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치의 품격 :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정치의 품격 :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김경동, 진덕규, 박형준 (지은이)
  |  
푸른사상
2020-03-31
  |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000원 -10% 1100원 18,700원 >

책 이미지

정치의 품격 :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책 정보

· 제목 : 정치의 품격 :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91130816364
· 쪽수 : 288쪽

책 소개

사회학자 김경동, 정치학자 진덕규, 그리고 현실정치와 대학강단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박형준 세 사람이 공동으로 저술하였다. 피선거권자와 유권자들이 어떤 기준으로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정치적 선택을 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민주주의의 위기와 대의정치의 한계
2. 왜 도덕성인가?
3. 연구의 목적과 방법
1) 연구의 주제
2) 연구 방법

제2장 집요하게 흐르는 한국의 정치문화
1. 전통사회의 정치문화
1) 전통의 의미
2) 전통문화의 전개
2. 정치문화의 단계적 구분
1) 제1단계(1800년~1910년):관인적 정치문화의 혼돈
2) 제2단계(1910년대~1940년대 중반기):식민지의 정치문화
3) 제3단계 (1945년~1970년대):해방-한국전쟁 전후의 성격
4) 제4단계 (1970년대~ ):민주화기의 좌초된 정치문화
3. “새 나라, 새 세상”을 위한 길
4. 한국 정치문화의 이론적 특성
1) 가산제 정치문화
2)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정치문화의 유산
3) 우리나라 정치문화의 극복을 위한 성찰

제3장 리더십의 자질에 관한 이론
1. 도덕성의 의미
2. 서구의 고전적 리더십 이론
3. 현대의 리더십 이론
1) 리더십의 개념
2) 특질이론
3) 진정성 리더십
4) 윤리적인 리더십
5) 섬김의 리더십
4. 대학입학전형에 반영한 리더십 자질
5. 동양의 전통적 리더십 이론:유가 사상을 중심으로
1) 일반적 고찰
2) 공직자의 덕목:선비의 길
3) 다산의 『목민심서』 개요
6. 선출직 공직자와 유권자의 관계:정체성 이론

제4장 미래의 선출직 공직자에게 바라는 도덕성 기준
1. 미래사회의 전개
1) 기술 혁신과 정치문화
2) 사회문화적 충격:일반적 관찰
3) 사이버 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
4) 사이버 공간의 명암
5) 생태계 교란의 문제
2. 한국 대의정치의 문제점
3.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평가 기준 탐색의 기조
1)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덕목
2) 미래사회의 윤리적 리더십의 기본 특징
4.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5장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가치 체계 정립
1. 도덕성 확인을 위한 가치 체계의 구상
2. 도덕성 판단을 위한 지표의 개발 예시:선출직 공직자의 신윤리지표
1) 신윤리지표의 보기
2) 신윤리지표의 활용을 위한 질문 문항
3) 윤리적 리더십 자기 평가 문항
3. 도덕성 판단을 위한 질문 문항 추가 예시
1) 타인의 주관적 평판 문항 용례
2) 선출직 및 후보자 자신의 주관적 자가 평가 문항 용례
3) 경영분야의 경영자 주관적 자가평가 문항 용례

제6장 결론:도덕성 평가의 실행과 활용
1. 제도적 절차
1) 정당의 공천 과정에서 지표의 활용
2) 선거 과정의 점검 방법
3) 임무 수행 중 점검
2. 선출직 공직자의 도덕성 평가 결과의 활용
1) 조사 결과의 공유
2) 정치문화 개선을 위한 정치교육

