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68622920
· 쪽수 : 458쪽
· 출판일 : 2024-12-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해부학을 시작하자
1 그건 무슨 해부학이야?
2 해부학도 분야가 있다
3 해부학 교재
4 해부학적 자세, 면, 방향
5 절개와 예습
6 메스가 아니라 가위를 사용하라
7 헌체
8 생명윤리와 해부학 실습
9 몸을 지지하는 뼈대계통
10 몸을 움직이는 근육계통
11 몸의 정보담당인 신경계통
12 심장혈관계통이 혈액을 운반한다
제2장 등
1 인체 골격 표본
2 척주와 가슴우리
3 피부를 벗긴다
4 등 근육은 팔 근육과 고유등근육
5 척주관과 척수와 말꼬리
제3장 팔
1 팔의 골격을 본다
2 근막과 정맥주사
3 어깨세모근과 근육주사
4 회전근개
5 신경다발 - 팔신경얼기
6 팔의 깊은근막과 구획
7 알통 근육
8 위팔세갈래근과 노신경
9 아래팔의 근육은 많기도 하다
10 손을 움직이는 여러 가지 근육
11 맥박을 측정한다
제4장 인체 발생의 개요
1 배우자부터 수정까지
2 세포의 운명이 갈라진다
3 인간의 형상이 되어간다
제5장 가슴
1 가슴은 새장처럼
2 가슴의 피하는 골칫거리
3 가슴근육과 VAN
4 근육과 호흡을 생각한다
5 가슴막인데 위상수학을 기억하려나?
6 가슴안은 음압, 배안은 양압
7 가슴벽을 열다
8 허파를 살펴보자
9 심장을 살펴보자
10 세로칸(종격)
제6장 배
1 배의 골격
2 배벽의 기준
3 복부 피하가 신경 쓰인다
4 매혹적인 배벽 근육
5 샅굴의 수수께끼를 풀다
6 소화관과 배막의 발생
7 배안을 살펴보자
8 배막안을 살펴본다
9 창자를 더듬다
10 위는 백파이프 모양
11 샘창자는 손가락 12개의 폭보다 약간 길다
12 이자는 소화하고 중화하고 조정한다
13 작은창자의 빈창자와 돌창자
14 막창자와 막창자꼬리
15 장의 발생과 동맥과 신경과 관련 통증
16 잘록창자의 기준
17 간문맥
18 침묵의 간
19 콩팥과 부신
20 부신은 부속품이 아니다
21 배대동맥과 가슴림프관
22 큰허리근과 허리신경얼기와 가로막의 구멍
제7장 골반부·회음부
1 골반은 내장과 다리를 지탱한다
2 회음은 ‘회음’보다 넓다
3 골반안은 사람의 시작과 끝
제8장 다리
1 다리 골격으로 잠금장치를 한다
2 먼로 워크와 볼기근
3 넙다리는 셋으로 나눈다
4 종아리 파열과 울음소리
5 발에 남아 있는 손의 흔적
제9장 머리와 목
1 머리뼈는 퍼즐 맞추기
2 목은 단순히 머리와 몸통의 연결기관이 아니다
3 미모도 따지고 보면 피부 한 꺼풀
4 머리와 목은 절투성이
5 머리가 없는 민달팽이와 인간의 머리
6 머리와 목 부분의 단면을 살펴본다
7 뇌경막의 안과 밖
8 눈에 티가 나다
9 귀는 듣고 눈은 돌고
마치며
책속에서
미술해부학이라는 분야도 있습니다. ‘미모도 따지고 보면 피부 한꺼풀(Beauty is but skin-deep)’이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외모는 중요하지 않다는 뜻이지만 아무튼 인체를 사실적으로 그리려면 피부 아래 구조까지 상상해서 그려야 합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평생에 30구 이상의 인체를 해부했다고 합니다. 미켈란젤로 또한 인체 해부학을 탐구했고 마침내 어떤 자세도 기억에 의존하여 사실적으로 그릴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미술해부학은 형태와 움직임을 묘사하기 위한 것이므로 주로 골격과 근육을 다룹니다.
제1장 _ 해부학을 시작하자
등뼈는 가슴에 위치한 척추뼈로 갈비뼈가 붙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등뼈는 척추뼈 전체에 공통되는 기본적인 형태를 모두 갖고 있습니다. 등뼈부터 살펴보면 나머지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둥근 기둥처럼 생긴 척추뼈몸통이 앞쪽에 있습니다. 그 뒤로 뼈의 고리가 있는데 이를 척추뼈고리(척추궁)라고 합니다. 척추뼈몸통과 고리가 만들어내는 공간이 바로 척추뼈구멍(척추공)입니다.
제2장 _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