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2언어 교실에서의 문법 교육

제2언어 교실에서의 문법 교육 (Hossein Nassaji 외)

(의사소통 맥락에서 형태 초점 교수 통합하기, 제2판)

Hossein Nassaji, Sandra Fotos (지은이), 김은호, 성지연, 김서형 (옮긴이)
한국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000원 -10% 1250원 21,250원 >

책 이미지

제2언어 교실에서의 문법 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2언어 교실에서의 문법 교육 (Hossein Nassaji 외) (의사소통 맥락에서 형태 초점 교수 통합하기,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69191081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3-09-04

책 소개

제1판에서의 오류를 바로 잡은 수정판이다. 이 책은 제2언어 학습과 이것이 제2언어 교육에 주는 영향에 관심 있는 독자들을 위한 것이다. 특히 의사소통적 수업에 문법 초점이 통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교사와 교사 양성가를 위한 것이다.

목차

■ 역자 서문
■ 서문
■ 감사의 말

1장 / 문법 교수의 흐름
서론
문법 교육의 변화
문법 기반 접근법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청화식 교수법
문법 기반 접근법의 부적절성
의사소통 기반 접근법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접근법의 부적절성
최근 전개된 논의들
형태 초점 교수를 바라보는 최근의 관점
과제 기반 접근법의 재고
형태 초점 교수에 대한 우리의 이해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1부 문법 초점에서 입력에 기반한 선택들
Input-based Options in Focus on Grammar

2장 / 처리 교수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입력 그리고 언어 학습에서의 입력의 역할
입력 처리
처리 교수
처리 교수의 실증적인 증거
구조화된 입력
구조화된 입력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지침들
교실 활동: 구조화된 입력 활동의 예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3장 / 텍스트 강화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이론적 배경
입력 강화
입력 강화의 유형
외부적 입력 강화 기법으로서의 텍스트 강화
텍스트 강화의 다양한 형태
텍스트 강화의 효과
교실 활동: 텍스트 강화의 추가적인 예시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4장 / 담화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담화 및 담화 능력이란 무엇인가?
문장 수준 대 담화 수준 문법
문법 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초점의 필요성
코퍼스 언어학과 문법 초점
담화 분석과 문법
구어 담화 문법 대 문어 담화 문법
문법에 초점을 두는 교실에서 담화 기반 활동의 효과적인 사용
교실 활동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2부 문법 초점에서 상호작용 그리고 출력에 기반한 선택들
Interaction-and Output-based Options in Focus on Grammar

5장 / 상호적인 피드백을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이론적인 배경
상호작용적 피드백
여러 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적 피드백
쓰기 오류에서의 상호적인 피드백
어떤 오류가 수정되어야 하는가?
상호작용적 피드백에 대한 경험적 연구
교사를 위한 제안들
교실 활동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6장 /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배경과 근거
구조 기반 초점 과제
암시적인 문법 초점 과제
명시적인 문법 초점 과제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를 위한 목표 형태 선정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 중의 학습자 출력
암시적·명시적으로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의 예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7장 / 협력적 출력 과제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이론적 근거
출력 가설
사회문화적 관점
협력적 출력 과제
협력적 출력 과제의 효과
교실 활동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3부 교수의 맥락과 문법에 초점 두기
Instructional Contexts and Focus on Grammar

