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70411390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24-01-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인공지능이 무엇인가요?
1. 인공지능은 뭘 먹고 크나요?
2. 인공지능의 성장 과정
하나를 알려주면 하나만 아는 규칙 기반 인공지능 | 스스로 규칙을 알아내는 머신러닝 | 사람의 뇌를 닮은 딥러닝
2장. 인공지능은 어떻게 똑똑해질까요?
1. 학습 데이터를 다듬어 주자, 전처리
인공지능은 숫자만 아는 바보 | MBTI로 알아보는 벡터와 행렬
[똑똑이 아이템 1] 코사인 유사도
뭐든지 숫자로 바꿀 수 있는 주문, 원핫인코딩 | 숫자도 전처리가 필요해
2. 인공지능의 공부 비법
정답을 알려 주고 학습하는 지도 학습 | 정답 없이 학습하는 비지도 학습 | 당근과 채찍으로 학습하는 강화 학습
[똑똑이 아이템 2] 미분과 경사 하강법
3. 인공지능의 시험 성적표
몇 문제 맞혔니? 정확도 | 3번으로만 찍으면 안 돼! 정밀도, 재현율, F1 | 한눈에 들어오는 성적표, 혼돈 행렬
[똑똑이 아이템 3] 정밀도와 재현율의 상충 관계
[똑똑이 아이템 4] 번역 인공지능의 성적표, BLEU
[똑똑이 아이템 5] 인공지능과 체리의 상관관계
3장. 인공지능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1. 언어학이 인공지능에 미친 영향
단어로 덧셈과 뺄셈하기, Word2vec
[똑똑이 아이템 6] 요점만 공부하자, 불용어
추천템으로 덧셈과 뺄셈하기, Item2vec
[똑똑이 아이템 7] 처음 보는 단어도 끄떡없는 Fasttext
2. 유튜브 알고리즘은 내 취향을 어떻게 알까?
친구의 피드를 참고하는 협업 필터링 | 행렬 더 알아보기 | 취향을 알아내는 행렬 분해
[똑똑이 아이템 8] 매개변수와 초매개변수
3. 다음 말을 예측해 봐, ChatGPT
ChatGPT의 할머니, 트랜스포머
[똑똑이 아이템 9] 함수와 행렬
[똑똑이 아이템 10] 단어와 토큰
국어를 잘해야 공부를 잘하는 이유, 사전학습과 미세조정
[똑똑이 아이템 11] 트랜스포머와 <세서미 스트리트>
ChatGPT의 엄마, GPT
[똑똑이 아이템 12] 알쏭달쏭 인공지능 용어 풀이
ChatGPT
[똑똑이 아이템 13] 인공지능도 원샷을 한다
4장. 우리가 만들어 나가야 할 인공지능 윤리
1. 인공지능 판사는 인간 판사보다 공정할까?
2. 데이터 도둑, 인공지능
3. 인간의 희생이 필요한 인공지능
4. 인공지능의 거짓말에 속는 우리
[똑똑이 아이템 14] 인공지능이 쓴 글에 숨은 워터마크
5. 인공지능이 더럽히는 지구
[똑똑이 아이템 15] 유럽 연합의 인공지능 규제 법안
5장. 인공지능이 그려 갈 미래를 알아봐요
1. 취업한 인공지능, 실직한 우리?
2.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일상
3. 인공지능의 미래
맺음말
부록_인공지능 연구원이 되고 싶다면?
미주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여러분이 시험공부를 할 때 공부할 교과서, 8시간은 거뜬히 버틸 수 있는 체력까지 준비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나 공부하는 방법을 몰라서 무작정 교과서를 한 장씩 뜯어 먹었다면 어떨까요? 전혀 머리에 남는 게 없고 시험은 망치게 될 것입니다. 여기서 교과서는 데이터, 체력은 컴퓨터 성능이라고 본다면, 공부하는 방법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해당합니다.
‘딥러닝(Deep Learning)’은 머신러닝의 한 종류입니다. 그러나 더 복잡한 문제의 규칙을 잘 찾아낼 수 있도록 인간의 뇌를 본떠 만든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이용합니다. 딥러닝은 기존 머신러닝이 처리하기 어려웠던 비정형 데이터를 잘 처리하고 학습할 수 있습니다. ChatGPT도 이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되었습니다. 비정형 데이터가 무엇이냐고요? 데이터는 크게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형 데이터는 구조화된 데이터로, 학생들의 나이, 성적, 키, 객관식 문제의 정답 등이 해당합니다. 비정형 데이터는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로, 오늘의 급식 메뉴, 자기 소개서 내용, 서술형 문제의 정답 등이 해당합니다.
여러분은 혹시 반려견을 키우고 있나요? 강아지에게 ‘앉아’를 가르치고 싶으면 어떻게 하세요? ‘앉아’라고 말했을 때 강아지가 앉는다면 간식을 주고, 앉지 않는다면 간식을 주지 않으면서 가르칩니다.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도 같은 방식으로 인공지능을 학습시킵니다. 이세돌을 이긴 알파고가 강아지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했다는 사실이 신기하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