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하루 한 권, 식물](/img_thumb2/979117217318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7217318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05-3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봄
1. 화초는 왜 봄에 꽃을 피울까?
2. 봄에 꽃을 피우는 화초는 어떻게 봄이 왔다는 사실을 알까?
3. 잎이 한 장도 없는 상태로 꽃이 피는 식물도 있을까?
4. 봄에 꽃을 피우는 나무의 꽃봉오리는 언제 생기는 걸까?
5. 꽃에 꽃잎이 없는 속씨식물도 있을까?
6. 꽃을 피우면서도 씨앗은 만들지 않는 나무가 있을까?
7. 씨앗은 왜 암술머리가 아니라 암술의 아랫부분인 배낭에 생길까?
8. 인공수분을 할 때는 왜 다른 품종의 꽃가루를 사용할까?
9. 인공수분에 사용하는 꽃가루의 품종에 따라 과일의 맛이 달라질까?
10. 씨앗을 뿌리지 않아도 싹이 나올 수 있을까?
11. 왜 유독 봄에 많은 잡초가 싹을 틔울까?
12. 식물의 발아를 촉진하는 물질도 있을까?
13. 식물은 왜 어둠 속에서도 위를 향해 자랄까?
14. 식물의 뿌리는 왜 어둠 속에서도 아래를 향해 자랄까?
15. 줄기의 단면이 삼각형이나 사각형인 식물도 있을까?
16. 왜 식물의 잎은 대부분 녹색으로 보일까?
17. 광합성에 쓸 수 있는 빛의 색은 파란색, 녹색, 빨간색 중에 무슨 색일까?
18. 잎이 녹색광만 받아도 식물은 광합성을 할 수 있을까?
여름
19. 여름에 자라는 식물도 뜨거운 햇빛과 더위로 고생할까?
20. 녹색 잎으로 창을 덮는 녹색 커튼이 대나무나 갈대로 만든 발보다 시원할까?
21. 일본에서 가장 키가 큰 나무의 높이는 몇 m일까?
22. 식물은 뿌리에서 잎까지 어떻게 물을 옮길까?
23. 식물의 건조 중량이 1g만큼 늘어나려면 물이 얼마나 필요할까?
24. 린네의 ‘꽃시계’는 어떤 시계였을까?
25. 식물이 개화 시간을 알 수 있는 자극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
26. 식물이 자극을 받아 꽃봉오리를 벌릴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27. 식물들은 자외선에 어떻게 대응할까?
28. 식물은 동물에게 먹힐 수밖에 없는 숙명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29. 식충식물은 주로 어떤 영양소를 얻기 위해 벌레를 먹는 걸까?
30.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도 있을까?
31. 식물은 한낮의 쏟아지는 강렬한 햇빛을다 소화할 수 있을까?
32. 더운 여름에 왜 채소를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걸까?
33. 접붙이기한 나무의 대목이 접순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것은 무엇일까?
34. 광합성을 하다 보면 이산화탄소가 부족하지 않을까?
35. 식물은 어떻게 이산화탄소를 흡수할까?
36. 광합성을 하는 식물은 언제 이산화탄소를 흡수할까?
가을
37. 가을에 꽃이 피는 화초는 어떤 자극을 통해 가을이 왔다는 신호를 받을까?
38. 잎은 꽃봉오리를 만들라는 신호를 어떻게 꽃눈에 전달할까?
39. 다정하게 말을 걸며 키운 화초의 꽃은 무엇이 다를까?
40. 왜 녹색이던 잎이 노랗게 물드는 걸까?
41. 왜 녹색이던 잎이 붉게 물드는 걸까?
42. 단풍이 예쁘게 들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43. 낙엽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
44. 무엇을 계기로 겨울눈을 만들기 시작하는 걸까?
45. 왜 벚꽃이 가을에 피는 일이 생길까?
46. 왜 태풍이 지나가고 나면 벚꽃이 필까?
47. 매년 가을에 발표하는 ‘내년 꽃가루 예상 농도’는 잘 맞을까?
48. 빛을 받지 못했을 때 싹을 틔우지 않는 씨앗은 없는 걸까?
49. 발아의 세 가지 조건만 충족하면 가을에도 싹이 틀까?
50. 새로운 품종의 과일나무는 개체 수를 어떻게 늘릴까?
51. 곧 겨울 추위가 찾아올 텐데 왜 가을에 알뿌리를 심을까?
겨울
52. 어떻게 추위 속에서 시들지 않고 녹색을 유지할 수 있을까?
53. 왜 추위를 이겨낸 채소가 더 달까?
54. 겨울눈을 싹트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55. 왜 붉은색 겨울눈이 있을까?
56. 봄에 꽃을 피우는 알뿌리 식물을 겨울에 따뜻한 방안에서 수경재배하면 어떻게 될까?
57. 가을에 파종할 밀 씨를 봄에 뿌리면 어떻게 될까?
58. 왜 겨울밤 온실 안에 조명을 밝혀 두는 걸까?
59. 전조재배를 할 때는 어떤 색의 빛이 가장 효과적일까?
60. 왜 꽃꽂이용 꽃은 겨울의 추운 실내에서 더 오래갈까?
61. 꽃꽂이용 꽃의 수명을 늘리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
62. 꽃꽂이한 꽃이 오래가게 하려면 물에 무엇을 넣으면 좋을까?
63. 낮에 대기 중의 습도가 높으면 식물도 광합성 속도에 영향을 받을까?
64. 밤에 습도가 높으면 식물이 자라는 데 어떤 영향이 있을까?
65. 나이테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66. 불합격을 알리는 전보 문구는 무엇이었을까?
주요 참고 도서
책속에서
나뭇잎은 왜 녹색을 띠는지, 왜 봄이 오면 꽃을 피우는지, 겨울에도 녹색인 식물은 어째서 시들지 않는지. 그 이유를 생각해 보자. 이러한 질문의 해답에는 자연에서 살아남기 위한 식물의 지혜와 체계가 숨어 있다.
식물은 대부분 매년 정해진 계절에 규칙적으로 꽃을 피운다. 그중 화초는 봄이 오면 따뜻한 계절이 오기를 손꼽아 기다렸다는 듯이 꽃을 피운다. 화초는 왜 봄에 꽃을 피울까?
자극을 받은 식물의 운동 방향이 자극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성질을 ‘굴성’이라고 한다. 빛이 비치는 방향으로 싹이 휘어져서 자라는 성질이 바로 ‘굴성’이다. 이때 자극의 대상을 ‘굴성’이라는 단어 사이에 넣어 표현하므로 만약 자극의 대상이 빛이라면 ‘굴광성’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