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9117213164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12-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대한민국은 왜 소멸을 선택했나
희망 소멸 사회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압축 성장 대한민국, 압축 소멸을 결심하다
지금 여기 사는 청년이 행복해야 하는 이유
지극히 한국적인 자살률과 출생률
정치가 소멸하면 나라도 소멸한다
2부 절망을 부추기는 사회, 위기를 방치하는 정치
안전도, 희망도 없는 아수라의 세계
5000만 전 국민이 서울에서 산다면
저출생 문제 막을 생각 없는 저출생 정책
전쟁 위기는 교통사고처럼 온다
3부 정치의 소멸은 어떻게 오는가
게임과 스포츠만도 못한 정치
정치를 거부한 대통령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
대한민국 계파 정치는 왜 변질되었나
정치와 행정이 사라진 검찰 공화국
‘자유 민주주의’ 정부에서 후퇴한 민주주의
무엇을 위한 법치, 누구를 위한 자유인가
정의당은 왜 원외로 내몰렸나
4부 다시 희망을 찾아서
기후 재난은 선거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정치 복원, 압축 소멸을 막는 유일한 방법
한강을 기념하는 법
나가는 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실 이런 이야기들은 이제 낯설지 않은 것이 되었습니다. 오히려 너무 진부해졌다고 할까요? 그래서 새로운 이야기가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그것을 둘러싼 어떤 변수들에 대한 것입니다. 그중 하나는 ‘속도’입니다.
저는 사회과학자로서 언제나 이 속도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사회에서는 항상 변화들이 일어납니다. 전쟁, 자연재해, 산업·경제·인구·기술의 변화, 정치적 사건들, 이런 일들은 인류가 처음 사회를 구성했을 때부터 늘 있었던 일입니다. 사실 사회란 이런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인류가 만들어 낸 것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사회가 버티지 못하고 파괴될 때가 있습니다. 감당하지 못하는 ‘격변’의 시기가 도달했을 때입니다.
늘 불쌍한 것은 국민들, 특히 사회적 약자들입니다. 이 시대에는 청년과 여성, 지방에 사는 국민들이 상대적으로 더 어렵습니다. 지금 대한민국 청년들은 아마도 인류 역사상 가장 극심한 경쟁을 ‘공정’이라는 이름으로 겪어 내는 중입니다. 그 경쟁에서 대부분은 불행해집니다. EBS의 한 프로그램에서 물었을 때, 경쟁에서 이긴 청년들조차 행복하지는 않다고 말합니다. 가장 심각한 것은 이 경쟁이 공정하지 않고 절대 공정해질 수 없다는 사실을 누구나 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이를 낳지 않습니다. 나는 지옥에 살지만 내 아이까지 지옥에 살게 하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바로 이 시점에 한국은 자살을 결심했습니다. 더 이상 공동체를 지속시키지 않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과연 인류 역사에 이런 나라가 있었을까요? 세계의 최빈국이자 약소국으로 분단과 전쟁까지 겪은 나라가, 실로 엄청난 속도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정치·경제·문화를 성취한 다음, 바로 그 정점에 도달한 때에 소멸하기로 작정한 것입니다. 만약 한국이 다음 한 세대 안에 인구 회복의 탄력성을 완전히 잃고 소멸해 버린다면 이는 단순히 한 나라의 소멸이 아니라 인류 문명사에서 볼 때도 참으로 기이한 일이 될 것입니다. 미래의 인류는 한국이라는 나라의 성장과 소멸을 통해 ‘인간과 사회란 어떤 존재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