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정치비평/칼럼
· ISBN : 9791171258086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25-03-28
책 소개
목차
글을 시작하며
프롤로그: 왜 리더십인가?
제1명령: 동맹을 강화하고 글로벌 연대로 나아가는 리더십을!
제2명령: 혁신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혁신 리더십을!
제3명령: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균형을 도모하는 한국형 에너지 리더십을!
제4명령: 저성장과 저출생을 극복할 혁신균형발전의 리더십을!
제5명령: 복지를 넘어 삶의 질에 투자하는 리더십을!
제6명령: 인재대국에 승부를 거는 리더십을!
제7명령: 강한 리더십을 위해 합작 리더십을!
우리의 근원적 질문: 미래세대에게 어떤 나라를 물려줄 것인가?
에필로그: 개헌에 대하여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화가 주장하는 다수의 지배는 다수가 합의한 객관적 규칙에 의한 통치이며, 일단 합의되면 그 규칙이 통치의 기본 준칙이 됩니다. 그 규칙이 법입니다. 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 법치가 그토록 강조되는 이유가 바로 이 공화의 이념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권력은 이 법에 따라 공적으로 행사되어야 합니다. _ 〈글을 시작하며〉 중에서
미국과의 동맹을 중심에 두고 일본과 연대를 강화하면서 중국과는 한계가 있더라도 평화 유지와 경제적 상호이익을 위해 대화하고 협력하는 노선이 진정한 현실주의이자 실용주의입니다. (중략) 그리하여 대한민국이 중규모 국가임에도 글로벌 리더십의 한 축을 담당하는 국가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_ 〈제1명령: 동맹을 강화하고 글로벌 연대로 나아가는 리더십을!〉 중에서
한 마디로 말해, 지금 혁신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혁신의 파동을 일으키는 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은 기업 이전에 정부이고 국회입니다. 더 큰 문제는 정부나 국회가 이를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_〈제2명령: 혁신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혁신 리더십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