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태평광기초 12

[큰글자책] 태평광기초 12

풍몽룡 (지은이), 김장환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0원 -0% 0원
1,350원
43,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태평광기초 1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태평광기초 12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 ISBN : 9791173070358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4-11-28

책 소개

《태평광기초》는 중국 고대 소설집 《태평광기》를 산정한 것이다. 《태평광기》는 송나라 이방이 편찬한 설화집으로, 일명 ‘세상의 모든 것을 비춰 보이는 이야기 거울’이라고 한다. 전 500권의 이 방대한 이야기를 명나라 풍몽룡이 중복되는 것은 삭제하고 잘못 배치된 이야기는 정리해 80권으로 엮고 자신의 비평을 첨가한 책이 《태평광기초》다.

목차

권56 귀부(鬼部)
귀(鬼) 1

56-1(1649) 무귀론(無鬼論)
56-2(1650) 스님 지원(僧智圓)
56-3(1651) 위징(魏徵)
56-4(1652) 왕융(王戎)
56-5(1653) 방현령(房玄齡)
56-6(1654) 양부(楊溥)
56-7(1655) 유소지(庾紹之)
56-8(1656) 하후홍(夏侯弘)
56-9(1657) 왕감(王鑒)
56-10(1658) 보따리를 푼 사람(解襆人)
56-11(1659) 이영문(李令問)
56-12(1660) 부량현의 장 현령(浮梁張令)
56-13(1661) 진도(陳導)
56-14(1662) 이준(李俊)
56-15(1663) 곽승하(郭承嘏)
56-16(1664) 위황(韋璜)
56-17(1665) 동관(董觀)
56-18(1666) 왕예라는 노인(王裔老)
56-19(1667) 스님 민초(僧珉楚)
56-20(1668) 곽심(郭?)
56-21(1669) 주옹중(周翁仲)
56-22(1670) 노욱(盧頊)
56-23(1671) 노중해(盧仲海)
56-24(1672) 광릉의 상인(廣陵賈人)
56-25(1673) 빚을 갚은 귀신(償債鬼)
56-26(1674) 귀신 나라(鬼國)
56-27(1675) 귀신 무덤(鬼葬)
56-28(1676) 왕초(王超)
56-29(1677) 갓 죽은 귀신(新鬼)
56-30(1678) 송정백(宋定伯)
56-31(1679) 측간 귀신(廁鬼)
56-32(1680) 학질 귀신(瘧鬼)
56-33(1681) 앙살 귀신(喪煞鬼)

권57 귀부(鬼部)
귀(鬼) 2

57-1(1682) 조 공의 배(曹公船)
57-2(1683) 하후현(夏侯玄)
57-3(1684) 왕필(王弼)
57-4(1685) 소소(蘇韶)
57-5(1686) 손치(孫稚)
57-6(1687) 육교(陸喬)
57-7(1688) 상이(常夷)
57-8(1689) 사문 영 선사(沙門英禪師)
57-9(1690) 사만세(史萬歲)
57-10(1691) 왕명(王明)
57-11(1692) 조합(趙合)
57-12(1693) 이상(李湘)
57-13(1694) 위포(韋浦)
57-14(1695) 우문적(宇文覿)
57-15(1696) 고총(顧總)
57-16(1697) 이패(李霸)
57-17(1698) 위제휴(韋齊休)
57-18(1699) 허생(許生)
57-19(1700) 위생과 포생(韋鮑·二生)
57-20(1701) 육빙(陸憑)
57-21(1702) 파협 사람(巴峽人)
57-22(1703) 정교(鄭郊)
57-23(1704) 왕소(王紹)

