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68362994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2-04-29
책 소개
목차
| 1부 | 갈등의 기원
1장 황제의 호출
황제의 호출
린쩌쉬, 광저우로 향하다
2장 동인도회사(East India Company)
해상 패권
두 동인도회사의 합병
3장 광저우 십삼(十三)행
정성공과 청의 해안 봉쇄 정책
타이완 점령과 강희제의 4구 통상 개방
광저우 13행의 탄생
청 정부 또 하나의 자금창구
두 거대 독점 무역회사의 창과 방패 싸움
외국 인력 조달의 창구
4장 차(茶) vs 아편
유럽의 대(對) 중국 무역적자
유럽인들의 차(茶) 사랑?
아편의 역사
급증하는 은 유출과 도광제의 아편 금지령
| 2부 | 닫으려는 자 vs 열려는 자
5장 쇄국의 시작
제임스 플린트 사건, 새로운 항구를 위한 동인도회사의 집요한 노력
다시 1 port 시스템으로! …… 쇄국의 시작
6장 메카트니 통상 사절단(Macartney Embassy)
중국에 온 최초의 유럽 국가 정부 사절단
메카트니의 미션
‘삼궤구고’ 문제
꼬일 대로 꼬여버린 사절단의 미션
미션의 실패
더 큰 충돌을 예약해 둔 메카트니 사절단 방문
또 한 번의 삼궤구고 거절과 에머스트 사절단 문전박대
7장 에머스트(Amherst)호 탐사 사건
에머스트(Amherst)호의 진짜 미션?
“상하이(上海)”에 진입하다
| 3부 | 경세파(經世派)
8장 린쩌쉬
린쩌쉬가 십 대를 보냈던 당시 중국은?
애국주의 계몽사상(경세치용)의 요람, 오봉서원
장스청의 막부로 들어가다
베이징에서 만난 계몽 인사들
“임청천(林靑天)”
최고 지방관에 오르다
9장 공즈쩐
관가로 나가기 전의 공즈쩐
경세파
세상이 포용할 수 없었던 공즈쩐
린쩌쉬와 공즈쩐
『기해잡시』
10장 웨이위엔(魏源)
웨이위엔(魏源)
‘강건성세’에 가려진 실상을 목도하다
『경세문편』
호남(湖南) 인맥
린쩌쉬와 다시 만나다
순탄치 않은 과거 시험의 길
린쩌쉬와의 황금시기
투자가적 안목
『묵고』
| 4부 | 아편전쟁
11장 호문 아편 폐기
흠차대신
외국 상인들의 저항과 광저우 이관 봉쇄
호문 아편 폐기
12장 전쟁의 방아쇠는 누가 당겼나?
무역상들의 로비
엘리엇의 대책 없는 백지수표
린웨이시 사건과 영국인 추방 조치
13장 아편전쟁
전쟁의 발발
천비초약의 체결과 파기, 그리고 강대강으로 돌아선 국면
광저우 함락
영국의 2차 북상과 닝보 함락
난징으로의 진격
전쟁의 득실
14장 해국도지(海國圖志)
피끓는 웨이위엔
린쩌쉬, 유배 명령을 받다
『해국도지』의 탄생
엇갈린 『해국도지』의 운명
15장 역사의 필연과 비운의 충신
노(老)대신의 자살
“변방을 향해 떠나면서 가족에게 몇 마디 읊다”
에필로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황제의 정식 임명을 받고 그는 부랴부랴 가까운 지인들에게 작별 인사를 했다. 이 중 내각중서로 있던 공즈쩐은 린쩌쉬를 존경하고 그와 마찬가지로 아편에 대한 엄금을 주장해 왔던 열혈 진보인사였다.
공즈쩐은 비록 평생 낮은 관직에 머물렀지만 청 왕조 후기의 개량주의, 경세치용(실학) 사상의 선구적 인물로, 당대에는 물론이고 청 말의 개화사상과 조선의 개화정치가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공즈쩐은 떠나는 린쩐쉬를 배웅하면서 『흠차대신 후관侯官 임공을 보내는 글』이라는 장문의 글을 써서 주었다. 후관은 린쩌쉬의 고향으로 후관의 임공이란 ‘린쩌쉬’를 뜻한다. 린쩌쉬는 달리는 마차 안에서 이 글을 읽었다.
