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7117063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3-09-01
책 소개
목차
안동 지도
시작하며
안동의 짧은 역사 ·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
01 태사묘 - 안동 역사의 시작점
02 웅부공원 - 안동 행정의 중심터
안동의 풍수 이야기 : 웅부공원 신목·개목사
03 안동역 - 일제 침탈의 역사
04 안동문화의 거리 - 역사와 문화와 맛집이 있는 거리
05 안동교회 - 근대 기독교의 역사가 담긴 건물
06 임청각 - 독립운동가의 산실
오페라 <금지옥엽>의 무대·일제도 꺾지 못한 자존심
07 안동댐 이전과 이후 - 국가경제와 지역발전의 원동력
08 군자마을 - 광산김씨 집성촌
09 안동소주와 안동포 - 안동의 전통이 만든 명품
10 예끼마을 - 새롭게 태어나는 문화 마을
선상수상길·호반자연휴양림·세계유교선비공원·
안동국제컨벤션센터·산림과학박물관
11 안동의 서원 - 도산서원·병산서원·고산서원·역동서원
12 진성이씨 온혜파 종택 - 대학자를 키운 땅과 집
13 이육사문학관 - 항일시인 이육사의 기록
14 고산정 - 사제 간의 정이 가득한 정자
농암종택 : 실천하는 효도의 끝판왕
15 봉정사·광흥사 - 가장 오래된 화엄고찰과 『훈민정음해례본』이 나온 절
16 제비원 미륵불·법흥사지 7층전탑 - 성주 신앙의 모태
17 인재를 길러낸 명당과 종택 - 경당종택·학봉종택·간재종택
18 체화정 - 정자 속에 숨어 있는 화원 김홍도
19 전통 마을 이야기 - 소산마을·가일전통문화마을·오미마을
20 하회마을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1 권정생 토담집 - 안동이 낳은 아동문학가
22 원이엄마 테마공원 - 지고지순한 사랑의 편지
23 내앞마을 - 영남의 길지: 백하구려·백운정·경상북도 독립운동기념관
24 임하댐과 수몰유적 이야기 - 물속에 잠겨버린 문화유산
25 만휴정·묵계서원 - 만년에 얻은 행복
참고 자료
안동 연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신라 경순왕 4년(930), 고창군 병산에서 벌어진 태조 왕건과 후백제 견훤 간의 싸움에서 권행(權幸), 김선평(金宣平), 장정필(張貞弼)이 왕건을 도와 크게 공을 세움으로써 안동(安東)이라는 지명을 얻게 되었다. 그때 공을 세운 세 사람은 삼태사(三太師)라고 불리며 안동의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해 오고 있다.”-「안동의 짧은 역사」 중에서
“이상룡이 53세 되던 1910년, 한일병합 조약이 체결되면서 조선은 일본에 편입되게 되었다. 향산 이만도 같은 정통 유림들이 단식 순국을 택했던 것과는 달리 이상룡은 일제에의 저항을 선택한다. 이듬해 1월, 이상룡은 일가족을 이끌고 서간도로 망명한다.”-「임청각」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