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71980208
· 쪽수 : 194쪽
· 출판일 : 2024-10-23
목차
제1장 머리말 1
제1절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및 기대 효과 4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5
1. 연구 내용 및 범위 5
2. 연구 방법 6
제3절 선행연구 검토와 개념 정리 7
1. 선행연구 검토 7
2.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의 개념 13
제2장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정책 및 현황 분석 17
제1절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관련 정책 19
1. 장애인 문화예술 정책 계획과 매개인력 19
2.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관련 정책 사업 23
제2절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활동 현황 33
1. 장애예술인 창작 지원 활동 33
2.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교육 활동 39
3. 장애인 문화예술단체 활동 49
4. 장애인 접근성 제고 활동 55
제3절 시사점과 쟁점사항 68
1. 정책적 시사점 68
2. 매개인력 개념.범위의 쟁점사항 69
제3장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활동에 대한 전문가 의견 분석 73
제1절 전문가 면담조사 분석 75
1. 조사 개요 75
2. 면담조사 주요 결과 76
제2절 전문가 설문조사 분석 97
1. 조사 개요 97
2. 조사 결과 100
제3절 요약과 시사점 123
1. 주요 결과 요약 123
2. 정책적 시사점 129
제4장 장애인 문화예술 매개인력 활동 지원 정책의 과제 131
제1절 기본 방향과 쟁점사항 대응 방안 133
1. 정책 과제 설정의 기본 방향 133
2. 매개인력과 매개활동의 개념 정리 136
3. 매개활동 참여자의 범위: 예술인, 장애인(부모) 등 138
4. 매개활동 유형화 및 통합적 지원 140
5. 맞춤형 지원 143
6. 자격 제도 및 실태조사 145
제2절 매개인력 양성 방안 147
1. 학습 모임과 사례 연구 지원 147
2. 기존 교육 체계와 연계 149
3. 매개유형별 양성 방안 152
제3절 매개활동 지원 방안 162
1. 매개활동 플랫폼 구성 162
2. 보상 및 지원 체계 마련 166
3. 매개유형별 지원 방안 170
제5장 맺음말 179
참고문헌 / 189
ABSTRACT /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