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7087350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5-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정상적인 삶’이라는 유령이 나타난 순간을 찾아서
서론. 도시가 극장이 될 때
: 1988년 서울올림픽과 공연의 정치
메가이벤트 서울올림픽
기억 속의 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을 들여다보는 렌즈: 스펙터클, 극장, 시선
공연이라는 관점으로 서울올림픽 보기
극장도시 서울이 탄생하기까지
1부. 군인들의 드라마투르기
: 1960~1970년대 군인들의 극작법
1장. 군인들, 연출자가 되다
중단된 공연
연출자들의 등장
오디션과 탈락자들
감시와 규율 속의 배우들
가설무대
2장. 발전국가, 스펙터클을 꿈꾸다
배우라는 꿈
‘국제 무대’를 향한 꿈
무대 만들기
공연 계획
사라진 연출자들
2부. 막간 이후
: 재등장한 군인들의 극작법
3장. 신군부, 메가폰을 손에 넣다
재등장한 연출자들
차이와 반복
달라진 드라마투르기
4장. 공연은 계속돼야 한다
우연히 손에 넣은 대본
흥행작 따라 하기: 1964년 도쿄올림픽
총동원되는 스태프로서의 사회
3부. 스펙터클을 연출하기
: 1988년 서울올림픽을 향해
5장. 대본을 새로 쓰다
‘문명’의 서사극
‘외국인’이라는 리바이어던
6장. 배우를 만들다
배역 없는 사람들
배우가 돼버린 사람들
7장. 무대를 만들다
사라지는 무대 소품들
새로 들어서는 무대장치들
4부. 동시 상연
: 서울올림픽의 안과 밖
8장. 목소리들이 울려 퍼지다
극장 바깥에서 들려오는 목소리들
극장 안을 내파하는 목소리들
9장. 또 다른 올림픽들이 개최되다
빈민올림픽
남북공동올림픽
10장. 서울올림픽이라는 마당놀이
초대받은 자들의 ‘열린’ 무대
앵콜요청금지: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
커튼콜: 올림픽의 여운과 임대주택
결론. 연극이 끝나고 난 뒤
: 서울올림픽과 88년 체제
스스로를 연출하는 배우들
순회공연: 대전엑스포와 월드컵, 계속되는 극장도시
88년 체제의 탄생
미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의 문제의식은 여기서 출발했다. 정상적인 삶을 낯설게 바라보는 것으로 사회학 공부를 시작했기에, 이러한 삶이 창출되는 방식에 의문을 갖게 됐다. 서구에서는 계급 갈등을 방지하고 빈곤을 예방하는 담론과 실천 속에서 ‘사회적인 것(the social)’이 형성됐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society)’ 또는 정상적인 삶이 창출됐다. (…) 반면 한국사회는 사회적 안전망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사회로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 ‘정상적인’ 생애경로가 형성된 것은 무엇 때문일까? 다시 말해 1950~2020년대 한반도 남부라는 시공간에서 사회가 만들어질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혹시 서구와는 다르지만 한국사회 특유의 사회적인 것이 발생했던 것은 아닐까? 여기서 내가 주목한 것은 1988년 서울올림픽이었다. 그때가 정상적인 삶의 외양을 만든 순간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 〈머리말. ‘정상적인 삶’이라는 유령이 나타난 순간을 찾아서〉
“나는 서울올림픽이라는 공연을 준비하는 과정이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동원해 이들에게 배역을 맡기고 능숙한 연기를 수행하도록 훈련시키는 과정이었다고 본다. 다시 말해 올림픽 개·폐회식과 같은 실제 상연 과정에 참여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올림픽과 더불어 살아가는 모든 사람의 일상이 하나의 공연이 되도록 훈련시키는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올림픽은 연출자들이 사회에 ‘질서’를 도입하려는 시도였다고 볼 수 있다. 그 연장선에서 올림픽의 연출자들은 수도 서울을 자신들이 연출하고자 하는 질서를 체현하는 공간이자, 자신들의 탁월성을 보여주는 모델로 만들고자 했다. 달리 말하자면 서울을 스펙터클한 공연을 위한 극장으로 변화시켰다는 것이다.”
- 〈서론. 도시가 극장이 될 때: 1988년 서울올림픽과 공연의 정치〉
“군인들은 행위로도, 연기로도 번역할 수 있는 ‘퍼포먼스(performance)’를 통해 사회악을 규정했다. 도시라는 무대에 선 배우들이 대본에 따라 능숙하게 연기를 소화해 공연이 매끄럽게 이뤄지는 상황을 ‘정상적인 사회질서’라고 할 때, 사회악은 대본을 따르지 않음으로써 공연을 방해하는 이들, 그와 같은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이들을 가리켰다. 20세기 중반 한국사회에서 발생했던 공연 중단 사태는, 개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식민지배부터 전쟁 동원, 식민지배의 종언과 좌우 대립,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지속적인 외부 충격의 효과로 해석할 여지가 충분하다. 하지만 군인들은 이러한 정황을 전혀 염두에 두지 않았다. 그들에게는 발전의 서사극이 상연돼야 할 무대에 사회악이 있다는 것이, 그들의 행위가 공연을 방해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할 뿐이었다.”
- 〈1장. 군인들, 연출자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