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성차별/성폭력문제
· ISBN : 979116929617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4-11-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친족 성폭력 생존자 K씨의 사례
2장 트라우마의 영향
1. 트라우마의 인지적 영향
2. 트라우마가 정서적 영향
3. 트라우마의 신체적 영향
4. 트라우마의 대인관계적 영향
5. 트라우마의 영적 영향
3장 성범죄자에게 내리는 처벌
1. 근친 성폭력범죄자에게 내리는 판결
2. 판결의 근거(감형 이유)
3. 처벌권을 독점한 국가권력
4. 피해자에게 처벌권이 주어진다면
4장 침묵과 용서
1. 용서의 7단계
2. 피해자들 간의 용서
3. 자신에 대한 용서
4. 환경에 대한 용서
5. 사람의 용서 = 하늘의 용서
6. 가해자가 용서의 단계를 거치지 않으려 할 때
각자가 써야 할 용서의 페이지
5장 치유와 회복
1. 과거를 스토리텔링하기
2. 냉담한 마음 녹여내기
3. 무기력 극복하기
4. 수치심 털어 내기
5. 통제권 회복하기
6. 대처 능력 자원 개발하기
7. 삶을 작은 계획들로 채우기
8. 마음챙김 명상하기
9. 어린 시절 상실에 대한 애도
10. 자조모임 만들기
11. 꿈을 향해 나아가기
맺음말
부록: 마음챙김 명상하기
작가 인터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몸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범죄 중 성범죄는 한 사람의 신체, 인지, 정서, 영적인 영역까지 깊숙이 침해하고 파괴한다. 이런 엄청난 범죄를 당해도 피해자는 무엇이 문제인지 인지하지 못하고 파괴되어 가는 자신의 인생에 관해 함구한다. 입을 열어야 가해자와 사회가 주입한 메시지를 뽑아 버릴 수 있다. 이 메시지를 직시하고 저항하고 뿌리 뽑지 않으면 피해자는 평생 그 잘못된 메시지를 마음에 품고 온갖 부작용을 겪으며 불행하게 살아야 한다.
- 머리말 중
외부의 왜곡된 인식을 바탕으로 자기 정체성을 형성한 피해자는 자신은 살 만한 가치가 없고, 형편없고, 깨지고 결함 있는 존재로 자각한다. 자신은 좋은 것을 누릴 자격이 없고, 행복해질 가능성이 없고, 살아가는 자체가 짐이며 해악이라고 여긴다. 범죄를 저지른 가해자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이토록 비하하거나 사회적으로 위축되지 않는다. 성범죄를 저지른 가해자는 일정 기간 처벌받은 후 3년 내 재범률이 60%나 된다(세계일보, 2020. 11. 30.).
국가는 처벌권을 독점하고 가해자를 제대로 처벌하지도, 피해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주지도 못했다. 형태를 달리하여 변질되고 진화하는 성범죄가 끊임없이 양산되는 현실은 우리 사회가 건전하지도 정의롭지도 않음을 말해 준다. 그렇다고 우리가 몸담은 공동체가 범죄의 구렁텅이로 속절없이 빠져들어 가는 꼴을 그냥 두고 볼 수는 없다. 성범죄의 사슬을 끊고 약자가 존엄한 인간으로 살아갈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