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70832416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25-02-24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서론_공평하게 다루기: 실제적이고 비평적인 성서 해석
01 창세기
“우리의 형상을 따라”
보완과 단절
복과 함께 시작된 여정
02 출애굽기
이집트 탈출
하나님의 백성됨
03 레위기
거룩함을 구현하다
야훼와의 하나됨 그리고 땅
04 민수기
복의 표지, 죄가 부른 재앙
느리게 폭력 읽기
05 신명기
사랑과 경외를 배움
토라와 약속의 땅에서의 삶
06 여호수아
비정복 내러티브
거대한 혼란: 주전 13세기 가나안
07 사사기
지도력과 불만
08 룻기
취약한 보호자
09 사무엘상하와 열왕기상
통일 왕국: (거의) 실패한 소망
선택받은 자들의 비극: 사울의 왕권
다윗을 어떻게 볼 것인가
지혜, 능력, 예배: 솔로몬의 통치
예언적 말씀의 통치
10 소예언서
주전 8세기의 즉흥시 발표회: 예언자들의 공연
번영에 제기된 의문
정의와 친밀함
대적을 미워함
11 이사야
왕을 보라
확장되는 비전
12 예레미야와 예레미야애가
슬픔을 아는 이
하나님께 진실을 말하다
재앙과 사랑시
13 에스겔
세상 끝을 예언하다
14 시편
실재와 찬양
탄식의 지혜
15 잠언과 전도서
평범한 사람들의 시
16 욥기와 아가
하나님과의 친밀함: 고뇌와 환희
하나님과의 갈등 배우기
친밀함의 환희
17 에스더와 다니엘
이방인의 세계와 유대적 상상력
대량 학살과 해학
역사의 풀무에서 살아남기
18 에스라-느헤미야와 역대상하
정체성 협상
두 번째 정착
다시 읽는 이야기
주
용어 해설
인명·지명·성구 색인
책속에서
이 책의 목적은 오늘날 신학적 주석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나는 이 책을 유대인과 그리스도인 모두를 위해 집필했으며, 설교 강단에서 주석을 수행하는 이들을 포함해 학문적 배경이나 회중적 배경에서 가르치고 공부하는 이들을 염두에 두었다. 이 책은 실천신학적인 작업이다. 즉 이 책은 성서 자체가 인간의 상황과 성향에 대해 실제적이고 정직하기를 멈추지 않으며, 하나님 체험이 어떻게 우리 존재를 정의하고 그 모습을 결정짓는지 흔들림 없이 주목한다는 나의 이해를 반영하고 있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히브리 성서의 거의 모든 책에 대한 면밀한 읽기를 보여주며, 각 책의 중요한 구절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이 책의 접근법은 성서에 대한 나의 또 다른 이해를 반영한다. 나는 성서 각 책이 정경에 고유한 기여를 하며, 성서의 다른 부분의 관점을 가져오고, 보완하고, 도전한다고 이해한다. 더 나아가 성서 정경이 그것을 권위 있게(내가 속한 성공회 전통에서는 이 용어를 명확히 정의하지 않는다) 여기는 이들에게 안내서로서 지니는 가치는, 대체로 개별 책들에(심지어 하나의 책 안에도) 나타나는 다양하고도 때로 상이한 관점들에 있다.
_서문
창세기를 속도를 내어 읽기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속도를 늦추게 하는 요소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창세기에는 수수께끼 같은 문구, 계속 읽어 나가며 염두에 두어야만 할 낯선 개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학적 패턴과 신학적 역학, 우리 머릿속에 무의식적으로 가지고 있는 주일학교식 그림과 전혀 다른 하나님 묘사, 또 성서 전체에서 가장 풍부한 인물 연구가 다수 등장한다. 따라서 이 책을 읽을 때는 여유를 가지고 천천히 읽어야 한다.
_ 창세기 - “우리의 형상을 따라”
출애굽기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는 이스라엘 백성이 어떻게 야훼를 그들의 하나님으로 ‘알게’(인식과 포용이라는 심층적 의미에서) 되는 가이다. 그 일차적 주제는 두 가지 다른 주제로 확대된다. 첫째, 이스라엘이 민족으로 형성되고 “모든 민족 중에서” 선택한 야훼의 특별한 “소유”로서 좌충우돌하며 자라는 과정, 그리고 둘째로 야훼를 알려고 하지 않는 파라오의 지속적인 거부다.
_ 출애굽기 – 이집트 탈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