8장 / 문법 초점에서의 맥락의 역할
서론
제2언어 맥락과 외국어 맥락
비원어민 화자 대 원어민 화자: 세계 영어
EFL 학습자의 숙달도 수준
학습자의 연령
사춘기 이후
교실 학습 환경: 무교육 몰입 환경, 몰입, 별도 편성 수업, (내용) 보호 영어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9장 / 결론: 제2언어 교실에서의 문법 초점
요점 1: 모든 문법 형태와 구조가 교수에 동일하게 반응하는 것은 아니다
요점 2: 성공적인 교육은 다차원적이다
요점 3: SLA 이론과 연구는 언어 교실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제안을 제공할 뿐이지 최종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요점 4: 교사는 교수 접근법에 있어서 절충적이어야 한다
요점 5: 교사는 방법론을 학습하고 적용하는 주체가 아니라 전문성을 갖춘 결정자이다
맺음말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Sandra Fotos (지은이)    정보 더보기
Adjunct Professor, Applied Linguistics,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Victoria, British Columbia, Canada. Retired Professor, English and Applied Linguistics, Senshu University, Kanagawa, Japan 저서: ‌Studies in Japanese Bilingualism. Clevedon, UK: Multilingual Matters (2000, co-edited with Mary Noguchi) New Perspectives on Grammar Teaching in Second Language Classrooms. Mahwah, NJ: Lawrence Erlbaum (2002, co-edited with Eli Hinkel) New Perspectives on CALL for the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Classroom (2004, co-edited with Charles Browne) 외 다수
펼치기
Hossein Nassaji (지은이)    정보 더보기
Professor, Applied Linguistics,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Victoria, British Columbia, Canada. 연구 분야: ‌제2언어 습득, 수정적 피드백, 형태 초점 교수, 과제 기반 교육 저서: ‌Interactional Feedback Dimension in Instructed Second Language Learning (2015) Form-Focused Instruction and Teacher Education: Studies in Honour of Rod Ellis (2007, with Sandra Fotos) Corrective feedback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2017, with Eva Kartchava) 외 다수
펼치기
김은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위: ‌하와이주립대학교 동아시아어문학과 문학박사(Ph.D.) 소속: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한국어문화학과 강의 경력: 한국어교육학, 대조언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 외 다수 논문: ‌김은호(2018), 한국어 인터뷰 평가에 나타난 면접자의 다중 질문 연구, 한말연구 47, 한말연구학회, 89-122쪽. 김은호(2020), TV 대선 토론에서 나타난 후보자의 질문 전략, 국제어문 85, 국제어문학회, 121-149쪽. 그 외 다수
펼치기
성지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위: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소속: 고려대학교 국제어학원 전임강사 강의 경력: 한국어 문법교육론, 한국어 교육과정론, 한국어 교재론 외 다수 논문: 성지연(2017), 구어 문법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6,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26쪽. ‌성지연(2014), 명사절 구성 항목 교육을 위한 입력 중심 기법과 산출 중심 기법의 적용 연구, 한국어학 62, 한국어학회, 293-314쪽. 그 외 다수
펼치기
김서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현재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거쳐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초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 ‘한국어 문법 교수법’을 집필하였으며,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학 분야의 주요 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 저서와 논문으로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학개론(공저, 2023)》, 〈한국어 교육에서의 수업 컨설팅 적용 방안 연구(2022)〉, 〈외국어 상호작용 분석 도구(FLint)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양상 분석 연구(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역자 서문

언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중요성은 굳이 강조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언어교육학과 언어학 전공자들 역시 관련 연구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원저인 Teaching Grammar in Second Language Classroom은 Hossein Nassaji와 Sandra Fotos의 두 공저자에 의해서 집필되었다. 저자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은 의사소통적 문법 교육에 대한 최근 이론과 연구뿐만 아니라 제2언어 교실에서 의사소통적 문법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교육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교실 맥락에서 문법 초점과 의사소통 초점의 통합을 추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고 그 구체적인 활동을 예로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나아가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사들이 실제로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역자들은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로서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을 탐구하는 연구자로서 문법 교육과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을 통합하는 다양한 방법을 얻고자, 그리고 많은 현장 교사 동료와 연구자들과도 함께 이 방법들을 나누고자 하는 마음에서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다. 번역은 저자들이 관심 있는 장들을 자유롭게 선택했으며(1장, 6장, 7장은 김서형, 2장, 5장, 8장은 성지연, 3장, 4장, 9장은 김은호), 여러 번의 모임을 통해 내용을 수정하고 용어와 형식을 통일하였다. 번역 과정에서 원문에 충실하되 한글 텍스트만 읽어도 이해하는 데 무리가 없도록 유념해서 번역 작업을 하였다. 예를 들어 문장 구성이 길고 복잡한 경우에는 원문 문장을 분리하기도 하였고, 때로는 생략하거나 보충하기도 하는 식으로 번역을 하였다. 본 작업을 처음부터 끝까지 세심하게 편집하여 깔끔한 책으로 내어 주신 한국문화사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 물론 남아 있는 오류는 전적으로 역자들의 책임이다. 문법 교육에 관심 있는 연구자들에게, 그리고 교사들에게 이 한국어 번역서가 의미 있는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문법은 언어의 핵심이다. 문법이 없는 언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문법 교육의 역할만큼 언어 교수학(language pedagogy) 분야에서 논쟁이 된 것도 없다. 문법 규칙을 형식적인 제시를 통해 명시적으로 배우도록 할 것인가 또는 유의미한 언어 사용 환경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하여 암시적으로 배우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Kelly(1969)에 따르면, 이 논쟁은 언어 교육이 시작된 이래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문법을 가르치는 전통적인 접근법에서 드러난 문제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의사소통 접근법에 대한 불만족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Long(1991)은 형태 초점 교수(Focus on Form, FonF)이라고 이름 지은 접근법을 제안했다. Long은 이것을 형태 중심 교수(Focus on forms; FonFs) 및 의미 초점 교수(Focus on meaning)와 구별했다. FonFs는 전통적인 접근법으로 분석적 교수요목을 대표하며, 언어란 연속적이고 추가적으로 습득될 수 있는 일련의 문법 형태로 구성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의미 초점 교수는 종합적이며, 학습자들이 언어를 귀납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 언어의 기본 문법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따라서 의미 초점 교수는 형태에 관심을 두지 않으며 오직 의미만을 기반으로 한 활동을 강조한다. 이와 반대로 형태 초점 교수는 유의미한 의사소통 맥락에서 학습자들의 주의를 언어 형태로 이끄는 교수법 가운데 하나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6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