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창작.문장작법
· ISBN : 9791170872535
· 쪽수 : 656쪽
· 출판일 : 2024-10-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이야기와 스토리텔링
제1장 기본 개념과 의의
1. 이야기
가. ‘이야기’라는 말
나. 특성
다. 형상화의 양상
라. 구조와 감상
[연습 1]
마. 갈래
[연습 2]
2. 스토리, 스토리텔링
가. 개념
나. 스토리텔링의 역사
다. 스토리텔링의 기능과 의의
[연습 3]
제2장 이야기의 구조와 스토리텔링
1. 이야기의 요소와 층위
가. 스토리와 서술
나. 주제, 메시지
다. 스토리의 두 층위
라. 낯설게 하기, 낯익게 하기
마. 구조의 완성을 위한 유의점
[연습 4]
2. 스토리텔링의 상황과 방식
가. 서술상황과 ‘서술언어’
나. 표현적 이야기의 서술
[연습 5]
제3장 이야기의 요건과 작자의 자세
1. 언어 표현의 적절성과 세련성
[연습 6]
2. 갈래와 유형의 관습성
[연습 7]
3. 그럴듯함
가. 개념
나. 기준
[연습 8]
4. 가치성
가. 인식적 가치
나. 정서적 가치
다. 효용적 가치
[연습 9]
5. 참신성
[연습 10]
제2부 스토리텔링 기법
제1장 사건의 설정
1. 애니메이션 <겨울 왕국> 분석
가. 발상
나. 상황 분석, 제재
다. 갈등, 스토리
2. 사건의 설정과 전개 기법
[연습 1]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사건 분석
제2장 인물의 설정
1. 영화 <센스 앤 센서빌리티> 분석
가. 특질, 성격
나. 성격 분석, 기능
2. 인물의 설정 기법
[연습 2]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인물 분석
제3장 인물 그리기
1. 인물 그리기라는 것
2. 인물 그리기 기법
[연습 3] TV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의 인물 그리기 분석
제4장 공간의 활용
1. 공간이라는 것
2. 공간의 설정과 활용 기법
[연습 4] 영화 <기생충>의 공간 분석
제5장 플롯 짜기
1. 플롯이라는 것
2. 플롯 짜기의 기법
[연습 5] 소설 <그 가을의 사흘 동안>의 플롯 분석
제6장 서술의 상황과 방식 설정
1. 서술방식이라는 것
2. 서술의 상황과 방식 설정 방법
[연습 6] 소설 <그 가을의 사흘 동안>의 서술방식 분석
제3부 스토리텔링 연습
제1장 기초 다지기
1. 상상 모험
[연습 1]
2. 상황
[연습 2]
3. 행동, 인물
[연습 3]
4. 갈등, 사건, 스토리
[연습 4]
5. 공간
[연습 5] <반지의 제왕 3 - 왕의 귀환>의 공간 읽기
6. 서술
가. 장면
[연습 6]
나. 인물의 특질
[연습 7] ‘인물 서술의 기법’ 워크숍 프로그램
다. 대사
[연습 8] 콩트 완성하기
라. 플롯 1
[연습 9] 같은 사건, 다른 플롯과 초점화
마. 플롯 2
[연습 10] 도입부, 암시
제2장 경험, 자료, 유형의 활용
1. 스토리텔링과 ‘전용’
[연습 11] 설화 <여우 누이 이야기>의 전용
2. 경험의 활용
가. ‘경험 이야기 수필’ 창작하기
[연습 12] ‘경험 이야기 수필’ 창작
나. 경험 살려 허구적 이야기 창작하기
[연습 13-1, 2] ‘경험을 살린’ 허구적 이야기 창작 프로그램
3. 역사문화 자료의 활용
가. 역사문화 이야기의 두 계열
나. ‘정보적’ 역사문화 이야기 창작하기
[연습 14] ‘정보적’ 역사문화 이야기 창작 프로그램
4. 스토리 유형의 활용
가. 영웅 이야기
[연습 15] 《홍길동전》과 <라이언 킹> 비교
나. 길 이야기
[연습 16] 영화 <로드 두 퍼디션> 분석
다. 추리 이야기
[연습 17] 소설 《최후의 증인》 분석
제3장 작품 완성하기
[연습 18] 중심사건 설정하기
[연습 19] 인물 설정하고 그리기
[연습 20] 공간의 활용
[연습 21] 플롯 짜기
[연습 22] 서술의 상황과 방식 설정
미주(인용 출처)
참고 문헌
찾아보기(용어, 작품)
연습 문제의 ‘답과 해설’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스토리텔링 감각을 예민하게 벼리며 상상력에 불을 지르기 위한 하나의 길잡이다. 세련된 스토리텔링을 꿈꾸는 이들의 '이야기 문해력' 향상을 돕고, 창작 과정을 위협하는 여러 유혹을 합리적으로 이겨내는 데 기여하기 바란다. _ 「머리말」에서
매체혁명 시대의 산물 혹은 내용물인 콘텐츠는 문학과 비문학, 예술과 실용, 작품과 상품, 또 그들의 창작과 생산 등의 경계를 허무는 동시에 새롭게 융합하고 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장르를 뒤섞고 재생산하는 양상만 보아도 금세 알 수 있다. 부르는 말도 다양한 이 시대(정보화 시대, 콘텐츠 산업 시대, 융합의 시대, 뉴미디어 시대, 디지털 혁명 시대, 다중매체 시대 등)를 맞아, 인간의 기본 담화 양식의 하나인 이야기는 한층 더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바야흐로 '스토리텔링의 시대'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