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9836395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23-08-31
목차
감사의 말
문제 제기와 함께 시작하는 글
제1부 우주와 인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존재와 삶의 의미에 대하여
1) 존재의 우연과 시·공간의 상대성
2) '공감하는 삶'을 일깨우는 과학과 철학의 진리
3)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4) 과학을 통해 본 인생의 의미
2. 생명체의 탄생과 생명의 원리
1) 생명은 신의 창조물인가? 자연의 우연한 산물인가?
2) 생명의 원리(특성)
3. 인간 본성과 자유의지에 관하여
1) 재고되어야 할 이성적 존재의 의미
2) 과연 인간의 불변적 본성은 있는가?
3)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진 존재인가?
4. 어떤 사유에 기반한 삶을 원하는가?
1) 종교의 역할과 신으로부터의 해방
2) 전일적 우주관의 정립
3) 인간 존엄의 근거
제2부 외로움이 없는 세상
1. 외로움이 없는 세상을 위하여
1) 외로움이란 어떤 것인가?
2) 외로움과 신뢰의 연관성
2. 우리는 '외로움이 없는 세상', '자살자가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제3부 신뢰사회로의 진보
1. 정의란 무엇인가?
1) '사회적 이상'으로서의 정의
2) 정의에 관한 법철학적 접근 이해
3) 정의감은 진화한다
4) 정의의 본질(원리)
5) 정의는 어떠해야 하는가?
2. '정의'제일주의에서 '인애'제일주의로
1) 정의의 보편적(절대적) 기준은 없다
2) '사랑 없는' 정의사회론
3) 인애 우선의 '모정주의적 대동국가론'
4) 사랑의 의무와 사랑의 자유
3. 공정성 감각의 본유성
1) 정의감은 인위적인 덕인가? 진화적 본성인가?
2) 진화적 본성으로서의 정의감
3) 한국인의 공정성 감각
4. 인애 우선의 사회제도
1) 우리는 어떠한 나라를 원하는가?
2) 상속의 제한과 사회보장의 확충
3) 사회복지정책과 보건 의료의 공개념
4) 주거 보장의 의미와 정주권
5) 사회적 시장경제
제4부 (부록) 일상의 공감세계
1. 동물과 아이들
2. 생활 속의 공감 산문
(부록) 일상의 공감세계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세상일이란, 숙명적으로 미리 결정된 것도 아니고, 우연에 의한 것도 아니며, 신의 섭리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세상일은 연기적 관계로 내부적인 인(因)과 외부의 조건이 만드는 연(緣)에 따라 일어나며 인간의 노력과 의지가 여기에 강력하게 작용한다고 보여진다.
그렇게 '상호인과율'로 맺어진 세상에서라면 우리의 삶은 더 이상 꼭두각시 노름이 아니며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라 할 수 있고, 인생은 나름대로의 가치와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공감'이 우리 삶의 목적이 되어야 하는 이유도 거기로부터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