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68614635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5-06-3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1부 연구 배경과 방법, 분석틀
1장 농민공 재배치
2장 중국의 서발턴
2부 헤게모니적 조정
3장 뉴스 가치, 안정유지, 그리고 목소리의 정치
4장 ‘도시영화’와 ‘조화사회 만들기’의 한계
3부 서발턴 정치
5장 다큐멘터리 비디오, 문화적 행동주의, 그리고 대안 역사
6장 디지털-정치적 리터러시와 자기-민족지로서의 사진
4부 문화적 중개
7장 노동자-시인, 정치적 개입, 그리고 문화적 중개
8장 ‘다공’ 문학과 새로운 성-도덕 경제
결론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스피박의 가장 유명하고 논쟁적인 “서발턴은 말할 수 없다”라는 주장은 서발턴이 정말로 말을 할 수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자신의 목소리를 공인하고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제도적 수단이 없다는 의미이다. 서발턴들은 공식적인 대의 제도가 정한 경계선 밖에서 말하기 때문에, 그들의 발화는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구조나 제도가 없으며, 궁극적으로 포착되거나 인식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노동자들은 경제적 정의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권리와 자격에 관한 적절한 정보에 접근할 기회도 부정되고 있음이 분명하다. 이들의 담론적 권리의 결여는 정치적 권리의 지속적인 결핍에 전적으로 기인하며, 이를 통해 더욱 정당화된다. 서발턴은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담론적으로도 종속화와 주변화를 경험한다.
이러한 영화를 보면서 서발턴으로서의 자기 인식이 고조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토론과 사회화가 집합적 의식의 초기 형태로 이어질 수도 있지만, 영화는 또한 지배 계급과 자본, 그리고 오만한 도시인에 대한 노동자들의 원한이나 분노를 완화하는 안전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시 코미디 영화들이 국가가 공인한 ‘조화사회’ 담론을 촉진하는 역량이 강력하면서도 제한적이라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 영화는 소외된 사회 집단의 서발턴 의식을 고양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지만 동시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방해물로 나타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