권58 귀부(鬼部)
귀(鬼) 3

58-1(1705) 이원평(李元平)
58-2(1706) 호복지(胡馥之)
58-3(1707) 환도민(桓道愍)
58-4(1708) 당훤(唐晅)
58-5(1709) 허지옹(許至雍)
58-6(1710) 위씨의 아들(韋氏子)
58-7(1711) 장홍양(張弘讓)
58-8(1712) 소태현(蘇太玄)
58-9(1713) 유주의 아장(幽州衙將)
58-10(1714) 장우(張禹)
58-11(1715) 주칠낭(朱七娘)
58-12(1716) 당검(唐儉)
58-13(1717) 신번현령(新繁縣令)
58-14(1718) 여강의 풍씨 할멈(廬江馮媼)
58-15(1719) 추남(鄒覽)
58-16(1720) 유즐의 누이동생(劉騭妹)
58-17(1721) 박 태후 묘(薄太后廟)
58-18(1722) 이장무(李章武)
58-19(1723) 유 참군(柳參軍)
58-20(1724) 여항광(餘杭廣)
58-21(1725) 염경(閻庚)
58-22(1726) 왕지도(王志都)
58-23(1727) 장수일(張守一)
58-24(1728) 모영(牟穎)
58-25(1729) 이적(李赤)
58-26(1730) 이함(李咸)
58-27(1731) 사고(謝翱)

권59 귀부(鬼部)
귀(鬼) 4

59-1(1732) 한중(韓重)
59-2(1733) 독고목(獨孤穆)
59-3(1734) 노충(盧充)
59-4(1735) 담생(談生)
59-5(1736) 장자장(張子長)
59-6(1737) 최함(崔咸)
59-7(1738) 곽저(郭?)
59-8(1739) 이칙(李則)
59-9(1740) 하북의 촌장(河北村正)
59-10(1741) 임회인(任懷仁)
59-11(1742) 호연기(呼延冀)
59-12(1743) 소우(蕭遇)
59-13(1744) 곽지운(郭知運)
59-14(1745) 양원영(楊元英)
59-15(1746) 계유의 조카딸(季攸甥)
59-16(1747) 위율(韋栗)
59-17(1748) 유조(劉照)
59-18(1749) 왕유(王鮪)
59-19(1750) 장종(張宗)
59-20(1751) 조숙아(趙叔牙)
59-21(1752) 장유(張庾)
59-22(1753) 유풍(劉諷)
59-23(1754) 심공례(沈恭禮)
59-24(1755) 예언사(倪彦思)
59-25(1756) 호희(胡熙)
59-26(1757) 유삼(劉三)
59-27(1758) 회서의 군장(淮西軍將)
59-28(1759) 고생(高生)
59-29(1760) 유타(劉他)

권60 신혼부(神魂部) 총묘부(?墓部) 명기부(銘記部)
신혼(神魂)

60-1(1761) 방아(龐阿)
60-2(1762) 왕주(王宙)
60-3(1763) 정생(鄭生)
60-4(1764) 소내(蘇萊)
60-5(1765) 정씨의 딸(鄭氏女)
60-6(1766) 배공(裴珙)
60-7(1767) 설위(薛偉)

총묘(?墓)
60-8(1768) 육동미(陸東美)
60-9(1769) 반장(潘章)
60-10(1770) 정영흥(丁永興)
60-11(1771) 왕번(王樊)
60-12(1772) 노관의 무덤(奴官冢)
60-13(1773) 엄안지(嚴安之)
60-14(1774) 이막(李邈)
60-15(1775) 번택(樊澤)

명기(銘記)
60-16(1776) 이사(李斯)
60-17(1777) 하후영(夏侯嬰)
60-18(1778) 장은(張恩)
60-19(1779) 왕과와 웅박(王果·雄博)
60-20(1780) 위대경(衛大經)
60-21(1781) 정흠열(鄭欽悅)
60-22(1782) 한유(韓愈)
60-23(1783) 배도(裴度)
60-24(1784) 장유청(張惟淸)
60-25(1785) 유광(柳光)

