을 형성하는 골든타임이다」 중에서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단순히 말로 표현할 때보다 훨씬 더 많은 단어와 배경지식이 충분히 동반되어야만 하고 이를 잘 활용해야 합니다. 한마디로, 뇌 저장고에 들어 있는 것들을 잘 끄집어내서 정교하게 배열하는 것이 바로 글쓰기입니다. 그리고 읽기 능력이 잘 형성될수록 정교화 작업을 잘할 수 있게 되어 글쓰기 실력도 점점 좋아지게 되죠. 읽기 능력이 뛰어난 아이들은 글을 자신만의 배경지식으로 만든 뒤 그때그때 필요한 상황마다 적절히 끄집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글을 써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읽기 능력에 따라 아이가 스스로 떠올릴 수 있는 생각이나 응용 가능한 통찰은 천차만별이 됩니다.
「1장 초등 공부, 왜 읽기가 전부인가요? - 초등 공부와 읽기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에서
초등 1학년 때부터 꾸준히 소리 내어 읽기를 하면 2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말하기 수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초등 2학년 국어 교과서를 살펴보면 친구들 앞에서 자기소개하기, 인상 깊었던 경험을 말하기와 같이 자기 생각을 조리 있게 말해야 하는 시간들이 꽤 많습니다. 이미 1학년 때부터 집에서 매일 20분씩 큰 소리로 읽기, 정확한 발음으로 읽기와 같은 연습을 했던 아이들은 이런 발표 수업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 않습니다. 그런 아이들에겐 읽기 연습을 하던 공간이 ‘집’에서 ‘교실’로 바뀌는 것뿐이기 때문입니다.
「2장 [WHEN] 공부 기초 체력을 만드는 초등 학년별 읽기 공부법 - 초등 1~2학년, 읽기 공부를 차근차근 준비하는 시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