이 글에서 공즈쩐은 린쩌쉬에게 열 가지 항목을 제시하면서 주의를 당부했는데 핵심은 아편을 완전히 금지하고 막을 것, 화기에 신경을 쓸 것, 관리들의 기강을 다잡을 것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었다. 특히 군사 충돌에 대비를 하라는 것이 눈에 띈다. 공즈쩐은 “우리가 육지전에서만 대포를 썼을 뿐이지 해상전에서 우리가 가진 대포가 효력을 발휘할지 모르겠습니다.”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광저우 13행의 설립 취지를 다시 한번 상기해보자. 소금 산업에서 량화이 염상과 같은 존재를 만든 것은 소금 산업을 정부가 통제하기 위함이었다. 마찬가지로 청 정부는 대외무역을 확실히 자신들의 컨트롤하에 두고 싶었고 그러자면 항구를 단일화시키는 것이 그들로서는 당연한 선택이었다. 오늘날과 같이 전산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았던 당시에 여러 곳에서 무역이 일어나면 들어오고 나가는 것에 대한 관리와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서방 세계가 중국과 무역을 함에 있어서 광저우 13행은 그들의 유일한 창구이자 유일한 무역 파트너였다. 13행들이 담합을 했으니 사실상 하나의 바이어, 하나의 공급선이나 마찬가지인 셈이었다. 거대 시장을 등 뒤에 둔 이들은 서양 무역상들에게 언제나 갑이었다. 무엇을 구매하고 안 할 것인가, 얼마에 구매할 것인가가 시장의 수요공급 법칙에 의해 결정되는 게 아니라 모두 이들에 의해 결정되었다. 광저우는 청 정부의 보호무역주의의 상징이었고 13행은 청 정부 보호무역주의와 무역통제주의의 하수인이었다. 적어도 이들 서양인의 눈에는 그렇게 비춰졌다.
또한 한곳으로의 독점과 특약은 필시 횡포와 비리라는 부작용을 낳는다. 광저우의 해관 관리들은 통관비, 검사비, 선물, 내비게이션비 등 각종 비용을 요구했고, 서양 상인들은 이런 비용을 얹고 팔리는 자신들의 물건이 적정한 가격에 내지에 소개될지 상당히 의심스러웠다. 또한 13행으로부터 구매하는 차와 비단, 도자기는 괜히 바가지를 쓰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고, ‘산지와 가까운 데서 구매하면 더욱 신선하고 질 좋은 상품을 더 좋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합리적 의심과 기대를 하게 된다.
1755년 제임스 플린트(James Flint)가 탄 영국 동인도회사의 화물선이 광저우에서 해안선을 따라 북상하여 저장성 띵하이(定海)13)에 도착했다. 그들은 거기서 비단과 차 무역을 하고자 했다. 띵하이 지현(현의 행정장관)은 이 배의 무역허가증이 광저우인 것을 확인하고는 입항을 거부하였으나 플린트를 비롯한 영국인들은 닝보가 무역을 공평하고 합리적으로 한다는 명성을 듣고 왔다는 둥 이런저런 이유를 대면서 자신들과 무역을 하자고 설득하였다. 띵하이 지현은 듣고 보니 이들과 교역하는 게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그는 이 배를 닝보에 들어오게 한 후 닝보의 양행 사장들에게 이 배를 소개해주는 편지를 보냈고 이렇게 무역 관계가 성립되었다.
그 후로 영국은 닝보를 통해 무역을 증대시켰고 이는 광저우의 수입 감소를 초래했다. 광저우 해관에서 닝보에 항의했고 이들은 서로 자신들의 정당성을 내세우며 싸웠다. 무역은 지방정부에 큰 이득을 안겨주었기 때문이다. 광저우는 “황제가 정한 전통 항구”라는 깃발을 높이 들며 “영국의 요구에 편승하여 무역 질서를 어지럽히지 말라!”라고 했고, 닝보는 “영국과의 무역을 그리 겁낼 것 없으며 이들에게도 황제의 은혜를 입지 못하게 할 이유가 뭐가 있나!”라며 응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