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71176670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4-07-17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 | 불안을 대하는 방식이 행복을 결정한다
옮긴이의 말 | 불안은 당신의 마음 신호
프롤로그 | 뇌과학자인 내가 불안에 주목한 이유
자가 진단 테스트 1 | 나의 불안감은 어느 정도인가?
1부 불안 다시 보기
1장 불안의 재발견
불안은 뇌가 만들어 낸 반응일 뿐
원시인의 뇌가 우리 머릿속에서 벌이는 일
나쁜 불안으로 가는 길
일상적 불안일까, 불안 장애일까?
불안에 지배받지 않으려면
2장 나쁜 불안과 좋은 불안
뇌는 변한다, 신경가소성이라는 희망
부정적인 감정이 더 오래가는 이유
불안을 관리하는 네 가지 방법
3장 불안은 죄가 없다
불안할 때 우리가 하는 일
감정을 다루는 두 가지 방식
나쁜 불안이 운전대를 잡고 있다면
2부 뇌과학이 밝힌 불안의 여섯 가지 선물
4장 불안이 주는 선물 1.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이 자라는 순간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의 필수조건
스트레스 반응 방식이 뇌 구조를 바꾼다고?
현재의 불안으로 미래의 불안 예방하기
강한 회복탄력성을 가진 사람들의 특성
불안으로 상실의 아픔을 극복하다
5장 불안이 주는 선물 2. 몰입 경험
1만 시간의 법칙은 터무니없는 소리
내 능력은 불안으로 키운다
자극이 만드는 좋은 불안
불안이 방해꾼이 되지 않으려면
이제 불안으로 실력을 발휘할 시간
도판민이 팡팡, 작은 몰입의 팁
긴장을 활용해 도전하라!
6장 불안이 주는 선물 3. 활동가 마인드셋
자신의 한계를 정하는 건 누구인가
불안 덕분에 얻게 된 새로운 마인드셋
태도가 행동을 바꾼다
최악의 시나리오 상상하기
자신의 변화를 인정하고 믿어주기
자신의 문제에 무음 버튼을 누르지 말 것
실패는 배울 수 있는 기회다
불안은 내 상황에 대한 꿀정보
7장 불안이 주는 선물 4. 집중력
집중력을 높여주는 좋은 불안
불안을 조절하는 집행 기능
멀티태스킹이 주의력을 파괴한다
호르몬이 문제라고?
흩어진 주의력을 치유하는 명상
단 10분의 운동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테트리스가 주는 도움
걱정 목록을 활용하는 법
좋은 불안은 생산성으로 이어진다
8장 불안이 주는 선물 5. 사회성
진정한 유대는 나쁜 불안의 방어막
사회적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불안을 막아주는 사랑의 호르몬
좋은 불안으로 배운 공감과 연민의 힘
관심사가 주는 용기
누구나 불안을 연민으로 바꿀 수 있다
9장 불안이 주는 선물 6. 창의성
불안은 창의성의 연료
변화와 치유의 원천이 되는 창의성의 힘
창의적 특성은 선택할 수 있다
창의성은 감정을 처리하려는 노력의 산물
창의성이 일어나는 세 가지 신경 네트워크
창의적 사고의 두 가지 유형
불안이 영감으로 바뀌는 순간
고통은 창의성에 이르는 한 방법
3부 불안과 다른 관계 맺기
10장 불안과 친해지기
불안은 마음 좋은 동창이다
자가 진단 테스트 2 | 불안할 때 어떤 느낌이 드는가?
자가 진단 테스트 3 | 불안을 일으키는 계기는 무엇인가?
마음을 진정시키는 나만의 방법 찾기
불편한 감정을 허용해볼 것
11장 불안을 유리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자신의 감정 조절 전략은?
불안을 다루는 도구 활용법
12장 나를 지키는 좋은 불안 사용법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다섯 가지 방법
작은 몰입의 순간 만들기
활동가 마인드셋으로 속도 높이기
부정적인 자기 대화를 바꾸는 방법
자신의 뇌를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라
창의성은 연습하면 된다
사회성 근육 발달시키기
에필로그 | 불안은 저주가 아니라 힘이 될 수 있다
감사의 말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저마다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불안이란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반응이다. 문제는 우리 몸이 그 스트레스가 실제 상황 때문인지 머릿속으로 만들어낸 상상이나 가설 때문인지 구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불안을 일으키는 신경생물학적 측면과 실제로 뇌와 신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면 이러한 감정을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러면 불안이라는 에너지를 긍정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1장 불안의 재발견
기본적으로 불안은 위험을 피하고자 주의를 끄는 어떤 신호로서 시작될 수는 있지만, 반드시 불편함이나 산만함을 일으키거나 우리가 자연스럽게 추구하는 안녕과 균형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인지 능력을 활용하여 상황을 위험하다고 판단하기보다 도전으로 재해석하여 시련을 극복하고 새로운 학습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우리에게는 감정적 신호에 대한 주의력뿐만 아니라 불안(혹은 감정)을 관리하고, 가능하다면 반응 자체를 관리할 수 있는 여러 선택지가 있다. 우리의 뇌는 실로 놀라운 것이다!
-2장 나쁜 불안과 좋은 불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