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8671034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3-07-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여는 시
나를 아프게 하던 헛밥|꽃들이 피는 이유|어느날 시를 쓰며|중심을 만드는 시간|우물 속에 비친 얼굴|도라지 꽃이 된 아가야|몸과 마음도 다 내어주는|황혼의 황금 들녘|불순물도 품어가며|내 안의 그리운 얼굴|꿈결에 시를 베다|밥이 되는 것이 꿈이다|커피 한 잔에 들어온 바다|할머니의 지혜|멍석 위의 별들|열아홉의 목포행 완행선|세상과 맞짱뜨는 소리|학교 가는 길|외로우니까 사람이다|눈물로 심어 놓은 시|이름에 취하다|붉은 사랑의 이야기|속물들아 정신차리거라|진솔한 감정 한 숟가락|접어놓은 페이지|훈훈하게 그리워지는 시간|그리운 것들은 멀리 있고|고운 발자국 소리|노랗게 물든 환상통|데칼코마니|황홀한 경지|아우성처럼 밀려 왔다 가는|초록물의 아우성|사랑하는 나의 동반자여|사랑해 사랑해|비단실 두 가닥|나 이디 잇수다|겨울은 봄을 기다린다|하얗게 불태운 날들|외로운 황홀한 심사|화분을 버렸다|깊숙이 앉은 부적 한 장|우리들의 오징어게임|얼음장 밑에서도 고기가 숨 쉬듯|달빛은 바다 위에서만 출렁거리고|돌아갈 집|하르방이 최고|끝까지 꽃이 되어 살다 가자|자아를 찾아가는 길|내 이마의 수평선|무덤의 길을 떠올리며|무거운 삶을 부려놓을 곳|봄은 의연하다|관 속의 편지|저녁노을 속에 그리움은 밀려오는데|애간장이 빗물이 되고|길은 걷는 자의 것|묵은 씨앗 심는다|마법에 걸린 우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처음에는 그저 맛있게 받아먹는 기분이었다. 맛있게 받아먹을 일만이 아니라 구수한 맛도 알아야겠다는 것을 깨달은 순간 모 문학회 새내기 때 생각이 났다. 햇장이라 갑갑증이 일고 합평하는 시간이 진지해서 얼었고 굳어진 혀는 열릴 줄을 모르니 멍하니 듣고만 했던 시절. 마음과 머리가 입으로 얼어붙어 잠겼는지 도통 열리지 않았던 세월이 십여 년은 된 것처럼 원치 않은 불순물도 내 살肉로 품어가며 다독이던 세월들. 이제는 구수한 항아리 속 된장처럼 그렇게 더 깊숙이 들어가 곰삭아보자. 무엇과 버무려 놓아도 자신을 갖고 깊은 맛을 풀어내는 된장처럼 먼저 시린 손 잡아주는 그런 따뜻한 마음으로 걸어가 보자.
안도현 시인의 가근한 친구이신 이병천 소설가의 말처럼 ‘그리운 여우’를 쭈욱 읽어가다가 ‘인생’에 눈이 꽂혔다. ‘밤에, 전라선을 타보지 않은 者하고는 인생을 논하지 말라’ 이 짤막한 시구에 얼마나 광대한 철학이 묻어나는가! 그 마력에 끌리는 이내 심사, 또 ‘나’를 끄집어내게 만드는 그날이 생각난다. 아마 열일곱 때인 것 같다. 집에서 가장이기도 했던 언니의 갑작스러운 부고로 부재의 자리를 잇기 위하여 야간학교 진학을 뒤로하고 일자리 찾아 헤매던 시절. 이곳 제주에서 그래도 막일은 하지 말자고 자신에게 위로하며 재래시장 점원에서 (주)대동공업 제주 대리점 경리사원으로 일하다가 좀 더 나은 바깥세상을 알고 싶어 제주항에서 연락선 타고 부산항으로 그리고 서울에서 일하다 목포로 전라선을 탔었다. 안도현 시인의 ‘인생’을 보며 절로 고개를 끄덕여보는 시간.
손바닥 입에 대고 아아아! 소리쳐보지만 바람은 참으로 재빨라 따뜻한 입김, 그 목소리는 까마득히 날아가버렸다. 홀연히 뼈다귀처럼 아가리 속에 던져진 바람의 자식, 그립고 낯선 목소리에 귀 기울여보지만 초록물의 아우성, 슬픔과 아픔들은, 그립고 낯선 영령들은, 백령도에서, 팽목항에서, 인적 없는 바람 속에 서성이다 서성이다가 비가 돼도 떨어지지 못하는 슬픈 목소리의 납골당, 그 난바다 아직도 묵묵부답 낯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