저자소개

풍몽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태평광기초》를 평찬(評纂)한 풍몽룡(1574∼1646)은 중국 명나라 말의 문학자로, 자(字)는 유룡(猶龍)·공어(公魚)·자유(子猶)·이유(耳猶) 등이고, 호(號)는 향월거고곡산인(香月居顧曲散人)·고소사노(姑蘇詞奴)·오하사노(吳下詞奴)·전전거사(箋箋居士)·묵감재주인(墨憨齋主人)·전주주사(前周柱史)·녹천관주인(綠天官主人)·무원외사(茂苑外史)·평평각주인(平平閣主人) 등이다. 남직례(南直隸) 소주부(蘇州府) 장주현(長洲縣, 지금의 장쑤성 쑤저우시] 사람이다. 사대부 집안 출신으로 형 풍몽계(馮夢桂)와 동생 풍몽웅(馮夢熊)과 함께 “오하삼풍(吳下三馮)”으로 불렸다. 숭정(崇禎) 7년(1634)에 복건성(福建省) 수녕지현(壽寧知縣)을 지냈으며, 나중에 고향으로 돌아와 저술에 종사했다. 만년에는 반청(反淸) 운동에 가담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근심과 울분 속에서 죽었다. 그는 명나라 최고의 통속 문학자로, 소설로는 가장 유명한 의화본 소설(擬話本小說)인 삼언(三言), 즉 《유세명언(喻世明言)》·《경세통언(警世通言)》·《성세항언(醒世恒言)》을 비롯해 《태평광기초》·《평요전(平妖傳)》·《열국지(列國志)》·《정사유략(情史類略)》 등을 편찬했고, 희곡으로는 《묵감재정본전기(墨憨齋定本傳奇)》, 민가집으로는 《산가(山歌)》·《괘지아(掛枝兒)》, 산곡(散曲)으로는 《태하신주(太霞新奏)》, 소화집(笑話集)으로는 《소부(笑府)》, 필기로는 《고금담개(古今譚槪)》·《지낭(智囊)》 등을 편찬했다. 그의 저작은 대부분 민간 문학에 집중되어 있어서 통속 문학자로서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
펼치기
김장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에서 〈세설신어연구(世說新語硏究)〉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에서 〈위진남북조지인소설연구(魏晉南北朝志人小說硏究)〉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 중문과 교수,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객원교수(2004∼2005), 같은 대학교 페어뱅크 센터(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객원교수(2011∼2012)를 지냈다. 전공 분야는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이다. 그동안 쓴 책으로 《중국 문학의 흐름》, 《중국 문학의 향기》, 《중국 문학의 향연》, 《중국 문언 단편 소설선》, 《유의경(劉義慶)과 세설신어(世說新語)》, 《위진세어 집석 연구(魏晉世語輯釋硏究)》, 《동아시아 이야기 보고의 탄생?태평광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중국 연극사》, 《중국 유서 개설(中國類書槪說)》, 《중국 역대 필기(中國歷代筆記)》, 《세상의 참신한 이야기?세설신어》(전 3권),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전 4권), 《세설신어 성휘운분(世說新語姓彙韻分)》(전 3권), 《태평광기(太平廣記)》(전 21권),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전 8권), 《봉신연의(封神演義)》(전 9권), 《당척언(唐?言)》(전 2권), 《열선전(列仙傳)》, 《서경잡기(西京雜記)》, 《고사전(高士傳)》, 《어림(語林)》, 《곽자(郭子)》, 《속설(俗說)》, 《담수(談藪)》, 《소설(小說)》, 《계안록(啓顔錄)》, 《신선전(神仙傳)》, 《옥호빙(玉壺氷)》, 《열이전(列異傳)》, 《제해기(齊諧記)·속제해기(續齊諧記)》, 《선험기(宣驗記)》, 《술이기(述異記)》, 《소림(笑林)·투기(妬記)》, 《고금주(古今注)》, 《중화고금주(中華古今注)》, 《원혼지(寃魂志)》, 《이원(異苑)》, 《원화기(原化記)》, 《위진세어(魏晉世語)》, 《조야첨재(朝野僉載)》(전 2권),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소씨문견록(邵氏聞見錄)》(전 2권) 등이 있으며,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에 관한 여러 편의 연구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