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은퇴 해녀의 불면증

은퇴 해녀의 불면증

문봉순 (지은이), 박정근 (사진)
한그루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5,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은퇴 해녀의 불면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은퇴 해녀의 불면증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9116867007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1-27

책 소개

저자가 굿청에서 우연히 만난 은퇴 해녀처럼, 온 생을 바다에 뛰어들어 가족에게 바쳤던 해녀할망들이 미처 하지 못했던 이야기, 그 사연을 묻고 듣고 기록한 책이다.

목차

제1부 우도직녀가
며느리가 말려도 물에만 들고 싶은 마음 (비양동 정금주)_22
마흔 넘어 다시 배운 물질 (하우목동 고우혜)_31
일본 가서 찾아온 〈해녀의 노래〉 4절 (동천진동 김춘산)_40
물질 잘하는 것, 그것으로 이름났던 수에꼬 (하고수동 고계모)_48
오동나무에 걸려 가도 오도 못 하는 신세 (상고수동 김을생)_56
넙미역 번난지 줍고, 물질해서 오 남매 공부시킨 어머니 (영일동 양순자)_64
삼불도조상에 정성 들여 지킨 가족 (중앙동 송선옥)_72
얼굴도 모르는 아버지 강관순과 〈해녀의 노래〉 (전흘동 강길여)_80
남편 없어도 시부모님, 어머님 병간호하며 살아온 22년 (서천진동 김용산)_89
남편은 잠수배 선장, 나는 해녀로 다녀온 육지 물질 (주흥동 한연옥)_97
풍선에 실어온 대마도 삼나무로 지은 100년 역사의 집 (삼양동 고매화)_106

제2부 바다에 바친 삶과 신앙

물질 안 해도 된다고 해서 시집온 조천 (조천리 김영자)_116
무엇보다 힘든 천초 작업 (김녕리 강창화)_130
썰물은 동드레 가고 들물은 서드레 오주 (행원리 장군열)_150
새로 시작하는 해녀들을 챙기는 것도 우리의 일 (한동리 허춘자)_164
해녀 목숨 구하고, 병을 얻어 돌아온 육지물질 (평대리 신승희)_177
다시 일어서게 한 친정어머니의 욕바가지 (평대리 김옥선)_191
센 물에도 뛰어들던 세화 해녀특공대 (세화리 이복녀)_206
7개 동네별로 소라 잡는 하도리 (하도리 임옥희)_217

제3부 해녀보다 빨리 늙는 바다 - 온평리 바다밭

겡이여_231
눌여깍_234
배끄러여_235
홀어멍돌_240
관할망여_241
용머리여_243
용머리 새여_246
고장머흘_249
벌러진여_250
애기죽은날코지_253
여머흘_255
수승코지여_258
거욱게빌레_259
양식장_263
물잔지미_265

저자소개

문봉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진주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하다가 굿 공부를 하겠다고 제주도로 왔지만, 정작 공부는 않고 사람들과 잘 노는 궁리를 하며 신당과 제주굿, 무형문화재를 주제로 전시, 축제, 강좌 등을 진행했다. 요즘은 제주 사람들이 살아온 이야기 듣는 일을 제일 큰 재미로 삼고 있다. 어머니, 할머니, 동네 삼춘까지 모두가 연결된 여성들의 연대와 그 연대 안에서 전달되는 삶의 지혜와 생존기술을 발견하는 것. 오늘의 자파리이자 숙제이다.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2006-2013), 제주전통문화연구소 연구실장(2009-2016), 제주문화예술재단 무형문화유산팀 팀장(2017-2018)을 거쳐 제주섬문화연구소 연구실장(2019-현재)으로 활동하고 있다. 《제주신당조사: 제주시·서귀포시편》(2008-2009)와 《제주해녀문화총서》 발간 사업(2019, 2021)의 연구원으로 참여했으며, 논문으로 〈제주심방의 입무의례 연구〉(경상대학교 석사논문, 2005)가 있다.
펼치기
박정근 (사진)    정보 더보기
바다가 없는 내륙의 깊은 산골에서 나고 자란 사진가다. 밀물지는 파도에 이끌리듯 제주섬으로 들어와 카메라를 든 지 10년이 다 되어간다. 앵글에 잡히는 아름다운 풍광의 실루엣 너머에 있는 해녀, 4·3, 굿 등을 만나며 제주의 내밀한 사연을 마주하고 있다. 아직도 제주가 어렵다. 〈엿가락과 담배연기〉(서이갤러리, 2021), 〈입도조〉(KT&G 상상마당, 2019) 등의 개인전과 〈각별한, 작별한, 특별한〉(제주현대미술관, 2020), 〈△, ��, ○… 무한한 대화〉(고승욱&박정근 2인전, 스페이스22, 2018), 〈depaysement〉(박정근&전은숙 2인전, EntrepotGallery, 2018), 제10회 KT&G SKOPF 올해의 작가전(고은사진미술관, 2018) 외 다수의 전시를 개최한 바 있다. 제주 현대미술관 레지던시(2019-2020), Arts Tasmania Residency(호바트, 호주, 2018),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아 레지던시(2018)에 참여했으며, 2017 10th KT&G SKOPF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70세 이상의 해녀들은 근대화 이전의 제주 모습을 기억하는 세대이다. 물질을 통해 가정을 일구고 제주 경제를 일으킨 해녀들은 그들의 직업을 선택한 적이 없다. 삶의 고단함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가족들의 행복을 보람으로 살아왔다. 그러나 변화된 세상은 그들에게 뒤늦은 억울함을 안겨주기도 한 것 같다. 이 좋은 세상을 더 누리지 못하는 그들에게 당신들의 덕택으로 지금 우리가 이만큼 살게 되었다는 보람을 찾아주는 작업을 하고 싶었다.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그 고단한 삶을 뚫고 나온 저마다의 빛을 발견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제주의 동쪽 바다에 소의 형상으로 떠 있는 섬 속의 섬, 우도.
우도의 직녀들은 대부분 우도에서 태어나 70년 이상을 섬에서 살고 있다. 때로 돈을 벌기 위해 섬을 떠나 멀리 외방으로 떠돌기도 했지만, 생의 대부분을 이곳에서 보냈다. 직녀의 이야기는 주로 1인칭주인공시점으로 전개되지만 가끔은 3인칭관찰자시점으로 전환되기도 하고, 또 때로는 전지적작가시점에서 서술되기도 한다. 나의 이야기와 그들의 이야기, 우리들의 이야기가 혼재하기 때문이다. 해녀가 전하는 생생한 과거와 현재 이야기를 통해 우도의 미래가 열리기를 희망한다.


제주해녀들은 바다라는 예측할 수 없는 자연 앞에서 풍요와 무사안녕을 기원하고, 가족의 건강과 자식들의 성공을 기원한다. 2월의 영등신에게는 영등굿으로, 바다의 용왕님께는 요왕맞이를 통해 기원한다. 또한 바다에서 죽은 고혼들도 잊어버리지 않고 지를 싸서 위로해준다. 정월이 되면 문전제를 통해 집안의 조왕신을 포함한 가신들을 위하고, 본향당 제일에는 당에 가는 것도 게을리하지 않는다. 해녀들의 일상은 이처럼 신앙과 연결되어 하나의 축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