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9116867007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1-27
책 소개
목차
제1부 우도직녀가
며느리가 말려도 물에만 들고 싶은 마음 (비양동 정금주)_22
마흔 넘어 다시 배운 물질 (하우목동 고우혜)_31
일본 가서 찾아온 〈해녀의 노래〉 4절 (동천진동 김춘산)_40
물질 잘하는 것, 그것으로 이름났던 수에꼬 (하고수동 고계모)_48
오동나무에 걸려 가도 오도 못 하는 신세 (상고수동 김을생)_56
넙미역 번난지 줍고, 물질해서 오 남매 공부시킨 어머니 (영일동 양순자)_64
삼불도조상에 정성 들여 지킨 가족 (중앙동 송선옥)_72
얼굴도 모르는 아버지 강관순과 〈해녀의 노래〉 (전흘동 강길여)_80
남편 없어도 시부모님, 어머님 병간호하며 살아온 22년 (서천진동 김용산)_89
남편은 잠수배 선장, 나는 해녀로 다녀온 육지 물질 (주흥동 한연옥)_97
풍선에 실어온 대마도 삼나무로 지은 100년 역사의 집 (삼양동 고매화)_106
제2부 바다에 바친 삶과 신앙
물질 안 해도 된다고 해서 시집온 조천 (조천리 김영자)_116
무엇보다 힘든 천초 작업 (김녕리 강창화)_130
썰물은 동드레 가고 들물은 서드레 오주 (행원리 장군열)_150
새로 시작하는 해녀들을 챙기는 것도 우리의 일 (한동리 허춘자)_164
해녀 목숨 구하고, 병을 얻어 돌아온 육지물질 (평대리 신승희)_177
다시 일어서게 한 친정어머니의 욕바가지 (평대리 김옥선)_191
센 물에도 뛰어들던 세화 해녀특공대 (세화리 이복녀)_206
7개 동네별로 소라 잡는 하도리 (하도리 임옥희)_217
제3부 해녀보다 빨리 늙는 바다 - 온평리 바다밭
겡이여_231
눌여깍_234
배끄러여_235
홀어멍돌_240
관할망여_241
용머리여_243
용머리 새여_246
고장머흘_249
벌러진여_250
애기죽은날코지_253
여머흘_255
수승코지여_258
거욱게빌레_259
양식장_263
물잔지미_265
책속에서
70세 이상의 해녀들은 근대화 이전의 제주 모습을 기억하는 세대이다. 물질을 통해 가정을 일구고 제주 경제를 일으킨 해녀들은 그들의 직업을 선택한 적이 없다. 삶의 고단함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가족들의 행복을 보람으로 살아왔다. 그러나 변화된 세상은 그들에게 뒤늦은 억울함을 안겨주기도 한 것 같다. 이 좋은 세상을 더 누리지 못하는 그들에게 당신들의 덕택으로 지금 우리가 이만큼 살게 되었다는 보람을 찾아주는 작업을 하고 싶었다.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그 고단한 삶을 뚫고 나온 저마다의 빛을 발견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제주의 동쪽 바다에 소의 형상으로 떠 있는 섬 속의 섬, 우도.
우도의 직녀들은 대부분 우도에서 태어나 70년 이상을 섬에서 살고 있다. 때로 돈을 벌기 위해 섬을 떠나 멀리 외방으로 떠돌기도 했지만, 생의 대부분을 이곳에서 보냈다. 직녀의 이야기는 주로 1인칭주인공시점으로 전개되지만 가끔은 3인칭관찰자시점으로 전환되기도 하고, 또 때로는 전지적작가시점에서 서술되기도 한다. 나의 이야기와 그들의 이야기, 우리들의 이야기가 혼재하기 때문이다. 해녀가 전하는 생생한 과거와 현재 이야기를 통해 우도의 미래가 열리기를 희망한다.
제주해녀들은 바다라는 예측할 수 없는 자연 앞에서 풍요와 무사안녕을 기원하고, 가족의 건강과 자식들의 성공을 기원한다. 2월의 영등신에게는 영등굿으로, 바다의 용왕님께는 요왕맞이를 통해 기원한다. 또한 바다에서 죽은 고혼들도 잊어버리지 않고 지를 싸서 위로해준다. 정월이 되면 문전제를 통해 집안의 조왕신을 포함한 가신들을 위하고, 본향당 제일에는 당에 가는 것도 게을리하지 않는다. 해녀들의 일상은 이처럼 신앙과 연결되어 하나의 축을 만들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