■ 부록:국내외 의원 윤리규정, 관련 법령 및 보고서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경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E-mail: kdkim6405@hanmail.net □ 학 력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수료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 대학원 사회학과(MA) 미국 Cornell University 대학원 사회학과(Ph. D.) □ 경 력(교육연구 분야)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조교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미국 하와이 East-West Center Research Fellow(연구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전임강사 미국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워싱턴시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Fellow(연구교수) 프랑스 파리 Ecole des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ales Directeur Associe(초빙교수) 미국 Duke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초빙교수) 미국 Duke University Asian/Pacific Studies Institute Adjunct Professor(겸직교수) 미국 Duke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초빙교수) KDI 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한국연구재단 우수학자지원 프로젝트 연구교수 KAIST 경영대학 초빙교수 미국 Hawaii 소재 East-West Center Visiting Scholar(객원교수) 대만 중앙연구원 사회학연구소(Institute of Sociology, Academia Sinica) Visiting Scholar(객원교수)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객원교수 국립인천대학교 기초교육원 출강 □ 경 력(학회 활동 분야) 미국사회학회 회원(현) 국제사회학회 회원(현) Alpha Kappa Delta(미국 사회학 영예 동호회) 회원(현) 한국사회학회 회장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이사 한국사회학회 산업노동연구회 회장 한국사회학회 정보사회학회 회장 (사단법인)한국정보사회학회 초대 이사장 □ 연구업적 단독저서(영문) 2017 Alternative Discourses on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East Asian Perspectives. Palgrave Macmillan. 2017 Korean Modernization and Uneven Development: Alternative Sociological Accounts. Palgrave Macmillan. 2017 Confucianism and Modernization in East Asia: Critical Reflections. Palgrave Macmillan. 1985 Rethinging Development: Theories and Experiences.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9 Man and Society in Korea’s Economic Growth: Sociological Studies. 서울대학교 출판부. 단독저서(국문) 2019 『사회적 가치: 문명론적 성찰과 비전』. 푸른사상. 2012 『자발적 복지사회: 미래지향적 자원봉사와 나눔의 사회학』. 아르케. 2010 『기독교 공동체 운동의 사회학: Koinonia의 이론과 전략』. 한들출판사. 2007 『급변하는 시대의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철학과 과제』. 아르케. 2002 『한국사회발전론』. 집문당. 2002 『미래를 생각하는 사회학』. 나남. 2000 『선진한국, 과연 실패작인가? 김경동의 문명론적 성찰』. 삼성경제연구소. 1998 『한국교육의 사회학적 진단과 처방』. 집문당. 1997 『현대의 사회학: 신정판』. 박영사. 1993 『한국사회변동론』. 나남. 1992 『한국인의 가치관과 사회의식』. 박영사. 1989 『사회학의 이론과 방법론』. 박영사. 1988 『노사관계의 사회학』. 경문사. 1985 『현대의 사회학: 전정판』. 박영사. 1983 『현대사회학의 쟁점』. 법문사. 1983 『경제성장과 사회변동』. 한울. 1980 『현대사회와 인간의 미래』. 평민사. 1979 『발전의 사회학』. 문학과 지성사. 1978 『인간주의사회학』. 민음사. 1978 『현대의 사회학』. 박영사.
펼치기
진덕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과 교수, 법정대학장, 한국문화연구원장, 대학원장, 이화학술원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지은 책으로는 《현대민족주의 이론구조》, 《한국현대정치사 서설》, 《한국정치의 역사적 기원》, 《현대 정치학》, 《현대 정치사회학이론》, 《글로벌리제이션 그리고 선택》, 《민주주의의 황혼》, 《한국정치와 환상의 늪》 등이 있다.
펼치기
박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중앙일보 기자, 동아대학교 교수를 거쳐 2004년 17대 국회의원으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대통령실 홍보기획관, 정무수석비서관, 사회특별보좌관을 지냈으며, 제29대 국회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한국사회, 무엇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보수의 재구성』 등이 있다. 현재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국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렇다면 민주주의적 정치 지도자의 자질이란 그럼 무엇을 말하는가? 민주주의의 위기를 언급하면서 대부분의 분석가들은 주로 제도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해법을 찾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제도의 문제에 관해서는 국가의 기본 질서를 규정하는 헌법 개정을 비롯하여 많은 논의가 있지만, 정치인(Political Man) 혹은 정치리더의 자질 또는 리더십의 문제 자체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체계적 논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리더십 가운데서도 도덕적 요소와 정치적 요소를 결합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좋은 리더를 알아차리고 선택하는 주체는 국민이라는 전제가 민주정치의 현실임을 인정해야 하지만 그래도 선택의 대상으로서 마땅한 후보자군(群)이 어떤 자질과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관해서는 사회적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국민의 적정한 선택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한 기준은 시민운동의 준거가 될 수도 있고, 또한 정치 안팎의 암묵적 자생적 관행으로서 자리 잡는 데도 유익한 지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권력의 행사로서 리더십은 전통사회와 현대사회가 그 성격을 달리한다. 전자는 도덕의 역할과 기능이 훨씬 크다면, 현대사회로 올수록 법의 지배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도덕과 법은 이분법으로 접근할 수는 없다. 전통사회에서도 법의 규율 없이 도덕만을 강조했던 리더들은 부패의 늪으로 쉽게 빠져들었다. 현대의 법도 도덕법 또는 관습법의 차원과 사회계약 및 정치적 통제 수단으로서의 여러 차원이 섞여 있고, 도덕적 근거를 잃은 법은 법으로서 생명력을 지속할 수 없다. 현대사회에서 도덕보다는 법의 중요성이 훨씬 커지긴 했지만 리더십의 작동에서 정치적 행위를 뒷받침하는 도덕적 정당성에 관한 질문은 끊임없이 제기할 수밖에 없다.


