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71530298
· 쪽수 : 148쪽
· 출판일 : 2025-05-31
책 소개
목차
여는 말: 손을 맞잡고 우리말 이야기를 누려 보셔요
1장. 우리말이 뭐예요?
1. 말과 글은 어떻게 짓나요?
2. 우리 민족은 한글 이전에 어떤 글을 썼나요?
3. 우리말이 뭐예요?
4. 100년 전 우리말과 지금 쓰는 우리말은 뭐가 다른가요?
5. 국어는 무슨 뜻인가요?
2장. 꼭 표준어를 써야 하나요?
6. 지구촌이라는 데 언어도 통일하면 좋지 않을까요?
7. 수화도 우리말인가요?
8. 모든 말이 사투리라고요?
9. 왜 지역마다 쓰는 말이 다른가요?
10. 꼭 표준어를 써야 하나요?
11. 띄어쓰기를 꼭 해야 하나요?
12. 왜 맞춤법에 맞추어서 써야 하나요?
3장. 우리글 이름을 왜 한글이라고 하나요?
13. 한글은 누가 지었고 왜 지었나요?
14. 한글날은 언제 생겼나요?
15. 일제 강점기에는 우리말을 쓸 수 없었나요?
16. 우리말이 있는데 왜 사람들은 외국말을 주로 쓰는 걸까요?
17. 우리글 이름을 왜 한글이라고 하나요?
18. 한글이 과학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4장. 사전에는 어떤 단어가 올라가나요?
19. 사전은 어떻게 짓나요?
20. 사전에는 어떤 단어가 올라가나요?
21. 사전은 어떻게 읽어야 하나요?
22. 국립국어원은 어떤 일을 하는 곳인가요?
5장. 겹말이 뭐예요?
23. 외래어가 뭐예요?
24. 한자말이 뭐예요?
25. 고사성어가 뭐예요?
26. 토박이말이 뭐예요?
27. 겹말이 뭐예요?
6장. 잘못 쓰는 우리말에는 어떤 말이 있나요?
28. 한자말이 우리말 가운데 얼마나 되나요?
29. 왜 우리는 한자로 이름을 짓나요?
30. 잘못 쓰는 우리말에는 어떤 말이 있나요?
31. 틀리기 쉬운 우리말에는 뭐가 있나요?
32. 외래어를 쓰지 않고 우리말로만 쓸 수 있나요?
33. 왜 어른한테 존대말을 써야 하나요?
34. 왜 우리는 고운말 바른말을 써야 하나요?
리뷰
책속에서
우리말을 갈고닦거나 다루거나 가꾸거나 일구는 길을 걸어온 옛어른은 으레 “어려우면 우리말이 아니다” 하고 말했습니다. “어려우면 우리말이 아니다”라면 “우리말은 쉽다”란 뜻이기도 합니다. 아이어른이 어깨동무하면서 쓰기에 ‘우리말’입니다.
마음을 담아내기에 말이고, 이 말을 담아내기에 글입니다. 그런데 글이며 말은, 우리를 둘러싼 모든 살림이며 숨결이며 풀꽃나무이며 들숲바다를 가리키는 이름이니, 글하고 말을 짓는 바탕은 늘 ‘삶’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