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69191081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3-09-04
책 소개
목차
■ 역자 서문
■ 서문
■ 감사의 말
1장 / 문법 교수의 흐름
서론
문법 교육의 변화
문법 기반 접근법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청화식 교수법
문법 기반 접근법의 부적절성
의사소통 기반 접근법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접근법의 부적절성
최근 전개된 논의들
형태 초점 교수를 바라보는 최근의 관점
과제 기반 접근법의 재고
형태 초점 교수에 대한 우리의 이해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1부 문법 초점에서 입력에 기반한 선택들
Input-based Options in Focus on Grammar
2장 / 처리 교수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입력 그리고 언어 학습에서의 입력의 역할
입력 처리
처리 교수
처리 교수의 실증적인 증거
구조화된 입력
구조화된 입력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지침들
교실 활동: 구조화된 입력 활동의 예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3장 / 텍스트 강화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이론적 배경
입력 강화
입력 강화의 유형
외부적 입력 강화 기법으로서의 텍스트 강화
텍스트 강화의 다양한 형태
텍스트 강화의 효과
교실 활동: 텍스트 강화의 추가적인 예시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4장 / 담화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담화 및 담화 능력이란 무엇인가?
문장 수준 대 담화 수준 문법
문법 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초점의 필요성
코퍼스 언어학과 문법 초점
담화 분석과 문법
구어 담화 문법 대 문어 담화 문법
문법에 초점을 두는 교실에서 담화 기반 활동의 효과적인 사용
교실 활동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2부 문법 초점에서 상호작용 그리고 출력에 기반한 선택들
Interaction-and Output-based Options in Focus on Grammar
5장 / 상호적인 피드백을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이론적인 배경
상호작용적 피드백
여러 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적 피드백
쓰기 오류에서의 상호적인 피드백
어떤 오류가 수정되어야 하는가?
상호작용적 피드백에 대한 경험적 연구
교사를 위한 제안들
교실 활동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6장 /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배경과 근거
구조 기반 초점 과제
암시적인 문법 초점 과제
명시적인 문법 초점 과제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를 위한 목표 형태 선정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 중의 학습자 출력
암시적·명시적으로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의 예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7장 / 협력적 출력 과제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이론적 근거
출력 가설
사회문화적 관점
협력적 출력 과제
협력적 출력 과제의 효과
교실 활동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3부 교수의 맥락과 문법에 초점 두기
Instructional Contexts and Focus on Grammar
8장 / 문법 초점에서의 맥락의 역할
서론
제2언어 맥락과 외국어 맥락
비원어민 화자 대 원어민 화자: 세계 영어
EFL 학습자의 숙달도 수준
학습자의 연령
사춘기 이후
교실 학습 환경: 무교육 몰입 환경, 몰입, 별도 편성 수업, (내용) 보호 영어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9장 / 결론: 제2언어 교실에서의 문법 초점
요점 1: 모든 문법 형태와 구조가 교수에 동일하게 반응하는 것은 아니다
요점 2: 성공적인 교육은 다차원적이다
요점 3: SLA 이론과 연구는 언어 교실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제안을 제공할 뿐이지 최종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요점 4: 교사는 교수 접근법에 있어서 절충적이어야 한다
요점 5: 교사는 방법론을 학습하고 적용하는 주체가 아니라 전문성을 갖춘 결정자이다
맺음말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역자 서문
언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중요성은 굳이 강조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언어교육학과 언어학 전공자들 역시 관련 연구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원저인 Teaching Grammar in Second Language Classroom은 Hossein Nassaji와 Sandra Fotos의 두 공저자에 의해서 집필되었다. 저자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은 의사소통적 문법 교육에 대한 최근 이론과 연구뿐만 아니라 제2언어 교실에서 의사소통적 문법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교육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교실 맥락에서 문법 초점과 의사소통 초점의 통합을 추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고 그 구체적인 활동을 예로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나아가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사들이 실제로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역자들은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로서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을 탐구하는 연구자로서 문법 교육과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을 통합하는 다양한 방법을 얻고자, 그리고 많은 현장 교사 동료와 연구자들과도 함께 이 방법들을 나누고자 하는 마음에서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다. 번역은 저자들이 관심 있는 장들을 자유롭게 선택했으며(1장, 6장, 7장은 김서형, 2장, 5장, 8장은 성지연, 3장, 4장, 9장은 김은호), 여러 번의 모임을 통해 내용을 수정하고 용어와 형식을 통일하였다. 번역 과정에서 원문에 충실하되 한글 텍스트만 읽어도 이해하는 데 무리가 없도록 유념해서 번역 작업을 하였다. 예를 들어 문장 구성이 길고 복잡한 경우에는 원문 문장을 분리하기도 하였고, 때로는 생략하거나 보충하기도 하는 식으로 번역을 하였다. 본 작업을 처음부터 끝까지 세심하게 편집하여 깔끔한 책으로 내어 주신 한국문화사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 물론 남아 있는 오류는 전적으로 역자들의 책임이다. 문법 교육에 관심 있는 연구자들에게, 그리고 교사들에게 이 한국어 번역서가 의미 있는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문법은 언어의 핵심이다. 문법이 없는 언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문법 교육의 역할만큼 언어 교수학(language pedagogy) 분야에서 논쟁이 된 것도 없다. 문법 규칙을 형식적인 제시를 통해 명시적으로 배우도록 할 것인가 또는 유의미한 언어 사용 환경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하여 암시적으로 배우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Kelly(1969)에 따르면, 이 논쟁은 언어 교육이 시작된 이래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문법을 가르치는 전통적인 접근법에서 드러난 문제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의사소통 접근법에 대한 불만족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Long(1991)은 형태 초점 교수(Focus on Form, FonF)이라고 이름 지은 접근법을 제안했다. Long은 이것을 형태 중심 교수(Focus on forms; FonFs) 및 의미 초점 교수(Focus on meaning)와 구별했다. FonFs는 전통적인 접근법으로 분석적 교수요목을 대표하며, 언어란 연속적이고 추가적으로 습득될 수 있는 일련의 문법 형태로 구성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의미 초점 교수는 종합적이며, 학습자들이 언어를 귀납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 언어의 기본 문법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따라서 의미 초점 교수는 형태에 관심을 두지 않으며 오직 의미만을 기반으로 한 활동을 강조한다. 이와 반대로 형태 초점 교수는 유의미한 의사소통 맥락에서 학습자들의 주의를 언어 형태로 이끄는 교수법 가운데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