또한 합리적 투표 행위 이론에 따르면, 유권자는 자신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정치인을 선택한다. 그렇다면, 선출직 공직자(정치인)는 시민이 원하는 말과 행동을 하거나 공약과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작동한다. 선출직 공직자가 오히려 시민들을 자신과 같은 사회적 범주(지역, 역사관, 이념)로 들어오도록 설득하고, 동일한 사회적 범주에서 요구하는 규범(같은 지역 출신이거나 지지하는 이념이 같다면 지지해주어야 한다)을 따르도록 유도한다. 시민들은 자신과 다른 지역, 역사 기억, 이념을 지닌 후보자를 선택하면 정체성 효용(만족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사회적 범주에서 요구하는 규범에 따라 지역 출신, 역사관, 이념을 지닌 후보를 지지함으로써 정체성 효용을 높이는 선택을 한다고 설명한다.
즉, 정치인은 유권자의 선호와 요구를 주어진 조건(상수)으로 받아들여 유권자가 바라는 정치인의 도덕성과 역량을 갖추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지역, 이념 등의 사회적 범주를 유권자에게 인지시켜 정체성에 따른 투표 행위를 하게 만든다. 이로써 비도덕적이든 도덕적이든 관계없이 유권자에게 비슷한 범주의 정체성을 호소하는 정치인이 당선되는 일이 일어난다.
비도덕적인 정치인이 당선하면 정신적(spiritual), 경제적(economical), 사회적(social) 차원에서 국민, 사회, 국가에 많은 비용과 문제를 낳는다. 정신적 차원에서는 정치인의 비리와 부정부패, 유착 관계, 막말, 거짓말 등은 대의정치에 관한 불신을 만들고, 경제적 차원에서 정치인은 장기적인 국가발전, 경쟁력 제고, 사회통합보다는 자신의 재선(정체성 효용)을 위해 노력하고, 사회적 차원에서 지역갈등, 연고주의, 불공정 청탁 등 계급주의, 인맥주의 등은 사회갈등을 유발한다. 정치라는 ‘사회적 범주’에 속하는 정치인은 공적 권한과 지위를 활용해 부당이익을 취해도 크게 문제 되지 않는 정치문화가 요구하는 낮은 수준의 ‘규범’에 따라, 이득을 취하지 않았을 때 사회적 명예와 지지를 크게 받지 않아 도덕적인 행위가 장기적으로는 이익보다는 비용(경제적 손해)가 크다고 인식한다. 경제적 이득과 이권을 취하는 장기적 이익과 잠시 비난을 받는 비용을 비교하여 비용보다 이익이 크다는 합리적 판단(정체성 효용)으로 대의민주주의에 악영향을 끼치는 방향의 행위를 반복하게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