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수사학과 도덕성](/img_thumb2/9791169834452.jpg)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도서] 수사학과 도덕성 (플라톤 「고르기아스」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플라톤
· ISBN : 9791169834452
· 쪽수 : 102쪽
· 출판일 : 2023-06-3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플라톤
· ISBN : 9791169834452
· 쪽수 : 102쪽
· 출판일 : 2023-06-30
책 소개
플라톤의 대화편은 모두 아테네 사회를 비판하면서 이상적인 공동체 사회의 청사진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십여 편에 이르는 그의 대화편들은 모두 그의 그러한 염원을 담고 있다.
목차
서문
제1장 '부끄러워함'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플라톤의『고르기아스』를 읽을 수 있는 가?
1. 왜 부끄러워함이고, 왜『고르기아스』인가?
2.『고르기아스』는 수사학인가, 도덕철학인가?
3. 수사학과 도덕성의 대립: 소크라테스 vs. 고르기아스 · 폴로스 · 칼리클레스
4. 소크라테스만이 삶과 죽음을 통하여 자신의 철학과 조화를 이루는 철학자이다
제2장 수사학은 도덕적인가 탈(脫)도덕적인가?
1. 소크라테스는 고르기아스의 명제와 삶의 일치성을 음미한다
2. 수사학에 대한 고르기아스의 정의: 수사학은 전지전능하고 탈도덕적이다
3. 고르기아스의 정의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비판: 수사학은 도덕적인 기술이다
4. 소크라테스의 논박은 고르기아스의 도덕적 회심에 주력한다
제3장 우리는 과연 어떠한 삶의 방식을 선택해야만 하는가?
1. 어떻게 살 것인가?
2. 칼리클레스적인 삶의 방식이란 무엇인가?
3. 소크라테스적인 삶의 방식이란 무엇인가?
4. 정의와 선을 지향하는 삶은 인간의 궁극적인 행복을 보존해준다
제4장 소크라테스적인 삶의 방식은 이 세상뿐만 아니라 저 세상에서도 유효한가?
1. 소크라테스는 최후의 심판과 제우스의 정의를 믿는다
2. 정의롭게 살고 죽는 것, 그것이 문제다
3. 소크라테스의 종말론적 뮈토스는 로고스에 입각한 진리와 동일시된다
4. 소크라테스의 뮈토스는 진리에 영원성을 각인하는 징표이다
참고문헌
미주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